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4초

A gender identification using shoeprint images

  • Asamizu, Satoshi;Haseyama, Mik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699-70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gender identification using shoeprint images. It is difficult for the proposed method to identify an individual if shoeprint images for identification leaked out. Because the proposed method identifies gender without the faces, the type of dress and the hair types images. Therefore we can use safely the proposed method in public place. In addition, a sensor mat which we developed is reasonable to use mechanical switches arranged in a matrix pattern without pressure switches. We had shoeprint images with the sensor mat. We measure feature parameters from shoeprint images. The feature parameters are length, width and area of shoeprint. Utilizing the feature parameters, we identified gender. In order to verify the gender identifica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 we set up the sensor mat at an entrance of buildings and took shoeprint images of 100 men and 100 women. As a result, we achieved about 86 percent of the gender identification rate.

  • PDF

변별적 가중치 학습을 적용한 성별인식 알고리즘 (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for Gender Identification)

  • 강상익;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52-25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성별 인식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변별적 가중치 학습 (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기반의 최적화된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제안한다. MCE (minimum classification error)방법을 도입하여, 각각의 MFCC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특징벡터 차수별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는 SVM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동일 가중치를 가지는 SVM 기반의 성별인식 시스템과 비교하였으며,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음성신호 기반의 성별인식을 위한 Support Vector Machines의 적용 (Voice-Based Gender Identification Employing Support Vector Machines)

  • 이계환;강상익;김덕환;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5-79
    • /
    • 2007
  • 본 논문은 SVM(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한 음성신호 기반의 효과적인 성별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분별적 이진(binary) 패턴 분류기인 SVM은 특징 공간에서 비선형 경계를 찾아 분류하는 방법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별인식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를 사용하여 SVM과 기존의 GMM(Gaussian Mixture Model) 알고리즘의 성별인식 성능을 비교하였고, 특히, 보다 향상된 SVM의 성별인식을 위해 MFCC와 Pitch를 이용한 결합 특징 벡터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MFCC 파라미터를 사용했을 때 제안된 SVM이 GMM보다 우수한 성별인식 성능을 보였고, 제안된 결합 특징 벡터를 사용 했을 때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 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로렌스의 패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Gender Identity Revealed in the Movie Laurence Anyways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Laurence's Fashion Images-)

  • 권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1-202
    • /
    • 2015
  • 본 연구는 프랑스계 캐나다인 영화감독 자비에 돌란의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2012)의 주인공 로렌스의 젠더 정체성을 살펴보고 내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으로 남성으로 태어났지만 여성으로 살고자 하는 로렌스의 외적 변화를 패션 이미지로 살펴보았고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인 모방, 행위의 반복, 그리고 합체의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내적 의미로 '타자의 내면화'와 '탈정체화'를 파악하였다. 로렌스는 여성성의 획득을 위해 여성의 모습을 모방하고 반복적인 행위로 그(녀)의 외적 구성을 완성해간다. 그(녀)의 반복되는 모방적 행위는 타자를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해석되고 새로이 구성되어지는 주체를 시각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탈정체화는 젠더가 시공간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고 형성된 외형은 곧 내면의 외면화의 개념으로 해석되며 정체하지 않는 젠더의 유동적인 가변성을 의미화 한다. 로렌스의 '여성으로 가꾸기'는 외모를 흉내 내는 것 이상으로 재의미화 된 여성 또는 젠더를 만들고 있으며, 그것이 진정한 자기 변화이자 새로운 세상에 대한 도약으로 해석된다.

Group Delay를 이용한 GMM기반의 성별 인식 알고리즘 (GMM-Based Gender Identification Employing Group Delay)

  • 이계환;임우형;김남수;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43-249
    • /
    • 2007
  • 본 논문은 Group Delay(GD)를 이용한 음성신호 기반의 효과적인 성별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음성 인식과 관련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특징들은 위상에 관한 정보를 제거한 크기만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상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유도되어 지는 GD의 성별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고, 보다 향상된 성별인식을 위해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LPC(linear predictive coding) 계수,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 그리고 포만트(formant)등과 같은 크기 정보와 GD를 이용한 결합 특징 벡터를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성별에 따른 GD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한 제안된 특징 벡터를 사용했을 때 우수한 인식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Human Gender and Motion Analysis with Ellipsoid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

  • Ansari, Md Israfil;Shim, Jaecha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3권2호
    • /
    • pp.9-12
    • /
    • 2016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ffective and efficient identification of the gender and motion of humans. Tracking this nonverbal behavior is useful for providing clues about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and their exact motion. This system can also be useful for security in different places or for monitoring patients in hospital and many more applications. Here we describe a novel method of determining identity using machine learning with Microsoft Kinect. This method minimizes the fitting or overlapping error between an ellipsoid based skeleton.

관광목적지의 러브마크,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Love Marks, Brand Identification, Brand Equity & Behavior Intention)

  • 이정은;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러브마크,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러브마크가 자아동일시에 영향관계는 각각 러브마크의 성과는 자아동일시간의 관계, 러브마크의 친밀감은 자아동일시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러브마크의 신뢰는 자아동일시에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러브마크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우선 러브마크는 브랜드품질에 유의한 영향에서 확인한 결과 친밀감과 브랜드 품질간의 관계, 신뢰와 브랜드 품질간의 관계의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성과는 브랜드 품질은 유의한 성과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러브마크는 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관계에서 성과와 브랜드 가치간의 관계, 친밀감과 브랜드 가치간의 관계의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성과는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성과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자아일치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자이일치성은 행동의도간의 관계간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브랜드자산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브랜드품질과 행동의도간의 관계, 브랜드가치와 행동의도간의 관계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The Effect of Ethnic Identification and Social Group Affiliation on Body Image Satisfaction among Asian-American College Students

  • Lee, Yoo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1호
    • /
    • pp.9-18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of Asian-Americans and their appreciation of their ethnic body features, based on reference group theory. A convenience sample of 60 male and 52 female students from various Asian ethnicities attending a mid-western university was used for the study. A 2 (gender) by 2 (ethnic identification) by 2 (socializing group)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on body image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and Body Mass Index score as a covariate was conduct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ethnic identification was found, which indicates the more respondents identified with their ethnic group,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The social group affiliation main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impact of ethnic identification was significant only for those respondents who socialize more with Americans than with Asians.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one's ethnic group functions as a reference group, which influences body image appraisals.

Effect of Gender-Specific Adult Bovine Serum on Gene Expression During Myogenesis

  • Lee, Eun-Ju;Pokharel, Smritee;Kim, Jie-Hoe;Nam, Sang-Sup;Choi, 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219-226
    • /
    • 2012
  • Gender specificity in muscle growth and development is well known. Genesis of muscle is dependen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resident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present in muscle fibers. Multipotential capacity of forming myocyte, osteocyte, and adipocyte like cell makes MSCs a unique stem cell.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determination of muscle quality due to difference in hormone concentration of different gender of animals, MSCs were isolated from bovine skeletal muscle and cultured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supplemented media. DNA microarray used consisted of 24,000 spots with 70 mer oligo in each spot. A total of 88 genes were up-regulated and 551 genes were down-regulated by more than two fold. Among up-regulated gene, 33, 34, and 21 genes were found up-regulated in cells grown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respectively. Interestingly, male serum showed 4, female 11 and castrated male showed 4 genes expressed highly in each gender. Further study on the highly up-regulated gene may unfold the mystery of gender specificity found in muscle development. Also,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gender-specific serum will add information on infrastructure of bovine genome research.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Analyz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based on Gender Roles Identity)

  • 윤정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1-2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roles and creativity.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17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niversities around the Busan area. The researchers have collected statistical data by questioning pre-service teachers about creative thinking tests, creative personality tests, and gender role identification awareness tests. The data was interpreted by the Pae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he one-way ANOVA method, and the $Sch\acute{e}ffe$ Post-hoc comparison metho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roup perceived of high androgyny typ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important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such as fluency, elaborateness, ness, and openness. This result meant that the more a pre-service teacher was aware of the identity of gender roles, the more she or he thought creatively. Additionally, the acceptance of authority, an element of the creative personality factor,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high feminity type group. On the other hand, self 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disciplined imagin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group which perceived the identity of androgyny type ro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