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가스계 소화설비의 제한사항 및 성능평가를 위한 배관 내 약제비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nt Agent in Pipe as a Criterion to Evaluate Limitations and Performance of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s)

  • 손봉세;김희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할론 1301 및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가스계소화설비의 성능을 시험하고 평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인 배관내 약제비율, 관경비 등 소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계소화설비의 제한사항 및 성능확보에 필요한 요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관련 국내외 기준 분석 및 국내 가스계소화설비의 성능평가에 관한 인정기준(KFIS 002)에 따른 시스템 성능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스계 청정소화약제의 소화특성과 첨가제에 따른 영향 (Flame Ex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Clean Gaseous Agents and Effects of Additives)

  • 신창섭;김성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99
    • /
    • 2008
  • Halon was known as a cause of the ozone layer destruction. In 1987, it was designated as one of the ozone-layer-destroying materials in the Montreal Protocol. Therefore substitutes of Halon agent has been developed including inert gas extinguish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This study inten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ert gas extinguishing agent by using inert gas additives. As IG-541 shows high extinguishing pow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ffects of gaseous additives to it. Cup-burner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as used with n-Heptane fuel. Among many of pure inert gaseous agents, Helium showed the most excellent extinguishing power. When Helium was added to IG-541, fire extinguishing power was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chimney also risen. By adding Helium to IG-541, the effectiveness of inert gas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able to be increased.

가스계 소화시스템 노즐 수축각이 방출소음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Nozzle Contraction Angles of Gaseous Extinguishing Systems on Discharge Noise)

  • 김요환;유한솔;황인주;김윤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77-82
    • /
    • 2019
  • 소화설비는 예상치 못한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며, 방호대상과 장소에 따라 부합한 소화약제를 사용해야한다. 이 중 가스계 소화설비는 물에 취약한 전자장비 등을 방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 때문에 화학적 반응이 없는 불활성 기체가 주로 적용된다. 하지만 최근 전자장비들의 고집적화로 인하여 가스계 소화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전자장비에 손상을 주는 사례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개선하고자, 노즐 수축각에 따른 유동소음을 수치적으로 계산 및 분석하였다. ANSYS FLUENT ver. 18.1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스월 분포를 고찰하여 유동소음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개선된 모델은 기본 모델 대비 약 6 dB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가스계 소화시스템 노즐 수축각이 방출소음 저감에 영향력 있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밀폐도 시험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조치에 관한 연구: 발전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cautions Effects of the Enclosure Integrity Test for the Gaseous Extinguishing Systems: Focusing on the Power Plant)

  • 김영철;조일현;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60-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가스계 소화설비시스템이 설치된 방호구역에 소화농도유지시간 성능실험인 밀폐도 시험(Enclosure Integrity Test)를 진행하여, 성공에 미치는 사전조치요인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국내외에 발전소 방호구역에 사전 조치를 취한 방호구역과 사전 조치를 취하지 않은 방호구역으로 나누어 Enclosure Integrity Test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사전조치 여부에 따라 시험의 성공률을 알아보고, 각각의 가스계 소화시스템 및 실의 종류에 따른 Enclosure Integrity Test의 실패 요인, 설계 농도 유지시간 및 체적대비 누설면적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조치를 수행하여 Enclosure Integrity Test의 성공률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패에 의해 반복되는 실험의 수를 줄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개구부 보충량 추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of Additional Gas for the Unencloseable Openings of The Gaseous Extinguishing Systems)

  • 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6
    • /
    • 2012
  • 이산화탄소의 소화설비에는 개구부에 대한 소화약제 보충에 대해 구체적인 지침이 있다. 하지만 다른 가스설비, 청정소화약제 설비에는 필요한 경우 적용하라는 원칙 외에 구체적인 조항이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산화탄소의 개구부 약제 추가 공식을 우리가 현제 사용하고 있는 다른 가스계 소화약제에 적용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EXPERIMENTAL STUDY ON PEAK CONCENTRATIONS OF HALON ALTERNATIVES AT ELEVATED TEMPERATURE

  • Ohtani, Hideo;Washimi, Akiko;Uehara, Yoichi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550-557
    • /
    • 1997
  • Production of so-called Halon fire extinguishing agents has been prohibited since January 1994 because of their ozone depletion potential, To replace them, several hydrofluorocarbons and fluorocarbon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A number of studies on flame extinguishing concentrations and flammability peak concentrations of them have been done. Although there was enough information for practical purpose, more knowledge on fire ex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m should be attained for efficient use of them. In this study, peak concentrations of methane/air mixtures with gaseous halogenated hydrocarbons were measured at elevated temperature, because the former studies were done at room temperature and temperature of a fire room can be higher than usual. Measurement was done at $200^{\circ}C$, because measuring system could not endure higher temperature. This study revealed that peak concentration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differed little at elevated temperature. The halogenated hydrocarbons have almost the same fire extinguishing ability as Halon 1301.

  • PDF

소화약제 누기 감시장치의 모듈개발 및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Leakage Monitoring Module and its Performance Assessment)

  • 손봉세;홍성호;고아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43-48
    • /
    • 2016
  • 가스계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자연 누기와 소화설비 노후로 인한 누기 등으로 화재진압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약제의 누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압력누기 체크센서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 모듈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였다. 국내 외적으로 압력누기 감시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시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외 유사 기준 ISO 7240, FM 1421와 국내 수신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을 참고하여 개발 모듈에 맞게 기본 성능과 내환경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를 실행하였다. 기본 성능 평가는 압축공기를 모듈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최저작동 압력이 0.3 bar인 것을 확인하였다. 내환경성 검증은 통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도 오작동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온($50^{\circ}C$) 및 저온($-10^{\circ}C$) 환경 기준에서 이상 없이 정상 작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