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Legal and Regulatory Issues in Genetic Information Discrimination - Focusing on Overseas Regulatory Trends and Domestic Implications -)

  • 양지현;김소윤
    • 의료법학
    • /
    • 제18권1호
    • /
    • pp.237-264
    • /
    • 2017
  •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시작과 함께 그 사회적 부작용의 하나로 거론되었던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가 아직 우리나라에서 크게 부각된 적은 없다. 그러나 2016년 6월 30일부터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의 유전자검사를 예외적으로 허용하자, 국내의 한 보험회사가 신규 암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DTC 유전자 검사를 별도의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겠다고 하여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사회적 변화를 실감케 한 바 있다. 정밀의료가 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성큼 다가온 현 시점에서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생명윤리법 제46조, 제67조에서 유전정보를 이유로 한 차별의 금지와 그 위반행위에 대한 벌칙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광범위한 원칙 규정만으로는 보험, 고용 등 구체적인 유전정보 활용 영역에서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해결할 수 없다.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은 상이한 방식으로 유전정보 차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미국의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의 경우, 건강보험과 관련된 부분은 기존의 법에 유전정보 차별금지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 개인과 그 가족의 유전자 검사 결과 외에 '가족력'까지 포함하여 유전정보의 범위를 매우 넓게 규정하고 있다. 캐나다는 2017년 비교적 최근에 법을 제정하였는데, 보험과 고용 외에 '상품이나 서비스의 거래'에까지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영국은 유전자 검사 중 '개인의 예측적 유전자 검사'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는데, 보험의 경우 영국정부와 보험협회의 '협약'을 통해 유전정보의 활용을 2019년까지 유예하는 방식으로 규율하고 있고, 고용의 영역은 ICO가 만든 'Employment Practices Code(2011)'가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독일은 유전자 검사에 관한 법 "Gesetz ${\ddot{u}}ber$ genetische Untersuchungen bei Menschen"에서 고용과 보험에서의 유전자 검사 및 그 결과 제출 요구의 원칙적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나라마다 규율형식, 적용범위 뿐만 아니라 규율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매우 상이하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유전정보 차별에 관한 규제 역시 관련 규정의 검토, 전문가 집단의 참여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통해 여러 규제안의 장 단점을 충분히 검증한 후 입법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A Normative Review on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NIPD): Focusing on the German Discussion on PrenaTest®

  • Kim, Na-Kyo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2호
    • /
    • pp.113-121
    • /
    • 2021
  •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German discussion on the approval of the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NIPD), which started with the development of PrenaTest® by LifeCodexx AG. The discussion started with the concern that the non-invasive nature of NIPD, such as PrenaTest®, may rapidly expand the use and scope of similar tests, thus leading to a new era of eugenics. Based on this concern, the need for clear clinical guidelines on specific indications for NIPD has been suggested. Along the same line, it was discussed whether PrenaTest® is against the Basic Law prohibiting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disability and whether the test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urpose of gene testing limited by Genetic Diagnosis Act. Through such discussion, the Federal Ministry of Health of Germany established the preconditions for inclusion of NIPD in the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system. For this, the German motherhood guideline was amended and the information for the insured persons provided to pregnant women was included in the amended guideline. Such discussion made in Germany provides insight on which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various gene testings are accepted in Korea, in which genetic communication has not been systematized yet. In particular, German counseling system for pregnant women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Korea where the direction for regulations on abor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even after the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charges for abortion are against the co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