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2초

The Keyword Search Using Thesaurus Concept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Yamauchi, Takashi;Kang, Dongshik;Miyagi, Haya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575-578
    • /
    • 2002
  • In this study, it enabled to perform keyword search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more flexibly by taking in the concept of geographic thesaurus in order to make the keyword search that was more efficiently. The search procedure depends on the history when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This study provides a system for keyword searching as well as check the validity of the system. Furthermore, by establishing this reference method, the search that took in the query of a user flexibly is attained rather than a chosen type reference system.

  • PDF

지리 정보 데이타베이스에서 대용량의 공간 객체를 위한 저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orage Management for Large Spatial Objects in Geographic Database Systems)

  • 황병연;김병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GIS(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간 객체를 위한 색인 방법에 대해 과거의 연구를 토대로 해서 7개의 클래스로 분류를 해보고 이로부터 새로이 제안하는 색인 방법인 MAX(Multi-Attribute indexing scheme)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MAX의 여러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제시한다. 이미 성능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시스템에 구현한다면 상당한 성능을 가진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MAX는 이 기법이 가지는 B 트리의 확장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 PDF

GIS와 RS에 기반한 지방자치단체 지리정보콘텐츠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Contents in Local Government on the basis of GIS and RS)

  • 김항집;서동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251-254
    • /
    • 2003
  • 이 연구는 지방정부의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정보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공간정보기술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와 RS(Remote Sensing)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정보의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지방정부 홈페이지의 콘텐츠를 다양타함과 동시에 공간정보의 응용분야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인 전라남도 무안군을 대상으로 인터넷 관련 콘텐츠, 지리정보 관련 콘텐츠 및 인공위성영상 관리프로그램의 3가지 지역정보콘텐츠를 개발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정보 및 관광정보 둥 공간정보의 현실성과 가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PDF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복잡한 객체를 위한 저장 관리 (Storage Management for Large Complex Object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황병연;김병욱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요약문
    • /
    • pp.63-7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간 객체를 위한 색인 방법에 대해서 과거의 연구를 토대로 분류를 해보고 이로부터 새로이 제안하는 색인 방법인 MAX (Multi-Attribute indexing scheme)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MAX의 여러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제시한다. 이미 성능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시스템에 구현한다면 상당한 성능을 가진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MAX는 이 기법이 가지는 B 트리의 확장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 PDF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A Study on Applicable Methods of Web 2.0 into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이종수;이우균;전성우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1호
    • /
    • pp.81-100
    • /
    • 2008
  • 최근 웹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있는 웹 2.0에 관한 주요 논의 요소를 도출하고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웹 2.0이란 서버-클라이언트 중심의 정적인 기존 웹 환경에 대비해 개방과 참여, 공유 등 사용자 중심의 웹 플랫폼을 제공하는 차세대 웹 환경을 뜻한다. 웹 2.0을 구현한 지리정보 서비스 사례들은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웹 2.0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뿐만 아니라 정보와 서비스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보를 관리하는 관점이 소유나 독점이 아니라 공유와 개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은 정보시스템을 포털화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웹 2.0시대에서 포털서비스는 하나의 정보 허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사용자가 파일 탐색기와 같은 손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모아서 개인 블로그 형태로 만들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있다. 우선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토지리정보 시스템들의 폐쇄성 극복과 표준화된 자료구축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외형적으로만 웹 2.0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기존 시스템의 형태만 바꿔 정보를 나열하는 식의 획일화 된 서비스는 지양해야 한다.

  • PDF

GML Map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 Song, Eun-Ha;Jeong, Young-Si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33-42
    • /
    • 2010
  • GIS can only be applied to certain areas by storing format. It is subordinate to a system when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therefore inevitable for GIS to use GML that supports efficient usage of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interoperability for integration and sharing. The paper constructs VisualGML that translates currently-used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DXF (Drawing Exchange Format), DWG (DraWinG), or SHP (Shapefile) into GML format for visualization. VisualGML constructs an integrated map pre-process module, which filter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its tag and properties, to provide the flexibility of a mobile device. VisualGML also provides two major GIS services for the user and administrator. It can enable visualizing location search. This is applied with a 3-Layer POI structure for the user. It has trace monitoring visualization through moving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for the administrator.

Implementing a Sustainable Decision-Making Environment - Cases for GIS, BIM, and Big Data Utilization -

  • Kim, Hwan-Yong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4-33
    • /
    • 2016
  • Planning occurs from day-to-day, small-scale decisions to large-scale infrastructure investment decisions. For that reason,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priately assist decision-making process and its optimization. Lately, initiation of a large amount of data, also known as big data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diverse disciplines because of versatility and adoptability in its use and possibility to generate new information. Accordingly, implementation of big data and oth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ve received enough attention to establish each of its own profession and other associated activities. In this extent, this study illustrates a series of big data implementation cases that can provide a lesson to urban planning domain. In specific, case studies analyze how data was used to extract the most optimized solution and what aspects could be helpful in relation to planning decisions. Also, important notions about GIS and its application in various urban cases are examined.

GOTHIC을 위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DTS Data Conversion System for GOTHIC)

  • 장염승;김준종;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9-115
    • /
    • 2000
  •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독립적인 저장구조를 가지고 많은 양의 지리 정보 데이타를 다루고 있다. 이런 이유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한 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들간의 지리 데이타 교환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지리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은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들을 입력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인 GOTHIC을 위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데이타의 손실없는 변환을 위해서 먼저 SDTS 데이타와 GOTHIC 데이타간의 매핑을 설계하였다. 특히, SDTS 데이타가 ISO8211 형태이므로 엑세스를 위해 FIPS123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고, 또한 GOTHIC의 내부적인 포맷은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GOTHIC 데이타를 엑세스하기 위해 GOTHI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은 효과적인 지리 정보 데이타의 변환을 위해 중간 화일을 이용하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UIL을 이용하였다.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 실험연구 (Acquisi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Nor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 사공호상;한선희;박진형;서기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6-56
    • /
    • 2004
  • 남북한간 경제협력과 교류가 어느 때 보다도 활발하게 추진됨에 따라 북한지역에 대한 지리정보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렇다 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효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북한의 사례지역에 대해 실제로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위치정확도도 검증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총 52개 항목의 지리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스테레오 영상의 수평 및 수직오차는 각각 4.6m와 0.9m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단영상의 수평오차는 약 9m 정도로 스테레오 영상보다는 크지만 북한관련 업무나 연구의 기초자료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