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 counseling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9초

Carrier screening for (CGG)n repeat expansion of FMR1 gene in Korean women

  • Kang, Kyung Min;Sung, Se Ra;Park, Ji Eun;Shin, Yun Jeong;Park, Sang Hee;Chin, Mi Uk;Lyu, Sang Woo;Cha, Dong Hyun;Shim, Sung Ha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3권1호
    • /
    • pp.14-19
    • /
    • 2016
  • Purpose: We examined the prevalence and CGG/AGG repeat structure of expanded alleles of the FMR1 gene in preconceptional and pregnant Kore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The CGG repeats in the FMR1 genes of 1,408 women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outhern blot analys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expansion alleles, the individuals were divided into low risk and high risk group. Results: Within this population, 98.4% had normal alleles and 1.6% had abnormal alleles including intermediate (0.6%), premutation (0.5%), full mutation (0.1%), and hemizygous (0.4%) alleles. There were 2 premutation alleles (1:666, 95% confidence interval [CI] 1:250-1,776) in the low risk group and 5 premutation alleles (1:15, 95% 1:6-36) in the high risk group. There were 8 intermediate alleles (1:167, 95% CI 1:130-213) in the low risk group and 1 intermediate alleles (1:76, 95% CI 1:11-533) in the high group. Six of the 7 premutation alleles did not contain AGG interruptions within the repeats and 1 had a single AGG interruption. Four of the 9 intermediate alleles contained 2-3 AGG, 4 had a single AGG, and 1 had no AGG interruptions.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s the prevalence and CGG/AGG structure of expansion alleles in Korean women. The identified premutation prevalence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Asian populations and lower than that of Caucasian populations. Although our study is limited by size and population bias, our findings could prove useful for genetic counseling of preconceptional or pregnant women.

Korean physicians' attitudes toward the prenatal screening for fetal aneuploidy and implementation of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with cell-free fetal DNA

  • Kim, Soo Hyun;Kim, Kun Woo;Han, You Jung;Lee, Seung Mi;Lee, Mi-Young;Shim, Jae-Yoon;Cho, Geum Joon;Lee, Joon Ho;Oh, Soo-young;Kwon, Han-Sung;Cha, Dong Hyun;Ryu, Hyun 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72-78
    • /
    • 2018
  • Purpose: Physicians' attitudes may have a strong influence on women's decision regarding prenatal screening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hysicians' attitudes toward prenatal screening for fetal aneuploidy including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NIPT)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t several obstetrics-gynecological conferences and meetings. The questionnaire included 31 multiple choice and 5 fill-in-the-blank questions. Seven questions requested physicians' demographic information, 17 questions requested information about the NIPT with cell-free fetal DNA, and 12 questions requested information about general prenatal screening practices. Results: Of the 203 obstetricians that completed the survey. In contrast with professional guidelines recommending the universal offering of aneuploidy screening, only 53.7% answered that prenatal aneuploidy testing (screening and/or invasive diagnostic testing) should be offered to all pregnant women. Physicians tend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linical application of NIPT as both primary and secondary screening methods for patients at high-risk for fetal trisomy. However, for patients at average-risk for fetal trisomy, physicians tend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only as a secondary screening method. Physicians with more knowledge about NIPT were found to tend to inform their patients that the detection rate of NIPT is higher.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expert opinion on prenatal screening in South Korea. Education of physicians is essential to ensure responsible patient counseling, informed consent, and appropriate management after NIPT.

BRCA 돌연변이 가계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 평가 (Evaluation of Psychosocial Impact and Quality of Life in BRCA Mutation Family)

  • 한상아;김새리;강은영;김정현;하태현;양은주;임재영;한원식;노동영;김성원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67-77
    • /
    • 2010
  •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인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계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암진단 및 돌연변이 보유 여부가 심리 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BRCA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13가계에서 암에 이환된 보인자 17명, 이환되지 않은 보인자 16명, 건강한 비보인자 13명이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낙관, 유전성 유방암관련 지식수준과 삶의 질을 설문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설문시기는 유전자 검사 후 평균 21개월(6-35)로 세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254). 세 군 간의 우울, 낙관, 육체적 삶의 질은 유사했다. 불안은 세 군 모두에서 일반인 보다 상승되어 있었다. 이환된 보인자의 정신적 삶의 질은 암에 이환된 보인자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9, P=0.017). 다변량 분석 결과 정신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인자는 암이환여부(P=0.043)와 직업유무(P=0.008) 였다. 결 론: 같은 돌연변이 가계 내에서 돌연변이 유무는 우울, 불안, 낙관에서 심리적반작용을 일으키지 않았으나, 돌연변이 가계 구성원의 불안 수준은 돌연변이 유무에 관계 없이 높았다. 본 연구는 소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한 단면적 연구이나, BRCA 유전자 검사에 수반될 수 있는 심리적 스트레스 및 그에 대한 대처법을 수립하는 데 기초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한국인 묘성증후군 20명 환자에서의 5p 결실 양상 분석 (The spectrum of 5p deletion in Korean 20 patients with Cri du chat syndrome)

  • 박상진;김숙령;백금녀;윤준노;정은정;권지은;김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133-141
    • /
    • 2007
  • 목 적:임상증상으로 정신지체, 발육부진, 소두증 등으로 묘성 증후군(Cri du Chat syndrome, CdCs)으로 의뢰된 20명 환자와 부모를 포함한 분자 및 세포유전학적 결과를 분석하므로, 유전형과 표현형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환자와 부모에 대해 분자세포유전학적(FISH, CGH array)및 세포유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고, 이와 함께 임상양상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20명 환자에 대한 5p 결실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 del(5)(p14)이 9명(45%)로 가장 많았으며, del(5)(p13)이 7명(35%), del(5)(p15.1)(15%)이 3명, del(5)(p15.2)이 1명(5%) 순의 결실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4명(20%)에서는 5p 결실 외에 다른 염색체(6, 8, 18, 22번)의 결실과 중복이 있음이 확인 되었고, 이중 3명의 환자는 부모 중 한 사람의 균형적 전자에서 기원한 불균형 전자 유형이었다(기원은 부계 2명, 모계 1명). 그리고 5p 결실 부위와 다른 염색체 이상 공존 여부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이와 같이 묘성증후군 환자와 부모를 포함하는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실양상에 대한 분자 세포 유전학 분석에 의한 정확한 결실 부위의 확인과 다른 염색체 이상의 결손과 증폭의 공존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유전형과 임상적 표현형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나아가 묘성 증후군 환자와 가족에 대한 효과적인 유전상담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한국인에서의 페닐케톤뇨증의 유전자변이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DNA Mutations of Phenylketonuria in Koreans)

  • 유수정;홍용희;이용화;정성철;기창석;이동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5권1호
    • /
    • pp.26-33
    • /
    • 2008
  • 목 적 : 페닐케톤뇨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아미노산 대사질환으로 PAH와 조효소인 $BH_4$의 활성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PAH 유전자 돌연변이와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PAH DNA 변이의 국가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 법 : 페닐케톤뇨증 환자와 환자 가족의 동의하에 DNA를 말초혈액의 백혈구에서 분리하여 PAH 유전자를 PCR을 통해 증폭하여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고 PAH 돌연변이가 하나의 대립유전자에서만 발견이 되거나 없는 경우는 분석된 서열을 MLPA를 시행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102명의 대립유전자 204개 중 199개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어 97%의 검출률을 보였다. 발견된 돌연변이는 총 44가지의 유전자형으로 9개는 novel missense mutation이었고 1개는 novel splice site mutation이었다. 가장 많은 대립 유전자형은 R243Q와 $IVS4^{-1}$G>A로 각각 13.1%와 11.6%를 나타내었다. 전형적 페닐케톤뇨증에서는 R243Q와 $IVS4^{-1}$G>A가 각각 14.2%를 차지하였고 $BH_4$ 반응형 페닐케톤뇨증의 경우에는 R241C가 33.3%,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이 R241C가 40%에서 나타났다. $BH_4$ 반응형 페닐케톤뇨증의 경우에는 약물 치료만으로 조절이 되는 환자에서 T278I와 V388M mutation이 발견되었고 약물 치료만으로 조절이 되지 않고 식사요법을 병행해야하는 환자들에서만 K95del과 A447P의 돌연변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2004년 이전에는 동양인에게서 A259T 대립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10.1%에서 발견되었다. 결 론 : 페닐케톤뇨증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 변이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BH_4$에 반응하는 유전자 변이들의 유전자형들이 확인되면서 PAH 유전자 분석은 페닐케톤뇨증 환자에서 진단, 유전상담, 식사 요법과 치료 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21-hydroxylase 결핍)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A Diagnostic Algorithm after Newborn Screening for 21-hydroxylase Deficiency)

  • 조성윤;고정민;이경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0-78
    • /
    • 2016
  •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중 가장 흔한 21-hydroxy-lase deficiency (21-OHD)는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17-hydroxyprogesterone (17-OHP)의 증가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17-OHP가 애매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ACTH 자극 검사가 필요하며, 이 검사는 nonclassical (NC형) 21-OHD 진단의 gold standard이다. 전형적인 임상 증상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남성화가 심하지 않은 여아, 경한 simple virilizing (SV)형 남아나 신생아 선별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 있는 NC형 환자의 경우,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예후 에측 및 유전 상담에도 도움이 된다.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는 17-OHP가 위양성을 보이기 쉬우므로 출생 주수나 출생 체중에 따른 cutoff 값 설정이 필요하다. 높은 위양성률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 RIA방법에 비해 최근 LC-MS/MS가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이는 검사로 주목 받고 있다. 21-OHD 신생아 선별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SW형 남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여아에서 성별 결정을 조기에 올바르게 하고, NC형 환자를 찾아내고, 미숙아/저체중 출생아/아픈 신생아에서 위양성률을 낮추어서 불필요한 재검 및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21-OHD가 임상적으로 확실하게 의심되는 경우에는 확진 검사에 앞서 적절한 치료가 조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본 종설에서 21-OHD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에 대해 최신 문헌들에 근거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바이다.

  • PDF

염색체 17p11.2 유전자 결손을 동반한 유전성 압박마비 편향 신경병증의 임상적, 전기생리학적 특성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of HNPP Patients with 17p11.2 Deletion)

  • 홍윤호;김만호;성정준;김성훈;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2호
    • /
    • pp.125-132
    • /
    • 2002
  • Objectives : Although the diagnosis of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ies (HNPP) is important for correct prognostic evaluation and genetic counseling, the diagnosis is frequently missed or delayed. Our main aim on undertaking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electrodiagnostic features of HNPP.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electrophysiologic and molecular studies were performed on Korean HNPP patients with 17p11.2 deletion. The results of electrophysiologic stud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CMT1A) patients carrying 17p11.2 duplication. Results : Eight HNPP (50 motor, 39 sensory nerves) and six CMT1A (28 motor, 16 sensory nerves) patients were included. The slowing of sensory conduction in nearly all nerves and the distal accentuation of motor conduction abnormalities are the main features of background polyneuropathy in HNPP. In contrast to CMT1A, where severity of nerve conduction slowing was not different among nerve groups, HNPP sensory nerve conduction was more slowed in the median and ulnar nerves than in the sural nerve (p<0.01), and DML was more prolonged in the median nerve than in the other motor nerves (p<0.01). TLI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NPP than in the normal control and CMT1A patients for the median and ulnar nerves (p<0.01), and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peroneal nerve (p<0.05)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controls. Conclusion : The distribution and severity of the background electrophysiologic abnorma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opography of common entrapment or compression sites, which suggests the possible pathogenetic role of subclinical pressure injury at these sites in the development of the distinct background polyneuropathy in HNPP.

  • PD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 환아의 증례보고 (CASE REPORTS O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

  • 신윤경;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2-678
    • /
    • 2007
  •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는 상악 중절치 형성부전으로 하나의 상악 중절치가 정중앙에 위치하는 치아 발달의 해부학적 이상을 의미한다. 50,000명 중에 1명 꼴로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물며 각종 증후군 및 정중선 이형성을 보이는 발달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MMCI는 다른 이상과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상염색체 우성유전인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의 경미한 발현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전자 상담이 필요하다. 또 특징적인 안모 및 구강 상태를 보이므로 환아의 바람직한 신체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 조기에 교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다른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세 명의 SMMCI 환아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irect Deletion Analysis in Two Duchenne Muscular Dystrophy Symptomatic Females Using Polymorphic Dinucleotide (CA)n Loci within the Dystrophin Gene

  • Giliberto, Florencia;Ferreiro, Veronica;Dalamon, Viviana;Surace, Ezequiel;Cotignola, Javier;Esperante, Sebastian;Borelina, Daniel;Baranzini, Sergio;Szijan, Irene
    • BMB Reports
    • /
    • 제36권2호
    • /
    • pp.179-184
    • /
    • 2003
  •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is the most common hereditary neuromuscular disease. It is inherited manifestations. In some rare cases, the disease can also be manifested in femal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lecular alteration in two cases of nonrelated DMD symptomatic carrier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DMD. Multiplex PCR is commonly used to search for deletion in the DMD gene of affected males. This method could not be used in females because the normal X chromosome masks the deletion of the mutated one. Therefor, we used a set of seven highly polymorphic dinucleotide $(CA)_n$ repeat markers that lie within the human dystrophin gene. The deletions were evidenced by hemizygosity of the loci under study. We localized a deletion in the locus 7A (intron 7) on the maternal X chromosome in one case, and a deletion in the region of introns 49 and 50 on the paternal X chromosome in the other. The use of microsatellite genotyping within the DMD gene enables the detection of the mutant allele in female carriers. It is also a useful method to provide DMD families with more accurate genetic counseling.

Analysis of Small Fragment Deletions of the APC gene in Chinese Patients with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a Precancerous Condition

  • Chen, Qing-Wei;Zhang, Xiao-Mei;Zhou, Jian-Nong;Zhou, Xin;Ma, Guo-Jian;Zhu, Ming;Zhang, Yuan-Ying;Yu, Jun;Feng, Ji-Feng;Chen, Sen-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2호
    • /
    • pp.4915-4920
    • /
    • 2015
  • Background: :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is an autosomal dominant inherited disease mainly caused by mutations of the 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 gene with almost complete penetrance. These colorectal polyps are precancerous lesions that will inevitable develop into colorectal cancer at the median age of 40-year old if total proctocolectomy is not performed. So identification of APC germline mutations has great implications for genetic counseling and management of FAP patients. In this study, we screened APC germline mutations in Chinese FAP patients, in order to find novel mutations and the APC gene germline muta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FAP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P patients were diagnosed by clinical manifestations, family histories, endoscope and biopsy. Then patients peripher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fterwards, genomic DNA was extracted. The mutation analysis of the APC gene was conducted by direct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equencing for micromutations and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for large duplications and/or deletions. Results: We found 6 micromutations out of 14 FAP pedigrees, while there were no large duplications and/or deletions found. These germline mutations are c.5432C>T(p. Ser1811Leu), two c.3926_3930delAAAAG (p.Glu1309AspfsX4), c.3921_3924delAAAA (p.Ile1307MetfsX13), c3184_3187delCAAA(p.Gln1061AspfsX59) and c4127_4126delAT (p.Tyr1376LysfsX9), respectively, and all deletion mutations resulted in a premature stop codon. At the same time, we found c.3921_3924delAAAA and two c.3926_3930delAAAAG are located in AAAAG short tandem repeats, c3184_3187delCAAA is located in the CAAA interrupted direct repeats, and c4127_4128 del AT is located in the 5'-CCTGAACA-3', 3'-ACAAGTCC-5 palindromes (inverted repeats) of the APC gene. Furthermore, deletion mutations are mostly located at condon 1309. Conclusions: Though there were no novel mutations found as the pathogenic gene of FAP in this study, we found nucleotide sequence containing short tandem repeats and palindromes (inverted repeats), especially the 5 bp base deletion at codon 1309, are mutations in high incidence area in APC g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