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4,240건 처리시간 0.038초

GIS를 이용한 가상 관광시스템 구축방안 (Construction Method of a Cyber Tourism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허준영;서장훈;김용범;박명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5-183
    • /
    • 2003
  • It should be needed to realize a general system which make it possible to enjoy cyber tourism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to recover a local potential growth power, catch a jumping chance again, and hold a new competitive power. But to discuss a tourism information system, the matters of hard ware, software and information mediating system should be reviewed generally, this research is likely to provide a cyber tourism information system through internet as a way of cyber tours through multimedia technology and stereoscopic image techniqu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entering on the networking system of tourism information. Constructing $\ulcorner$cyber touristy city$\lrcorner$ on internet, foster a new industry, to go balanced with a present tourism industry and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various theme tours create high profit to shrunken tourism industry. Remark : multimedia technology, stereoscopic imag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PDF

국가지리정보사업 추진을 위한 영국지리정보 유통구조 및 정책 연구 - 영국지리정보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Structures and Policies of British Geographic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Korea National GIS Project)

  • 김복환;김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이상 지리정보기반을 구축하고 활용해왔던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영국의 지리정보구축과정, 시장구조, 정부정책을 고찰하고, 한국의 지리정보사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기관 주도로 지리정보 구축사업이 진행된 이후 구축기관의 에이젼시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민간으로의 지리정보 이용 및 활용 확산단계에 와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통해서 영국의 지리정보유통시장은 지리정보 공급자와 수요자들간에 지리정보 부가가치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 가공 판매자가 나타났으며, 영국지리정보원 주도로 민간과의 파트너쉽 형성이 활발하다. 이를 토대로 민간부문에서는 지리정보의 상업화 성공을 경험하고 있으며 영국지리정보원에 의한 주요 수요자층과의 장기공급계약은 수요자층의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안 내용은 향후 우리나라의 지리정보사업을 위한 정책적 제안으로써 민간부문의 시장참여를 유도하는 정책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지리정보 재판매자의 자율성 확대 및 지리정보 공급자 및 기관의 고객 중심의 경영마인드 확산, 연구개발 장려를 위한 국가지리정보의 무료 혹은 저가의 지리정보이용 정책이 시급히 개발, 시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객체지향 지리 데이터 모델에 의한 지하수의 오취약성 분석을 위한 관리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ystem fo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Calibration of the Ground Water by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Data Model)

  • 이홍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12
    • /
    • 2003
  • 이 논문은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는 것이다. 응용 지리영역에서 지형지물을 추출하여 지리-객체로 규정하고, 관정으로부터 추출된 화학적 요소들로부터 지리-필드를 규정한다. 또한 이 지리-객체와 지리-필드 사이의 위상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토지 이용도와 지하수에 표현된 화학 성분에 등급과 가중치를 부여한다. 지형 클래스, 행정 경계 클래스, 토지 이용 클래스와 관정 클래스는 관정 객체들 사이에 공간 관계성을 가지는 클래스합성계층구조를 이루며, 이 클래스 계층구조는 편리한 오염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반이 된다. 이 연구를 통해 구현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은 다른 자연환경의 오염 취약성 평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비협동 양상태 소나에서 적함 송신기의 단일 능동 신호와 해저 지형 정보를 이용한 송신기 정보 추정 (Source Information Estimation Using Enemy's Single-Ping and Underwater Geographic Information in Non-Cooperative Bistatic Sonar)

  • 이동화;남종근;정태진;이균경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6-203
    • /
    • 2010
  • The bistatic sonar operations using a spatially-separated source and receiver are classified into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operations. In the cooperative operation, an active signal of a friendly ship is used and the source information is known previously. In the non-cooperative operation, an active signal of the enemy is used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source information. The source information consists of the range, speed, course and frequency of the source. It gives advantage to operating bistatic sonar.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estimating the source information with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sea and the single-ping of the enemy. The source range is given using one geographic point. And the source speed, course and the frequency of the enemy's source signal are given using two geographic points. Finally, the validity of the scheme is confirmed through a simulation study.

객체지향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한 도시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Database Design for an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n Object-oriented Approach)

  • 옥한석;김갑열;김창환;김상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6-66
    • /
    • 1998
  • 본 연구는 지적 정보와 지형정보를 기초로 한 도시지리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종합적인 도시토지정보관리를 위한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 보고자 하였다. 객체지향 모델링 기법(Object-oriented Modeling Technique:OMT)은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모델에 비하여 다수의 개체와 다양한 형태의 자료형이 존재하는 복잡한 도시지리정보를 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모델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시지리정보의 내용 중에서 토지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한 정보 수요를 파악하고, 그 다음으로 이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수행하였다. 전통적인 관계형 모델보다는 훨씬 탁월하고 재생능력이 풍부하였다. 도시정부의 토지 관련 각 부처에서 다루고 있는 정보내용을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객체지향형 모델링으로 통합하여 시스템 내에서 구축하게 되면 행정의 능률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 PDF

인터넷 GIS 환경에서 위치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오충원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5-69
    • /
    • 2003
  • The Location Based Services comprised GIS and Telecommunication allow users to receive various services based on their geographic location. It is need to legislation to encourage the provision and use of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privacy protection to users. But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on proposed by Korean government have problems conflicted between protection of a person's location information and invigora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complementary measures for privacy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From a viewpoint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geographic information.

  • PDF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Implementation of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in Non-Urban Area)

  • 김재명;최윤수;서창완;조한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63-74
    • /
    • 2010
  •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구축 추진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도적 기반 확립을 통해,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지리정보구축을 토대로 전국토가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의 정보화를 강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장기 계획안은 1/1,000 수치지도와 영상지도, 수치표고모형을 동시에 제작함으로써 1단계에서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 및 유지관리 조직 구성, 비도시지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관련법규 정비 및 지역협의회 구성의 기반정보를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확산, 지리정보유통 활성화,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도시계획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3차원공간정보시스템 구축의 정보화 확산 및 3단계에서는 지리정보 현행화 및 유지관리, 부가가치정보 생산, 행정업무의 고도화 및 대민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정보 고도화를 실현함으로써 시군구/시도/중앙정부의 통합지리정보의 기반이 되는 지리정보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양 .수산 정보 관리를 위한 RS 및 GIS 기술의 활용 (Integr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for management of fisheries and oceanographic information)

  • 김상우;김영섭;윤홍주;남광우;김형석;최철웅;서영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해양과 수산 분야에 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RS(Remote Sensing)의 팔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GIS와 RS는 선진 과학 기술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지구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의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GIS와 RS는 해양과 수산에 관련된 다양한 현상을 관측하고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게 이용될 것이다.

  • PDF

GML Map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 Song, Eun-Ha;Jeong, Young-Si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33-42
    • /
    • 2010
  • GIS can only be applied to certain areas by storing format. It is subordinate to a system when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therefore inevitable for GIS to use GML that supports efficient usage of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interoperability for integration and sharing. The paper constructs VisualGML that translates currently-used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DXF (Drawing Exchange Format), DWG (DraWinG), or SHP (Shapefile) into GML format for visualization. VisualGML constructs an integrated map pre-process module, which filter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its tag and properties, to provide the flexibility of a mobile device. VisualGML also provides two major GIS services for the user and administrator. It can enable visualizing location search. This is applied with a 3-Layer POI structure for the user. It has trace monitoring visualization through moving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for the administrator.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 김경탁;최윤석;김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7-96
    • /
    • 2004
  • 유역의 공간 DB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경우에는 DEM으로부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 인자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자동으로 공간 DB의 속성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정보인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롤 위하여 프레임워크 공간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실제 유역을 대상으로 프레임워크 공간 DB률 구축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순수 국내기술로 수자원 공간자료 생성 및 수자원 시스템 개발 모듈인 HyGIS(Hydrolog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개발하였다.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 및 공간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실제 유역의 프레임워크 공간 DB를 구축하는 기본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