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7초

Point Cloud 기반의 고해상도 원시데이터 연계 및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inking & Management System for High-Resolution Raw Geo-spatial Data based on the Point Cloud DB)

  • 김재학;이동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2-144
    • /
    • 2018
  • 건설, 의료, 컴퓨터 그래픽스, 도시공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3차원 공간정보 모델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측량 및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공간정보 데이터가 다양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3차원 공간정보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활용도 높은 3차원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은 관측과 처리에 고액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수요처에서는 이러한 고비용의 공간정보 구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의 3D 공간정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의 3D 모델의 구축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Point Cloud, UAV 관측영상 등의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관리하는 기관이 분리되어 있고 사용하기 위해 요청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활용에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로대장 관리 분야를 대상으로 3D 구축에 필요한 기반데이터를 통합하여 연계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를 Point Cloud 형식으로 구성하여 도로대장 관리에 적용할 경우 6개의 주요 관리항목을 효과적 구축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u-GIS 콘텐츠를 위한 GeoPhoto 콘텐츠 언어의 설계 (Design of GeoPhoto Contents Markup Language for u-GIS Contents)

  • 박장유;남광우;진희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42
    • /
    • 2009
  • 이 논문은 공간 사진을 이용한 u-GIS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는 상이한 여러 플랫폼에서 개인 맞춤형 공간 사진 영상 정보를 표출 및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GeoPhoto 콘텐츠 모델과 마크업 언어를 포함하고 있다. GeoPhoto 콘텐츠 언어는 다양한 공간 사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GeoPhoto, CubicPhoto, SequenceGeoPhoto 타입을 기반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리 정보, 위치 정보, 사진 정보등의 정보를 융합하여 표현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사진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 모텔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다양한 GeoPhoto 콘텐츠 모텔과 이 콘텐츠들 사이의 연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논문은 GeoPhoto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연산으로서 Annotation 연산과 Enlargement 연산, Overlay 연산들을 제안하고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 Geo-Semantic App by Combining Mobile User Contexts with Geographic Ontologies

  • Lee, Ha-Jung;Lee, Yang-W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3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 GIS framework for geo-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We built geographic ontologies of POI (point of interest) and weather information for use in the combination of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in a fully integrated database. We also implemented a geo-semantic app for Android-based smartphones that can extract more appropriate POIs in terms of user contexts and geographic ontologies and can visualize the POIs using Google Maps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 feasibility tests showed our geo-semantic app can provide pertinent POI information according to mobile user contexts such as location, time, schedule, and weather. We can discover a baking CVS (convenience store) in the test of bakery search and can find out a drive-in theater for a not rainy day, which are good examples of the geo-semantic query using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As future work, we should need ontology-based inference systems and the LOD (linked open data) of various ontologies for more advanced sharing of geographic knowledge.

공간 데이터스트림을 위한 조인 전략 및 비용 모델 (Strategies and Cost Model for Spatial Data Stream Join)

  • 유기현;남광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9-66
    • /
    • 2008
  • GeoSensor 네트워크란 지리공간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들을 모니터링하는 특정형태의 센서네트워크 인프라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GeoSensor 네트워크는 데이터스트림과 공간 속성의 데이터를 가진 스트림, 또는 공간 릴레이션과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연구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간 정보를 배제한 센서 데이터스트림에 대한 저장 및 검색 방안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GeoSensor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스트림과 공간 데이터가 결합된 형태의 공간 데이터스트림의 정의 및 그들 간의 조인 전략들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간 데이터스 트림에는 이동 객체 형태의 동적 공간 데이터스트림과 고정된 형태의 정적 공간 데이터스트림이 있다. 동적공간 데이터스트림은 GPS와 같이 동적으로 이동하는 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스트림을 말한다. 반면, 정적 공간 데이터스트림은 일반 센서 형태의 데이터스트림과 이러한 센서들의 위치 값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션과의 조인으로 만들어 진다. 본 논문은 동적 공간 데이터스트림과 정적 공간 데이터스트림의 조인 및 조인 비용을 추정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비용 모델의 검증 및 조인 전략에 따른 조인 성능을 보이고 있다.

  • PDF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 김문기;윤동현;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59-68
    • /
    • 2015
  • 1995년 이후 수행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사업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많은 공간정보를 축적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데이터와 민간의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부재, 지자체에서의 활용 및 홍보 부족 그리고 민간협력 미흡 등의 난제로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으로써의 확실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서비스 된지 3년이 지난 현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면, 주로 해외진출, 연계, 서비스개선, 활용, 향후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해외의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동향과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신기술과 비즈니스 플랫폼의 개념, 서울시 공간정보 플랫폼 등을 종합하여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의 특징 및 정책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y Direction for Promot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y Input-Output Analysis)

  • 임시영;안종욱;이미숙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공간정보산업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정보산업을 재분류하고 이에 맞게 산업연관표를 수정하여 공간정보산업을 분석하였으며 생산유발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력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공간정보산업은 생산유발효과는 작으나 전방연쇄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산업생태계 조성, 고도화와 활용도 향상 병행, 장기적 관점 수립'으로 제시하였다.

대열차 공간 화상설비의 무선설비 현황 및 전망 (Present Condition and View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s of Geo-spatial Video System in Subway Trains)

  • 김지호;이향범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366-370
    • /
    • 2007
  • This paper discusses a most sui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subway trains on condition that a geo-spatial video system is implemented in subway trains. Geo-spatial video system for subway trains refers to the device that can transfers the images captured by cameras within a subway station building or in and around a subway track to on coming trains wirelessly, which allows the operator in operating room to monitor the state of a platform and a subway track, the flow of passengers, and the condition of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o minimize the problem, secure civil safety and prevent accidents and calamity from occurring, a geo-spatial video system for subway trains has been increasingly introduced. Th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for GVS for subway trains involve HF(High Frequency), IR(Infra Red), M/W(Micro Wave), wireless LAN approaches. Each has its own strengths/weaknesses, and different vendors have different technology.

  • PDF

都市情報解析을 위한 地形空間情報體系의 資料基盤部 構築에 關한 硏究 -上水道 施設物管理 中心으로- (A Study 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Establishment for Urban Information Analysis -With Emphasis on Water Supply Facilities-)

  • 유복모;윤경철;최철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36
    • /
    • 1992
  • 최근 지형공간정보체계(GSIS)는 도시업무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도시의 여러 관리 및 계획, 통제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지형 자료기반부(database)를 구축하여 실 업무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부를 구축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상수도 시설물 관리 업무에 적용하였다. 상수도 사업 업무분석을 통하여 지형공간 자료기반부를 구축하였고, 지도 및 각종 도면을 사용하는 부서를 중심으로 4개의 주요 업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재난현장조사 공간정보 웹 가시화를 위한 3차원 맵핑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Mapping System for Web Visual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Disaster Field Investigation)

  • 김성삼;노현주;신동윤;이준우;김현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4호
    • /
    • pp.1195-1207
    • /
    • 2020
  • GeoWeb 기술이 발전하면서 재난관리 분야에서도 웹을 통한 2D/3D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재난사고 현장에서 수집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웹 환경에서 시각화하기 위한 3D 공간정보 맵핑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웹 개발 표준기술인 HTML5/WebGL과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재난사고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된 2D/3D 공간 데이터와 대용량의 LiDAR 점군 데이터에 대한 웹기반의 공간정보 맵핑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오픈소스인 GeoServer의 WMS 서비스와 PostGIS를 이용하여 수집된 재난현장 조사 2D 데이터를 공간 DB로 구축한 후 웹 환경에서 렌더링하였다. 둘째, 웹 환경에서 대용량 3D 점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하여 다중 해상도의 옥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점군 데이터를 2D 타일로 단순화하는 Potre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OpenLayers3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를 제어 및 측정하기 위한 기본·응용 기능을 Graphic User Interface(GUI)로 구현하여 2D/3D 공간정보의 웹 시각화를 위한 3D 웹 맵핑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향후, 재난현장의 각종 2D 조사 데이터 및 다양한 공간영상정보를 구축된 웹기반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에 중첩·표출함으로써 재난사고 과학조사 및 분석 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 가로수를 중심으로 - (Facility Management using Ubiquitous Technology - Focused on Roadside Trees -)

  • 김의명;강민수;이진영;김병헌;김호준;김인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05-118
    • /
    • 2006
  • 도면과 대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한 기존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시설물의 2차원 또는 3차원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없고 이를 종합적으로 운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형지물 전자식별자를 개량하여 시설물 관리에 적용 가능하도록 관리기관과 일련번호 부여방법이 개량된 UFID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UFID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성은 가로수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평가되었으며, 이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다양한 시설물 관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