•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Features of Hous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안동 서미 2동의 마을구조 및 민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village and the Property of Folk Houses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 정명섭;곽동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7-76
    • /
    • 2003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stem of the architectural order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The scope of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12 traditional houses situated on this area. The focus of this study is mainly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this village, the arragement of houses related in geographical features of 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ground plans on these houses. As results of it, there are mostly Yeo-Kan houses(six spans sized)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and every house on this domain is in harmony with the systematic order of it.

제주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자연친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Houses in Jeju)

  • 이창희;박정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5-44
    • /
    • 2014
  • Modern society is filled with the pursuit of material wealth and great convenience due to high technology that has been introduced to all facets of society.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Modern construction, however, has caused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disturbing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explore how humans and nature can mainta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y looking into the construction of Jeju's traditional dwelling house. This thesis examines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Jeju and looks into how Jeju people have adapted themselves to nature. It is assumed that geographical features have created Jeju's unique environment and style of architecture and differentiated Jeju's traditional houses from those of other regions. Also, it is considered that geographical features had a large impact on traditional construction such as the floor plan and the layout of buildings. Accordingly, this thesis explores the way traditional houses protected house dweller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amines the wisdom of our ancestors who took advant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creating Jeju's unique construction culture and environment by studying materials, structures, and forms that were applied to the traditional houses of Jeju.

전라남도 흥양 도서(島) 민가와 근대기 울릉도 민가의 상관성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houses in Heung Yang-islands and the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 문정민;정명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28
    • /
    • 2018
  •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houses in Heung Yang-islands and the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Fork houses reflect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synthetically and concretely. Fork houses contain the thoughts of residents and have been built rationally and economically, therefore studying fork houses is a very meaningful task. This study has a focus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d fork houses of Ulleungdo at the time when fork houses were constructed official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fork houses of Ulleungdo limited in embrasive characteristics, spac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element and background of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강변에 입지한 부여칠산마을의 배치와 주택의 방위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Directional Orientation in Houses and Site Design of Chilsan Village in Riverside Location, Buyeo County)

  • 이현병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9-78
    • /
    • 2013
  • The location of villages differs by position, and the method to form the conditions of location varies greatly. This study h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village layout in the riverside and directional relations in houses. With changes in riverside landscape and transition to an agriculture-oriented village, there have been changes in road and the size, shape and direction of houses as well.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houses situated along the river, a house facing the river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all houses in the village. As traditional houses are transformed into modern houses over time, houses have become bigger, and the number of the houses facing south or southeast has been on the rise. As described above, riverside landscape and preference for the house facing south have an effect on determination of the facing direction of houses. However, the direction of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village was first followed, and other conditions have been ref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ng direction of houses have been observed.

말레이시아 반도(半島) 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일반적 형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Malay Peninsular)

  • 권태호;박순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traditional housing-culture in South East Asia, focused on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 1) to obtain information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West Malaysia. 2) to survey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the selected area. 3)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were a major focal point of traditional Malay village society. The Malay houses provided the basic needs of shelter to the villager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villagers themselves, thu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and aesthetic skills of the community. Further, these houses reflect those factors including climate, geographical features, history of the region.

  • PDF

수도권 고령인구의 공간 분포와 주거 특성 (The Spatial Pattern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Aging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최재헌;윤현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02-416
    • /
    • 2013
  • 본 논문은 1985년부터 2010년까지 수도권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의 변화를 고령화수준에 따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2010년 시점에서 고령자 가구의 주거 특성을 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고령화수준은 고령화지역, 고령지역, 초고령지역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고령자 가구의 주거 특성은 주택유형, 주택점유형태, 주택연한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수도권의 고령화는 서울과 인접하지 않은 수도권 외곽지역부터 진행되었다. 서울과 인천은 고령화가 도심부에서부터 외곽으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고령자 가구는 자가 소유의 단독주택에서, 그리고 건축 연한이 20년 이상인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수도권의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이런 주거 특성이 강하다.

  • PDF

A Study on Car Ownership Forecasting Model using Category Analysis at High Density Mixed Use District in Subway Area

  • Kim, Tae-Gyun;Byun, Wan-Hee;Lee, Young-Hoon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3호
    • /
    • pp.217-226
    • /
    • 2011
  •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striving to minimize the amount of traffic according to the supply of apartment houses along with the solution of housing shortage for the low income people through high density development near the subway area. Therefore, a stronger policy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raffic of the passenger cars in a subway area for the successful high density development focusing on public transportation, and especially,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of cars with high reliability is necessary to control the demand of parking such as the limited supply of parking lot.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car ownership forecasting model using Look-up Table among category analyses which are easy to be applied and have high reliability. The estimation method using Look-up-Table is possible to be applied to both measurable and immeasurable types, easy to accumulate data, and features the flexible responding depending on the changes of conditions. This study established Look-up-Table model through the survey of geographical location, the scale of housing, the accessible distance to a subway station and to a bus station, the number of bus routes, and the number of car owned with data regarding 242 blocks in Seoul City as subjects.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현황 및 조영특성 (A Study on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Province)

  • 진민령;정명석;심지연;이혜숙;이경미;진혜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38
    • /
    • 2020
  • 본 연구는 민가정원의 기록화를 목적으로,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역사적 가치, 입지, 공간구성 및 건축물 배치, 정원구성요소 등을 검토하여 현재 민가정원의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유지관리·보존을 도모하고,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조선후기에서 근대에 조성된 민가정원의 조성시기와 궁궐·일본·서양의 양식에 영향을 받은 정원구성요소 등을 통해 농·상업 발달의 확산 등 시대적 흐름 속에 영향을 받아온 것을 알 수 있다. 두째, 입지한 지형에 따라 민가정원의 공간구성과 후원 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 입지한 지형을 평지와 경사지로 구분하였을 때 평지에 입지한 민가는 담장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후원 주변으로 담장을 두르고 화계 및 석단을 조성하였다. 경사지에 입지한 민가는 2~3단의 단차를 두어 공간을 구획하고, 후면의 구릉과 접한 후원에 담장을 조성하지 않고 수목 식재, 화계 및 석단 조성 등을 통해 배경림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가옥의 규모 및 정원구성요소가 일부 소실·훼손·변화되었으며, 변화과정에 대한 기록이 부족한 경우 도면으로 기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시대적 흐름과 수요의 변화에 따라 소실 또는 훼손된 건축물 및 정원구성요소가 많았으며, 기록이 남지 않은 일부는 소유주 및 관리자의 기억에 의존해야하는 실정이다. 넷째, 전라도 기후적 특성을 반영한 난대성 수종의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전통수종이 아닌 외래수종이 많은 부분 도입되었다. 다섯째, 현대의 편의를 고려한 공간 기능과 식재 수종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세분화된 수목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Spatio-Tempo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Metropolitan(1995~2010))

  • 김용창;최은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09-532
    • /
    • 2013
  • 최저주거기준은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과 급격한 도농인구이동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노동자계급의 주거환경 악화와 공중보건위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을 대상으로 최저주거기준이 제도화되는 역사를 살펴보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2011년에 개정된 새로운 최저주거기준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계열적 변화패턴과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0년 서울시의 미달가구는 50.1만 가구(136.8만 명, 14.4%)로 전국 평균인 11.8%에 비해 처음으로 높아졌으며, 2005년의 50.9만 가구에 비해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감소추세의 정체는 다른 시 도, 다른 시기에는 한 번도 관찰된 바 없는 현상으로서 개별 가구의 독자적인 능력만으로는 주거환경을 개선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가구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의 기타 거처(1.3%) 및 지하 옥상 거주 비율(9.6%)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서울시의 주거환경이 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달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동북권과 서남권 방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여성가구주, 중장년층, 이혼가구, 저학력 및 대학 대학원 재학생, 비아파트 거주가구, 15~20년 경과주택 등에서 높은 미달비율을 보이고 있다.

  • PDF

고려 강도(江都)의 성곽과 궁궐 재고찰 (A reevaluation of the castles and palaces of Goryeo Gangdo (江都) using GIS)

  • 강동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74-191
    • /
    • 2021
  • 강도는 39년간 고려의 수도였으며, 이는 개경의 재현이었다. 하지만 몽골군의 침입이라는 급박한 전시 상황과 강화도의 지형적인 특징 등으로 인해 개경과는 다소 다른 성곽 체제와 궁궐의 배치를 이루고 있었다. 강도의 성곽은 외성-중성-내성으로 구성된 3중성(重城) 체제로 이해할 수 있다. 외성은 가장 먼저 완성한 성곽이었으며 몽골군의 침입을 최전선에서 최우선으로 방비하기 위해 축조된 것이었다. 그 구간은 조선시대 외성의 휴암돈~화도돈이었다고 추정된다. 중성은 강화산성 외곽의 토축성인 현 '중성'으로 볼 수 있다. 이 성곽은 고고학적 조사에서 확인된 축조 수법의 정교함과 견고성을 통해 볼 때 치밀한 계획 하에 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즉 중성은 강도의 도성으로서 궁궐, 관청, 민가 등을 보호하기 위해 18년이라는 장기간의 축성 과정을 거쳐 『고려사』에 기록된 바와 같이 '비로소' 완성되었던 것이다. 내성은 궁성적 성격을 지닌 성곽이었다. 조선시대 강화부의 '구성(舊成)'이 이에 해당하며 개경 구성의 규모와 거의 일치하였다. 내성은 궁궐을 포함한 주요 관부와 부속 시설이 위치한 궁성과 황성의 통합, 즉 복합적 기능 공간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궁궐은 개경에 준하였다는 문헌 기록에 근거하여 개경 궁궐도와 중첩한 결과, 승평문-선경전에 이르는 건축물의 중심축이 김상용 순절비각-고려궁지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강도의 궁궐은 기본적으로 개경과 동일한 건축물 배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고 본다. 하지만 내전과 부속 건물 등은 강화의 지형 조건을 감안하여 배치되었을 것이며, 이는 관청리 '궁골' 일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