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bacteria E. Coli grou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2초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생성균의 역학적 특성 조사 (Evaluation of Epidemic Characteristics of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 서충원;김상하;황석연;김영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16-2522
    • /
    • 2009
  • 본 연구는 혈액에서 분리되는 미생물의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 양상은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르므로 혈액배양 결과를 분석한 자료는 감염증 환자의 경험적 치료를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되고, 특히 ESBL을 생성하는 균주의 경우 항균제의 사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혈액배양 결과와 항균제 내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9.305건의 혈액배양이 의뢰되어 양성 환자 수는 2,216명(20.0%)이었고, 이중에서 ESBL양성 환자 수는 40명 이었으며, 혈액배양 양성은 4,798건(12.2%)이었으며 ESBL양성 균주는 86건(중복 배양 균주 포함)이었다. 2. ESBL을 생성하는 세균 중에서 분리된 균종은 E. coli, K. pneumoniae, K. oxitoca의 순 이었다. 3. 성별로는 여자가 다소 많았고,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의 군에서 E. coli, 1세 미만의 군에서는 K. pneumoniae, K. oxitoca 의 분리가 많았고, 지역별로는 충청남도 13명(32.5%)로 가장 많았다. 4. 3년간 일개대학병원의 혈액배양에서 ESBL양성인 균종 중 가장 흔히 분리되는 것은 E. coli이고, K. pneumoniae, K. oxitoca 등이 다음으로 분리 되었고,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E. coli의 분리 비율이 높았다.

간이상수도 자동소독 정수기의 개발 및 성능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Water Purifier with the Auto-Disinfected on a simple Drinking Water)

  • 조병락;이배복;최명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1-46
    • /
    • 2013
  • On the purpose of helping the inhabitants living in farming, fishing villages, and islands for more safe and hygienic water from simple waterworks, experimental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a water purifier with silver nanomaterial packed, having a function of the auto-disinfection. The results show as follows through such filteration and auto-disinfection processes. It is possible to get hygienic and safe water, for example, more than 95% of general bacteria,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were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get good-quality water, for 49.4% of spent potassium permanganate and 85% and 63% of turbidity and conductivity were removed respectively. It is a very effective equipment, for 100% cost reduction of used chemicals was achieved by no-chemical disinfection process and THM was not generated.

시장의약품(市販醫藥品)의 미생물(微生物) 오염도(汚染度) 조사(調査) (제1보)(第1報) -시판내복액제(市販內服液劑)의 세균오염도(細菌汚染度)- (A Survey on Microbial Contamination of Currently-Sold Drugs (I) -Bacterial contamination of marketed liquid-)

  • 박영주;김영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권4호
    • /
    • pp.5-15
    • /
    • 1973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a basis of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with a view to detecting the degree of bacterial contamination for the 77 samples collected from the locally-sold liquid specialties. It's test period was 50 days from July 10 to August 30, 1971. Specially, the survey has put emphasis on the population of general bacteria and the identification of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species, streptococcus species, bacillus species, fungi, and yeast species from liquid sampl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the 77 samples tested, the contamination of general bacteria was found out as minimun 0, i,e., maximum, $12{\times}10^4$ and the total average $45{\times}10^2$ per milliliter. (2) Although streptococcus species could not be detected with the samples, the contamination of the coli-form and staphylococcus species means the strong suggestion of the possibility of pathogenic bacterial contamination. (3) Specially, the products which stay in the neutral pH range and use suspending agents need to care for the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manufacturing crocess. (4) It is thought necessary to perform the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in the liquid preparations only at least. (5) A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degree in the liquid decreases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will have to be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know the accurate degree. (6) The author thinks that the main reas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liquid is the contamina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7)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in liqui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efforts for the rational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the improvement of equipment and environment, the specific training of workers for hygienic knowledges, etc. rather than the use of preservatives for the preparations.

  • PDF

식초절임 무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Vinegared Pickle Radishes)

  • 권상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2013
  • 본 연구는 식초절임 무의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2년 2월 1일~6월 31일까지 약 150일 동안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식초절임 무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공정도를 작성하였으며, 식초절임 무의 원료 농산물(무), 용수, 첨가물과 포장재료에 입고, 보관, 정선, 세척, 표피제거, 절단, 선별, 충진,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원료 무의 세척 전, 세척 후의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Clostridium perfringens, Yeast 와 Mold를 측정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세척 전 $5.00{\times}10$ CFU/g이었으나, 세척 후 검출되지 않았으며, Yeast 와 Mold 는 세척 전 $3.80{\times}10^2$ CFU/g, 세척 후 10 CFU/g로 감소되었으며 나머지 병원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조미액의 pH(2~5)별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않은 pH 3~4를 조미액의 pH로 결정하였다. 작업장별 공중낙하균 (일반세균수, 대장균, 진균수) 시험결과 내포장실, 조미액가공실, 세척실, 보관실의 미생물수는 10 CFU/Plate, 2 CFU/Plate, 60 CFU/Plate 그리고 20 CFU/Plate 가 검출되었다. 종사자 손바닥 시험결과 일반세균수 346 $CFU/Cm^2$, 대장균군 23 $CFU/Cm^2$로 높게 나타나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요구 되었다. 제조설비 및 기구의 표면오염도를 검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PP Packing machin과 Siuping machine (PE Bulk)에서 가장 많은 $4.2{\times}10^3CFU/Cm^2$, $2.6{\times}10^3CFU/Cm^2$ 검출되었다. 위의 위해분석 결과 병원성미생물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조미액 가공 공정이 CCP-B (Biological)로 관리되어야 하고, 한계기준은 pH 3~4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전통한과생산에의 HACCP 모델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에서와 같이 조미액 가공 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관리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BT-01108 물질에 의한 일반 소독제 및 항생물질 내성균주의 생육억제 (Growth Inhibitions of Strains Exhibiting Resistances against General Disinfectants and Antibiotics by MBT-01108 Material.)

  • 김해남;박진영;김삼웅;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78-1283
    • /
    • 2007
  •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소독제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 미생물의 내성 빈도를 검토한 결과는 약 30%였다. 그 중에서 푸드세프 (산화제 중 할로겐 계 소독약)와 동인테고 (양성 계면 활성제) 및 Iodo 175 (양성 계면 활성제)는 병원 미생물에 대해 낮은 감수성을 나타냈었을 뿐 아니라, 시험에 사용된 다른 소독제에 비하여 높은 내성 빈도를 나타내었다. 소독제 내성 균주를 사용해서 항생제 내성을 MIC test와 paper disc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30%의 내성 빈도를 나타내었다. 다른 항생제에 비해 aminoglycoside 계의 항생제인 gentamycin, kanamycin, streptomycin에서 높은 내성 빈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실에서 제주도 손바닥 선인장으로부터 추출${\cdot}$분획한 MBT-01108 물질을 소독제와 항생제에 내성을 획득한 내성균에 상용했을 경우 내성이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내성균이 자라지 못하였다. 또한 현재 문제시되고 있는 다제 내성균인 MRSA, R-Pseudomonas aeruginosa, VRE, E. coli O157에 사용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손바닥 선인장에서 추출 ${\cdot}$ 분획한 MBT-01108 물질은 기존의 항생제와는 다른 기작으로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신규 항균 활성 물질의 약제 개발에 그 유용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며 여러 가지 항균성 생활 제품의 개발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Human Feces

  • Ha Chul-Gyu;Cho Jin-Kook;Lee Chi-Ho;Chai Young-Gyu;Ha Young-Ae;Shin Shang-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201-120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B) that produce bile salt hydrolase (BSH),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erum cholesterol level. One-hundred-twenty bacterial colonies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human feces, and five strains were selected after screening based on their resistance to acids, tolerance against bile salts, and inhibitory activity on Escherichia coli. The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with the highest level of BSH activity was identified using 16S rRNA sequences, and was named L. plantarum CK 102. L. plantarum CK 102 at a level of 1.36$\times$10$^8$cfu/ml survived in pH 2 buffer for 6 h and exhibited excellent tolerance for bile salt. Coculturing the strain with E. coli in MRS broth resulted in strong inhibition against growth of E. coli at 18 h. Furthermore, the potential effect of CK 102 on serum cholesterol level was evaluated in rats. Thirty-two rats [Sprague-Dawley (SD) male, 129$\pm$l g, 5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eight each. For six weeks, Group 1 was fed a normal diet (negative control); Group 2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ositive control); Group 3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lus L. plantarum CK 102 at 1.0$\times$10$^7$cfu/ml; and Group 4 was fed a cholesterol-enriched diet plus L. plantarum CK 102 at 5.0$\times$10$^7$cfu/m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serum lipids were analyzed, and weights of the organs were measured. Total blood cholesterol leve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free-cholesterol values were lower in rats that were fed 1. plantarum CK 102 than in those not fed L. plantarum CK 102. This cholesterol lowering effect implies that L. plantarum CK 102 could be utilized as an additive for health-assistance food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1. plantarum CK 102 isolated could be used commercially as a probiotic.

Multiplex-PCR을 이용한 제주지역 소아청소년의 급성설사질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y on Acute Diarrheal Diseas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Jeju Region Using a Multiplex-PCR)

  • 이규택;김선미;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1-149
    • /
    • 2017
  •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년간 Multiplex-PCR을 이용한 소아청소년의 급성설사질환 원인규명을 위해 의뢰된 521 분변 검체를 대상으로 5종의 바이러스 검사와 10종의 세균검사를 실시한 521 분변 검체 중 바이러스나 세균이 확인된 170명 중 중복 감염이 확인된 9명의 검체를 포함하여 179개의 양성검체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남아가 102명(56.98%), 여아가 77명(43.02%)이었으며, 3~4세(51.96%), 5~6세(12.29%)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179건의 양성 검체 중 중복감염을 포함한 209건(209/521, 40.12%)을 분석한 결과 norovirus-GII 감염이 88건(88/521, 16.89%), Campylobacter spp. 감염이 26건(26/521, 4.99%), rotavirus 감염이 18건(18/521, 3.45%), Clostridium difficile Toxin B 감염이 18건(18/521, 3.45%), adenovirus 감염이 17건(17/521, 3.26%), Clostridium perfringens 감염은 16건(16/521, 3.07%), astrovirus 감염은 11건(11/521, 2.11%), Salmonella spp. 감염은 5건(5/521, 0.96%), norovirus-GI, Yersinia spp., Aeromonas spp. 감염은 각각 3건(3/521, 0.58%), verocytotoxin-producing E. coli 감염은 1건(1/521, 0.19%), Vibrio spp, E. coli O157:H7, Shigella spp. 감염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기(6세 이하)의 계절별 분리 양상을 확인한 결과는 기온이 낮은 겨울(11~2월)에는 주로 norovirus-GI, norovirus-GII가 유행하였고, 기온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봄(3~5월)에는 rotavirus가 유행하는 경향을 전형적인 장염바이러스의 경향을 보였다. Astrovirus 경우에는 norovirus-GI, norovirus-GII, rotavirus가 유행하는 시기가 아닌 4월~10월에 유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adenovirus인 경우에는 8월~2월까지 유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세균이 원인이 되어 급성설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원인을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유아기 때에는 바이러스 검사를 의뢰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바이러스와 세균을 동시에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일개 이차 병원에서 치료한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 원인 및 특징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Bacterial Gastroenteritis in Children Mananged at a Secondary Hospital)

  • 김성윤;김현정;신은혜;은병욱;안영민;송미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2호
    • /
    • pp.95-101
    • /
    • 2017
  • 목적: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은 흔히 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에 비해 더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 급성 세균성 위장염 환자의 원인을 조사하고,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1개 이차 병원에서 급성 위장염 증상으로 진료 받은 소아 환자들의 대변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으로 보내어 원인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에 따른 임상적인 특성은 소아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664 대변 샘플 중 183개(27.6%)에서 원인균이 분리되었다. 2012년부터 검사가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색포도알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39.3%). 월별 검출률은 8월이 24.6%로 가장 높았다. 캄필로박터균의 연령군에 따른 검출률은 12-19세 군에서 가장 높았다(16.7%, P=0.04). 혈변을 보인 환자들 중에서 캄필로박터균이 가장 흔하게 분리되었다(31.0%, P=0.04). C-반응단백질을 비교 시 살모넬라속균 또는 캄필로박터균이 분리된 군이 황색포도알균 또는 병원성 대장균이 분리된 군에 비해서 더 높았다($5.7{\pm}0.6mg/dL$ vs. $2.1{\pm}0.3mg/dL$, P<0.01). 결론: 황색포도알균, 병원성 대장균,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속균이 소아 세균성 위장염의 중요한 원인균이었다. 연령에 따른 원인균 차이, 임상 증상, 염증 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원인균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다.

고온호기산화장치의 고온미생물 첨가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Pathogenic Bacteria by Addition of Thermophilic Bacteria in the Thermophilic Aerobic Oxidation(TAO) System)

  • 이원일;;;이명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8
    • /
    • 2004
  • 본 연구는 양돈 분뇨를 고온호기산화장치(TAO)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고온 미생물 의 첨가에 의한 온도 상승과 시스템의 내부 미생물 변화 그리고 유해 미생물의 불활성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은 총 용량 $18 m^3(3.0\times2.5\times2.4 m)$의 반응기에 양돈 분뇨 $6 m^3$을 투입하고 5$\~$7일간 운전하였다. 대조구는 양돈 분뇨만을 투입하였고 처리구는 6 $\iota$의 고온 미생물(Bacillus. sp)을 투입하였다. 반응기의 내부 미생물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 호기성 중온균, 고온균 그리고 일반 세균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해 미생물의 불활성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E. coil, Salmonella. sp, Crytosporidium parvum, Giardia lamblia를 분석하였다. 대조구와 처리구의 운전기간 동안 반응기 내부의 온도 범위는 $18\~66^{\circ}C$$55^{\circ}C$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였다. 미생물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의 중온균과 고온균은 $3.1\times10^6\~1.2\times10^2$ CFU/ml, $1.0\times10^4\~8.0\times10^1$ CFU/ml로 감소하였으나 처리구의 경우, 중온균은 $3.0\times10^8\~8.6\times10^5$ CFU/ml로 감소하였으나 고온균은 $2.0\times10^6\~1.2\times10^8$ CFU/ml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almonella와 Giardia는 처리 전$\cdot$후에 검출되지 않았으며 E. coil와 Crytosporidium은 처리전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처리 후 불활성화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TAO system에 고온 미생물을 첨가함으로써 유해한 미생물이 사멸된 액상비료를 생산할 수 있었고 분뇨로부터 기인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