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e repertoir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COG 알고리즘을 통한 Proteobacteria의 보존적 유전자 파악 (Detection of Conserved Genes in Proteobacteria by using a COG Algorithm)

  • 이동근;강호영;이재화;김철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60-565
    • /
    • 2002
  •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단백세균(Proteobacteria)의 보존적유전자(conserved gene)를 파악하고 서로간의 유연 관계를 밝히고자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of proteins(COG) 알고리즘을 이용한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42종의 원핵생물과 33종의 진정세균, 16종의 단백세균으로 가면서 보존적유전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원핵생물 모두에서 75종의 COG 즉 보존적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COG0195, COG0358 그리고 COG0528은 원핵생물에서만 관찰되어 새로운 분류의 parameter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4종류의 보존적 유전자가 33종의 진정세균(eubacteria)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각 분류단계를 특징짓는 새로운 COG의 추가에 의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각 단백세균 그룹은 독자적인 COG 레퍼토리를 소유하였으며 물질대사에 관련된 보존적 유전자는 beta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백세균의 기원과 진화적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향후 세균분류학과 생명공학에 필수적인 유용유전자 탐색 등에서도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Expression of Epstein-Barr Virus Gene and Clonality of Infiltrated T Lymphocytes in Epstein-Barr Virus-associated Gastric Carcinoma

  • Lee, Jae-Myun;Kim, Ho-Guen;Noh, Sung-Hoon;Lee, Won-Young;Kim, Se-Jong;Park, Jeon-Han
    • IMMUNE NETWORK
    • /
    • 제11권1호
    • /
    • pp.50-58
    • /
    • 2011
  • Background: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 (LELC) is characterized by the intensive infiltration of lymphoid cells, the presence of EBV, and the better prognosis over typical adenocarcinoma. Thus, it was assumable that viral latent proteins may be responsible for the recruitment of a certain T cell repertoire to EBV-associated gastric carcinoma. Methods: To examine above possibility, EBV gene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ma tissues and usage of TCR among the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were analyzed. Results: EBV specific DNA and EBERs RNA were detected in 4 out of 30 patients.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all 4 of EBV-positive tumor tissues expressed EBNA1 mRNA and BARTs and LMP2a was detected only one sample out of 4. However, the EBNA2 and LMP-1 transcripts were not detected in these tissues. $CD8^+$ T cells were the predominant population of infiltrating lymphocytes in the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According to spectra type analysis of infiltrating T cells, 10 predominant bands were detected by TCR $V{\beta}$ CDR3 specific RT-PCR from 4 EBV-positive tumor tissues. Sequence analysis of these bands revealed oligoclonal expansion of T cell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lonally expanded T cells in vivo might be a population of cytotoxic T cells reactive to EBV-associated gastric carcinoma.

한국인의 단맛수용체유전자 TAS1R2 다형성분석 및 일배체형 연구 (Genetic Polymorph isms and Haplotype Analysis of Sweet Taste Receptor TAS1R2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 이혜진;배재웅;권태준;사공보름;김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2-465
    • /
    • 2010
  • 단맛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감각 중 하나로, 열량을 제공하며 식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인간이 맛물질을 느끼는 민감도 차이에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98명을 대상으로 단맛을 결정하는 미각수용체 TAS1R2 유전자에 대해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단일염기 다형성 종류 및 빈도, 그리고 일배체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AS1R2 유전자로부터 총 12종류의 SNP이 검출되었으며 약 70%는 아미노산 치환을 일으키는 변이로 확인되었다. 특히, 231번째와 950번째 변이는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발견된 새로운 것으로 한국인 집단에서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SNP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일배체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발견된 20 종류 일배체형 중 세 가지가 주로 한국인이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발견된 TAS1R2 유전자의 SNP은 향후 단맛물질을 감지하는 인간의 민감도차이를 결정하는데 유전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주리라 생각되며 맞춤형 식단 등 영양유전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V_H$ Gene Expression and its Regulation on Several Different B Cell Population by using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

  • Jeong, Hyun-D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122
    • /
    • 1993
  • B 세포의 $V_H$ 유전자가 어떠한 기작으로 선택되어지는 지는 현재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transformation 등의 방법에 의한 편향된 분석결과를 피하고자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single 세포가 발현한 $V_H$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V_H$ 유전자간에 나타나는 DNA 배열의 유사성 때문에 in situ 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probe 농도와 세척 stringency의 결정이다. LPS-stimulated된 spleen B 세포에 대해서 $C{\mu}$$V_HJ558$ $^{35}S$-RNA probe는 $2{\sim}4{\times}106cpm$/slide의 농도에서 낮은 background와 적정수의 positive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척조건으로서는 $54^{\circ}C$에서 40~50%의 formamide를 사용할때 최적이라는 것을 $C{\mu}$, $V_{H}S107$, 그리고 $V_{H}J558$ probe를 이용한 실험에서 결정하였다. 위의 조건하에서 spleen B 세포가 발현한 $V_H$ 유전자를 분석하여 본 결과 각각의 $V_H$ gene family 발현 빈도는 각각의 family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여러 다른 발달 단계에 있는 bone marrow B 세포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어 어떤 특수 $V_H$ gene family의 발현이 B 세포의 발달단계에 따라 특이하게 변화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V_H$ 유전자의 이용은 B 세포가 differentiation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무작위 적으로 선택되어 진다는 것을 밝혔다.

  • PDF

Isorhamnetin Attenuates Staphylococcus aureus-Induced Lung Cell Injury by Inhibiting Alpha-Hemolysin Expression

  • Jiang, Lanxiang;Li, Hongen;Wang, Laiying;Song, Zexin;Shi, Lei;Li, Wenhua;Deng, Xuming;Wang, Jianf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596-602
    • /
    • 2016
  • Staphylococcus aureus, like other gram-positive pathogens, has evolved a large repertoire of virulence factors as a powerful weapon to subvert the host immune system, among which alpha-hemolysin (Hla), a secreted pore-forming cytotoxin, plays a preeminent role. We observ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in Hla production by S. aureus in the presence of sub-inhibitory concentrations of isorhamnetin, a flavonoid from the fruits of Hippophae rhamnoides L., which has little antibacterial activity. We further evaluate the effect of isorhamnetin on the transcription of the Hla-encoding gene hla and RNAIII, an effector molecule in the agr system. Isorhamnetin significantly down-regulated RNAIII expression and subsequently inhibited hla transcription. In a co-culture of S. aureus and lung cells, topical isorhamnetin treatment protected against S. aureus-induced cell injury. Isorhamnetin may represent a leading compound for the development of anti-virulence drugs against S. aureus infections.

포유류 생식 내분비 기능 조절에서 Ghrelin의 역할 (Role of Ghrelin in the Control of Reproductive Endocrine Func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07-215
    • /
    • 2009
  •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hypothalamus-pituitary-gonad, HPG) 호르몬 축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인자들은 생식 기능을 조절하고, 사춘기 개시와 폐경기 진입과 같은 뚜렷한 생식 능력의 단계 전이를 초래한다.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다기능적 호르몬인 leptin의 발견 이후, 곧 이어 생식과 신체의 에너지 균형 사이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증거들이 밝혀졌다. 위장관으로부터 분비되는 또 다른 다기능 호르몬인 ghrelin은 이미 알려져 있던 growth hormone secretagogue receptor(GHSR)의 내인성 리간드이며, 에너지 항상성의 조절에서 leptin에 상응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예상대로, ghrelin 또한 HPG 축의 활성의 조절을 통해 생식 능력을 조절함이 증명되었다. 이 논문은 ghrelin의 발견과 유전자 구조, 조직 내의 분포, 그리고 역할과 HPG 축에서의 생식 호르몬 분비 조절에 대한 포유동물의 생식에서의 ghrelin-GHSR 신호에 관한 최신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뇌하수체에서의 POMC 유전자 발현과 유사하게, preproghrelin 유전자는 alternative splicing과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거치는 복잡한 레퍼토리의 전사체들과 펩티드 산물을 만들어 낸다. 에너지 항상성을 제외한 신체 생리 기능의 조절에서의 preproghrelin 유전자 산물의 역할에 관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신진 대사와 생식 사이에서의 ghrelin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는 충분한 증거들이 있다. 흰쥐와 인간에서, ghrelin 수용체인 GHSRs(GHSR1a와 GHSR1b)의 분포는 본래 ghrelin의 표적으로 여겨진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뿐만 아니라 정소와 난소에서도 확인되었다. 뇌와 생식소에서도 preproghrelin 유전자 발현이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HPG 축에서 ghrelin이 국부적인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비록 뇌하수체에서의 기능은 아직 확실치 않지만, ghrelin은 시상하부의 GnRH,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과 생식소의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대한 음성적인 조절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연구들은 사춘기 개시, 그리고 아마도 폐경기 진입의 조절에서 ghrelin의 관여를 시사한다. 이제 ghrelin이 '뇌-위장관' 축의 필수적인 호르몬 요인이며, 신 진 대사와 생식 사이를 연결하는 조절 물질이라는 가능성은 매우 높다. '배부름'을 반영하는 leptin 신호와는 정반대인 ghrelin 신호는 신체 에너지 균형 상태로 볼 때 '배고픔'을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항상성의 유지에서 최우선 사항으로 고려되지 않는 생식으로의 에너지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생식능력 조절에 있어서 ghrelin의 보다 명확한 작용 메커니즘과 역할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얻고 성공적인 생의학적 적용을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