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dex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의 특징 및 정책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y Direction for Promot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y Input-Output Analysis)

  • 임시영;안종욱;이미숙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공간정보산업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정보산업을 재분류하고 이에 맞게 산업연관표를 수정하여 공간정보산업을 분석하였으며 생산유발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력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공간정보산업은 생산유발효과는 작으나 전방연쇄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산업생태계 조성, 고도화와 활용도 향상 병행, 장기적 관점 수립'으로 제시하였다.

스마트 센서와 시각적 기술자를 결합한 사진 검색 시스템 (Photo Retrieval System using Combination of Smart Sensor and Visual Descriptor)

  • 이용환;김흥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5-52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photo retrieval system that automatically indexes for searching of relevant images, using a combination of geo-coded information, direction/location of image capture device and content-based visual features. A photo image is labeled with it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s and direction of the camera view at the moment of capture, and the label leads to generate a geo-spatial index with three core elements of latitude, longitude and viewing direction. Then, content-based visual features are extracted and combined with the geo-spatial information, for indexing and retrieving the photo images. For user's querying process, the proposed method adopts two steps as a progressive approach, filtering the relevant subset prior to use a content-based ranking func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we assess the simulation performance in terms of average precision and F-score, using a natural photo collection. Comparing the proposed approach to retrieve using only visual features, an improvement of 20.8% was observ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xhibited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around 7.2% in retrieval effectiveness, compared to previous work. These results reveal that a combination of context and content analysis is markedly more efficient and meaningful that using only visual feature for image search.

Indices Characterizing Road Network on Geo-Spatial Imagery as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 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4
    • /
    • 2004
  • In GIS-based network analysis, topological measure of network structure can be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the urban transportation analysis. Related to this measure, it is known that the connectivity indices such as alpha index and gamma index, which mean degree of network connectivity and complexity on a graph or a circuit,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himbel index is one of GIS-based spatial metrics to characterize degree of network concentration. However, the approach using these quantitative indices has not been widely used in practical level yet.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program, in complied as extension, running on ArcView- GIS is implemented and demonstrated case examples using basic layers such as road centerline and administrative boundary. In this approach, geo-spatial imagery can be effectively used to actual applications to determine the analysis zone, which is composed of networks to extract these indices. As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case examples, it is notified that alpha and gamma indices as well as shimbel index can be used as referential data or auxiliary information for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

DEVELOPING THE REFORESTRATION SIMULATION SYSTEM USING 3D GIS

  • Jo Myung-Hee;Jo Yun-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721-724
    • /
    • 2005
  • In this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s of forest in forest damaged area were first considered by analyzing spatial data and monitoring forest landscape. Then suitable tree species on each site were selected through the weighted score analysis of GIS analysis methods. Finally, the best forest stand arrangement method could be presented on the 3D based simulation system for the advanced reforestation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virtual reforestation system was implemented by using the concept of virtual GIS and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 By use of this system the change offorest landscape of burnt forest area some years after reforestation practice could be detected and monitored by applying the site index and 3D modeling method.

  • PDF

DESIGNING AND DEVELOPING E-MAP COMPONENT USING UML

  • Jo Myung-Hee;Jo Yun-Won;Kim Dong-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66-469
    • /
    • 2005
  • In this study e-map component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possibly overlay with all kinds of thematic maps in various scales and provide the all detailed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IS. Also, this system has powerful map composition tool to display map such as legend, scale bar, index map and so on. For this, this e-map component was designed by using UML and developed based on Windows 2000 and implemented by using Visual Basic 6.0 as development programming language, Map Objects 2.1 of ESRI as GIS component. Through this system, the forest officials could generate more detailed topography and desired thematic map. In addition, the data consistency in DBMS could be maintained by using SDE (Spatial Database Engine) for their job and share the standard forest database with others in real time.

  • PDF

GOOD 2.0 : 공간 인덱스를 사용한 지리 데이타 관리기 (GOOD 2.0 : a Geographical Data Manager using Spatial indices)

  • 오병우;한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7-149
    • /
    • 1995
  •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공간 인덱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한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데이타 관리기인GOOD 1.0에 공간 인덱스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 인덱스 처리 모듈을 추가하여 GOOD 2.0을 설계 및 구현한다. 즉, 공간 인덱스로는 R tree 및 R* tree를 지원하여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효율성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능 평가를 길시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성능 평가 시에는 다양한 환경 요소들을 고려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 관리자가 해당 도메인에 적합한 공간 인덱스를 선택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격자기반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지수 간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연구 (Analyzing Spatial Correlation between Location-Based Social Media Data and Real Estates Price Index through Rasterization)

  • 박우진;어승원;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가 지역별 부동산 지수와 어떠한 공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 데이터는 상이한 자료 형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상 데이터로는 2013년 8월 한 달간의 지오태그된 트윗 데이터와 행정구역별 주택가격지수(매매, 전세)를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두 데이터 간의 상이한 공간적 단위를 고려하여 2,000m 단위의 격자망을 구성하고 이에 맞게 두 데이터를 격자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두 데이터에 대하여 Hot spot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 분포를 시각적으로 비교하였으며, 공간시차를 고려한 이변량 공간적 상관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각적, 정량적 분석 결과, 서초구 지역이 트윗 데이터와 주택매매가격지수 데이터에서 공통적인 Hotspot 지역으로 탐색되었으나 주택전세가격지수 데이터와는 뚜렷한 공간적 상관성이 탐색되지 않았다.

GSIS에 의한 산불 피해 지점의 공간 분포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for Forest Fire Areas using GSIS)

  • 양인태;유영걸;최승필;김응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3-100
    • /
    • 1999
  • 산불은 천연자원, 멸종위기에 처한 동 식물, 사람의 재산 및 생명까지도 항상 위협하는 존재이다. 산불의 효과적인 관리는 복잡한 공간 관련성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람의 활동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는 산불에 대한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 지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형, 식생, 생활환경, 토양, 지질 인자 등을 선정 분류하고, GSIS와 원격탐사 기술을 통합 적용하여 산불 발생 지점의 공간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1990년대 들어서 증가하고 있는 산불 발생 원인을 식생지수의 비교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지형공간 정보를 활용한 산사태 안정평가의 확률론적 해석 (Probabilistic Analysis for Stability Evaluation of Landslid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 박병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5-62
    • /
    • 2006
  • 본 연구는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형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힘의 평형으로 유도된 무한사면 안정해석모델을 적용하여 산사태 가능성을 정량적인 안전지표로 평가하였다. 또한, 해석모델에 입력인자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확률변수 개념을 도입하여 신뢰성 이론에 근거를 둔 산사태의 확률론적 분석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해석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현장자료로부터 지형정보와 토질 조건 등을 획득하고, 넓은 지역에 대한 개략적 평가를 위한 전체해석과 세밀한 결과 도출을 위한 상세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반적인 산사태 발생 가능성 경향, 산사태 가능성이 높은 상세해석 구간 선정 및 상세구간에서의 보다 높은 정도의 산사태발생 가능성을 안전율과 파괴확률의 안정지표로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드론 원격정보를 활용한 실제증발산량의 산정: 가뭄지수를 위한 사전테스트 (Comput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Drone-based Remotely Sensed Information: Preliminary Test for a Drought Index)

  • 이근상;김성욱;함세영;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653-1660
    • /
    • 2016
  • Drought is a reoccurring worldwide natural hazard that affects not only food production but also economics, health, and infrastructure. Drought monitoring is usually performed with precipitation-based indice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te and amount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A drought index based on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can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severity of a drought can be quantified by making a spatial map. The procedure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is costly and complicated, and requires land surface informati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drone-driven remotely sensed data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A dron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The spatial resolution was 10 m with a grid of $404{\times}395$.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and parameterized to an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The result shows that drone-based data is useful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corresponding drought ind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