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atin

검색결과 798건 처리시간 0.035초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한 Gelatin Film의 항균 효과 (Preparation of Gelatin Fil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Its Antimicrobial Effect)

  • 임금옥;홍윤희;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4-137
    • /
    • 2009
  • 자몽종자 추출물(GSE)을 0.02, 0.05, 0.08, 0.1%의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gelatin 필름의 물성과 항균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필름의 인장강도는 0.1% GSE를 첨가하였을 경우 10.28 MPa로 대조구의 8.68 MPa에 비하여 1.60 MPa 증가하였으나, GSE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투습계수는 GS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대조구의 2.48 ngm/m2sPa 에 비하여 0.1% GSE의 첨가 시 2.18 ng $m/m^{2}sPa$이었다. GSE 첨가한 gelatin 필름의 항균활성의 경우, 0.1% GSE를 첨가 했을 때 E. coli의 경우 2.67 log CFU/g, L. monocytogenes 경우 3.15 log CFU/g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SE를 첨가한 gelatin 필름이 가공식품의 포장재로써 식품에서 일부 위해미생물을 억제 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면직물의 젤라틴 전처리에 의한 소목염색의 염색성 향상 (Improving the Dyeability of Cotton Fabric with Caesalpinia sappan through Pretreatment with Gelatin)

  • 이지연;장정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4
    • /
    • 2019
  •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gelatin to enhance dyeability and color strength when using Caesalpinia sappan dye. Gelatin was used as the protein and a pad-dry- cure method was used for the treatment process (2, 4, 6, 8, 10, 12, 14g/l concentration). Pretreated fabrics were mordanted with 10% alum. Fabrics were then dyed with freeze-dried sappan wood water extract powder form. Dyed samples were assessed in regards to dyeing behavior and color fastness. Comparing untreated and gelatin treated samples from the SEM images indicated that the Gelatin treatment (10g/l) resulted in an enhanced surface roughness that was relative to that of untreated cotton. Padding cotton with gelatin at 6g/l concentration afforded dyed fabrics with a 2 times increase in the K/S value over that of untreated fabrics. All dyed samples were red color with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sample color strength (K/S) being observed for pretreated samples. pH values favor dye absorption with pH 7 yielding the highest color strength. Dyeing at an elevated temperature resulted in a lower color strength and reddish-dull color. Longer dyeing times created greater color strengths for untreated and gelatin treated cotton. Increased dye concentrations resulted in higher K/S values for both gelatin treated and untreated cotton. As for color fastness, gelatin treated and untreated cotton fabrics dyed with sappan wood extract showed a relatively low rating in washing fastness (color change 1 rating), light fastness (1 rating), and rubbing fastness (wet:1-2, dry:3-4 rating).

Preparation of magnetic gelatin microspheres for the targeting of drugs

  • Lee, Kang-Choon;Koh, Ik-Bae;Oh, In-J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45-152
    • /
    • 1986
  • Magnetically reponsive gelatin microspheres for the targeting of drugs have been prepared using a water-in-oil emulsion technique with chemical cross-linking of the protein. The manufacturing variables affecting microsphere size, size distributio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as well as the magnetic responsiveness in vitro. Sesame oil was utilized for non-aqueous phase and magentic gelatin microspheres of different size from 1. 89 to 14.88 $\mu\textrm{m}$ in mean diameter could be obtained with variation of HLB values of non-ionic surfactants. The content of magnetite which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microspheres was 26.7% (w/w). It was possible to control the localization of magnetic gelatin microspheres at specific sites within capilary models by using external magnetic field of under 5K gauss.

  • PDF

돈피 젤라틴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 Added with Pork Skin Gelatin)

  • 박신영;김계웅;김학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14
    • /
    • 2016
  • 본 연구는 돈피 젤라틴 첨가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별로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젤라틴 함량을 0%, 1%, 3%, 5%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일반성분 측정 결과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단백질 함량은 젤라틴 5% 첨가구가 대조구와 젤라틴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H는 가열 전후 모두 젤라틴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 측정 결과 가열 전 적색도와 황색도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명도는 젤라틴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 후 명도와 황색도는 젤라틴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적색도는 젤라틴 3%, 5% 첨가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보수력은 대조구가 젤라틴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수율은 젤라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점도는 젤라틴 3%와 5% 첨가구가 대조구와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대조구와 젤라틴 1%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젤라틴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검성은 젤라틴 5%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아 유화형 소시지에 젤라틴 첨가 시 이화학적 특성을 우수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내어 향후 다양한 소시지형 제품에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고분자-칼슘 포스페이트 복합 박막 제조 (Preparation of Natural Polymer-CaP Composite Films)

  • 김가은;모만진;이우걸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12-1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생체재료 표면개질의 방법으로 유-무기 박막 형성에 관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Collagen의 분해 시 얻어진 gelatin을 polystyrene 배양접시에 2 h 동안 흡착시켜 gelatin 흡착층을 형성하였다. Gelatin 흡착중에 calcium과 phosphorus 과포화 이온용액을 주입하여 calcium phosphate (CaP) 박막을 제조하였다. 박막 형성 초기에 박막의 핵들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처리시간에 따라 CaP 박막에 성장하여 배양접시의 바닥표면 전체에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형성된 gelatin/CaP 복합 박막의 특징은 3차원 공간에서 다공성이 높은 표면 구조를 형성하였다.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TR-FTIR)을 이용하여 CaP 박막의 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박막 형성 초기에는 무결정 형태의 박막이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결정성이 약간 증가하지만, 결정성이 낮은 CaP에서 나타나는 흡수피크의 존재 등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조한 CaP 박막은 poorly crystalline CaP 박막임을 확인하였다.

Reconstruction of radial bone defect using gelatin sponge and a BMP-2 combination graft

  • Kim, Seong-Gon;Jeong, Jae-Hwan;Che, Xiangguo;Park, Yong-Tae;Lee, Sang-Woon;Jung, Eun-Sun;Choe, Senyon;Choi, Je-Yong
    • BMB Reports
    • /
    • 제46권6호
    • /
    • pp.328-333
    • /
    • 2013
  • Many bioactive molecules like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rhBMP-2) have been developed for mineralized bone grafts, for which proper scaffolds are necessary to successfully apply the bioactive molecul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osteogenic efficacy of rhBMP-2 produced in-house in combination with gelatin sponge as the scaffold carrier in a rabbit radial defect model. The efficacy of the rhBMP-2 was determined b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of C2C12 cells. Two groups of ten rabbits each were treated with rhBMP-2/gelatin sponge, or gelatin sponge only. At 4 weeks, rhBMP-2/gelatin sponge grafts showed more bone regeneration than gelatin sponge grafts, as determined by X-ray radiography,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ical analyses. At 8 weeks, rhBMP-2/gelatin sponge grafts exerted much stronger osteogenic effects. The study demonstrates the improved osteogenic efficacy of the rhBMP-2/gelatin sponge grafts in a rabbit radial bone defect model acting as a bone-inductive material.

아민화 젤라틴 - 후코이단 미세캡슐의 제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minated Gelatin-Fucoidan Microparticles)

  • 고정아;오윤성;박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195
    • /
    • 2012
  •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은 젤라틴의 양이온인 amino 그룹과 후코이단의 음이온인 sulfate 그룹과의 이온결합으로 제조되었다. 후코이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세캡슐의 유리아미노 그룹의 함량은 감소했으며, 또한 미세캡슐로부터의 방출 속도 역시 후코이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고 pH 1.2인 인공위액에서의 방출 속도가 pH 7.4인 PBS 에서보다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은 일반 젤라틴 미세캡슐보다 유리 아미노 그룹의 함량이 높아 음전하를 띄고 있는 위점막에 점착력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을 제조하고 점착력을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amoxicillin을 캡슐화한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의 헬리코박터 저해능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rocessing Optimization of Gelatin from Rockfish Skin Based on Yield

  • Kim, Hyung-Jun;Yoon, Min-Seok;Park, Kwon-Hyun;Shin, Joon-Ho;Heu, Min-Soo;Kim, Jin-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1-11
    • /
    • 2010
  • The study was performed to optimize the processing conditions (alkali concentration,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for rockfish skin gelatin based on yiel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ith those of rockfish skin gelatin pretreated and extracted under ordinary conditions (alkali treatment concentration: 1.0 M; extraction time: 2 hr; extraction temperature: $60^{\circ}C$). Predicted maximum gelatin yield of 19.1% and gelatin content of 87.8% were obtained by extraction at $106.6^{\circ}C$ for 69.0 min after pretreatment with 1.1 M calcium hydroxide. Yield of gelatin extracted under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 (G-HT/HP) was 54% higher than that extracted under ordinary temperature/time (G-OT/T). However, G-HT/HP was inferior in gel strength and gelling point to (G-OT/T), but comparable in transmission.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G-HT/HP was unsuitable for use in products requiring higher physical properties, but could be useful for health-functional foods.

닭발의 침지조건이 닭발 젤라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aking Con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Feet Gelatin)

  • 장은경;임주연;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5-43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축산 부산물인 닭발을 산과 알칼리에 각각 침지하여 제조한 젤라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조건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돈피나 소가죽 젤라틴과는 그 조성이 달랐다. 이는 원료의 특성과 제조공정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젤라틴의 수율과 젤라틴 겔의 경도는 산성 조건에서 24시간 침지한 경우에, 알칼리 조건에서 1주 침지한 경우에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다. 점도와 투명도는 침지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성 조건에서는 증가한 반면 알칼리 조건에서는 감소하였다. 색도는 산처리 닭발 젤라틴 겔이 알칼리처리 젤라팅 겔에 비해 L값은 높고, a값과 b값이 낮아 미관상 더 바람직하다. 이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산처리 24시간 침지 시료와 알칼리 처리 1주 침지 시료의 분자량 분포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살펴본 결과, 두 시료 모두 12개의 획분으로 구성되었다. 가장 많이 발견되는 분자량은 669 kD으로 알칼리 처리 시료가 산처리 시료에 비해 두 배나 많았으며, 300 kD 이하는 산처리 시료가 알칼리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많아 산처리 시료가 알칼리 처리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분자화 되어있었다.

The Effect of Gelatin Coating and Sonica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Wet-Aging Pork Loins

  • Yea-Ji Kim;Tae-Jun Jung;Tae-Kyung Kim;Jae Hoon Lee;Dong-Min Shin;Hwan Hee Yu;Yun-Sang Cho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69-281
    • /
    • 2023
  •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ffect of gelatin coating and sonication of wet-aged pork loin on quality. The moisture content of wet-aged pork loin with sonication and gelatin coating was the highest in the G5S sample (5% gelatin coating and sonication), while the moisture content of wet-aged pork loin with sonication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sonication. The pH of wet-aged pork loin with sonication was lower than that without sonication. The aging loss of 5% gelatin coating with son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0 (control), while the cooking loss was the lowest in G0 wet-aged pork loin.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wet-aged pork loin was the highest in G1.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of wet-aged pork lo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coating and not affected by sonication. The gelatin coating and sonication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of the samples. Shear force of wet-aged pork loin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amples were gelatin-coated and sonicated. The myofibrillar and total protein solu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conclusion, the 1% gelatin coating with sonic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wet-aged pork lo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