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2,242건 처리시간 0.03초

Uncertainty Analysis of Flash-flood Predic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cIUH in the Yeongdeok Basin, Korea

  • Choi, Hyun;Chung, Yong-Hyun;Yoon, Hong-J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884-887
    • /
    • 2006
  • This paper focuses on minimizing flood damage in the Yeongdeok basin of South Korea by establishing a flood prediction model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remote sensing, and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cIUH) techniques. The GIS database for flash flood prediction was created using data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soil maps, and Landsat satellite imagery. Flood prediction was based on the peak discharge calculated at the sub-basin scale using hydrogeomorphologic techniques and the threshold runoff value. Using the developed flash flood prediction model, rainfall conditions with the potential to cause flooding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cumulative rainfall for 20 minutes, considering rainfall duration, peak discharge, and flooding in the Yeongdeok basin.

  • PDF

PDA기반의 산림지리정보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DA-Based Software for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 석수일;이헌호;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7-13
    • /
    • 2007
  • 본 연구는 산림에서 개인휴대 단말기(PDA)를 기반으로 수치지형도와 GPS를 활용하여 산림지리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림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의 주요 내용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산림지리정보검색 소프트웨어는 PocketPC 2002/2003 운영체계에서 작동하도록 하였다. PDA의 표시 화면은 DXF형식의 1:25,000 수치지형도를 PC에서 변환하여 활용하며, PDA에 표시하는 지도데이터는 1:2,500에서 1:30,000까지 5단계로 확대, 축소 표시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GPS에서 수신한 위치정보 및 이동 경로정보를 화면에 나타내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DXF형식의 수치지형도의 레이어 중 선택한 정보를 본 시스템에서 활용이 가능한 이진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DXF 파일 크기 대비 90%이상 압축이 가능하였고, PDA의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산림지리정보검색 소프트웨어는 sub menu 기능과 grid index를 활용하여 GPS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함께 산림조사 자료입력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표본점의 관리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산림작업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임상, 소유, 위치, 임도, 사방댐, 시설물 설계도 등 산림지리정보를 현장에서 즉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산림지리정보검색 소프트웨어는 지리정보 표시기능과 정보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일반인들의 등산, 관광, 유적지 답사 등에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산재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재 모니터링 지리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Monitor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Big Data)

  • 유동희;정석훈;이정화;최근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2호
    • /
    • pp.217-23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monitor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at analyzes and visualizes the types of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based on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big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Using the developed system, we explained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areas of the applied workplace, medical care application, index, and medical care institution. We also showed examples of analyzing the index and medical care institution area. By applying the system, we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urrent status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confirm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current status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Findings We generated more helpful information by combining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data and designated medical care institution data. We were able to apply the severity score and the vulnerability index of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to the system as a demonstration. To efficiently manag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t was necessary to integrat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designated medical care institution data, as well as the data from various sources.

An Individu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n a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Yutaka-Ohsawa;Kim, Kyongwol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Image Technology
    • /
    • pp.105-110
    • /
    • 1998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anage individual information on large scale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On such system, ordinary users usually cannot alter the contents of the server.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makes possible to alter the contents or add individual data onto such kinds of non-write-permitted data onto set. We call the method as GDSF, ‘geographic differential script file’. In this method, a client user makes a GDSF which contains the private information to be added onto the served data. Then, the client keeps the file on a local disk. After this, when the user uses the data, he applies the differential data sequence onto the down loaded data to restore the information. The GDSF is a collection of picture commands which tell pictures insertions, deletions, and modification operations. The GDSF also can contain the modification. The GDSF also can contain the modific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geographic entities. The method also applicable to modify data on a ROM device, for example CD-ROM or DVD-ROM.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 and experimental results.

  • PDF

항공 Lidar와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해상과 육상의 통합 지형공간정보 구축 (Integrate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of Ocean and Terrain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and Airborne Lidar Data)

  • 이재원;최혜원;윤부열;박치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2014
  • 최근 국내외적으로 육상과 해상에 대한 3차원 지리정보의 연계 활용이 가능한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육상에 대한 3차원 지리정보구축 작업은 항공 Lidar의 도입으로 인하여 높은 정확도로 넓은 지역의 위치정보 획득이 용이해짐에 따라 3차원 지형모델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해상분야에서도 관련기관들이 해양지리정보체계(MGIS :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과 활용을 위한 연안해역에 대한 각종 해양정보를 조사 및 측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육상과 해상에 대한 통합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육상과 해상의 좌표계와 기준면 등이 일치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 자료와 멀티빔 음향측심(Multibeam Echo Sounder) 자료를 이용하여 육상과 해상에 대한 좌표계와 기준면을 일치시킨 후 통합 지형도를 제작하여 통합 지형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통합 지형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임의의 지점 10곳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수심에 대한 RMSE가 0.46m로 IHO(국제수로기준 :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에서 규정하는 수심정확도 0.5m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복잡한 객체를 위한 저장 관리 (Storage Management for Large Complex Object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황병연;김병욱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요약문
    • /
    • pp.63-7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간 객체를 위한 색인 방법에 대해서 과거의 연구를 토대로 분류를 해보고 이로부터 새로이 제안하는 색인 방법인 MAX (Multi-Attribute indexing scheme)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MAX의 여러 연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제시한다. 이미 성능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시스템에 구현한다면 상당한 성능을 가진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MAX는 이 기법이 가지는 B 트리의 확장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 PDF

전력선통신 기반 저압원격검침 시스템의 공간 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배전망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Network with Location Informations of Power Line Communication-based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 서충기;이승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3호
    • /
    • pp.365-369
    • /
    • 2015
  • In this pap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for a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network was implemented with location informations acquired from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where the location informations of power line communication(PLC) modems installed at customer side were collected at data concentration units(DCUs) of headend equipment via PLC and then were transmitted to front end processor server. By display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power distribution network on GIS map, operation of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AMI) or management of power grid system could be performed intuitionally and in real time, because the configuration state of the power grid could be easily monitor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was confirmed with the especially constructed laboratory-level test bed and the verification test of the system will be carried out for a real power distribution network.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지리정보 DB 연구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for Facilitating Regional Development)

  • 김항집;최봉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80
    • /
    • 2002
  • 본 연구는 GIS와 지리정보 DB가 지역계획이나 도시계획을 위한 단순한 기능적 도구가 아니라,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지역정보기반으로서 구축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지리정보 DB 구축사례를 분석하고, 정보사회에서 GIS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개발과 연계되는 지리정보 DB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의 내용적 기술적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서술하였다. 즉, 향후의 지역 지리정보는 내용적으로는 다양화, 충실화, 기능화되고, 기술적으로는 메타자료의 구축,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DB구조의 유연성을 갖추어야 하며, 제도적으로는 유통체계 확립 민관 정보공유, 지리정보 공개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 PDF

GML Map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 Song, Eun-Ha;Jeong, Young-Si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33-42
    • /
    • 2010
  • GIS can only be applied to certain areas by storing format. It is subordinate to a system when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therefore inevitable for GIS to use GML that supports efficient usage of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interoperability for integration and sharing. The paper constructs VisualGML that translates currently-used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DXF (Drawing Exchange Format), DWG (DraWinG), or SHP (Shapefile) into GML format for visualization. VisualGML constructs an integrated map pre-process module, which filter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its tag and properties, to provide the flexibility of a mobile device. VisualGML also provides two major GIS services for the user and administrator. It can enable visualizing location search. This is applied with a 3-Layer POI structure for the user. It has trace monitoring visualization through moving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for the administrator.

Relational Detabase Management System as Expert System Building Tool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Lee, Kyoo-Se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5-119
    • /
    • 1987
  •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opologically structu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ith relational DBMS, the attribute data can be handled without considering locational data. By utilzing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al DBMS, it can be used as an expert system building tool in GIS. The relational DBMS of the GIS furnishes the data needed to perform deductive functions of the expert system, and the rule based approach provides the decision rules. Therefore, rule based approach with the expert judgemen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relational DB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