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Leakage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35초

MFL을 이용한 천연가스 배관용 비파괴 검사장비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for Development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in Natural Gas Pipeline Using MFL Technology)

  • 조성호;김동규;박대진;박승수;유휘룡;구성자;노용우;고영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1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기해석을 기초로 배관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는 자기인가장치를 개발하져다. 자기인가장치는 영구자석(Nd-Fe-B계열) 및 Linear Hall Effect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을 충분히 자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센서 어레이는 8인치 크기로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자기인가장치는 5개의 yoke와 45개의 Linear Hall Effect 센서로 구성된다. 자기회로법을 이용하여 설계된 자기장 인가장치가 배관을 포화시킬 수 있는가를 확인하였고. 또한 8인치 탄소강관(두께 : 5.85mm)에 인공 결함을 제작하여 누설 자속을 측정하였다. 시험 배관에 만들어진 두께 $10\%{\~}80\%$의 결함은 제작된 MFL 모듈을 이용하여 모두 검출하였으며 결함의 깊이가 가장 얇은 0.5mm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대단면 지하광산 갱도내 뒷채움 작업장 가스유출 및 확산제어 통기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Schemes for Gas Leakage and Dispersion Controlling at the Backfilled Working Face in Large-Opening Underground Mine)

  • 응우엔반득;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4호
    • /
    • pp.372-386
    • /
    • 2018
  • 뒷채움한 작업장의 공기질은 채움재의 양생기간 및 이후에 걸쳐 현저히 악화된다. 복합탄산염 기반의 채움재로 뒷채움한 채굴적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친 NH3 및 CO2의 유출은 작업공간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지표상에서도 관찰된다. 가행광산에서는 가스의 유출은 작업환경을 급격히 악화시키므로 오염된 공간을 희석 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통기량의 공급, 그리고 유해 가스 유출과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통기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채움공간내 가스제어를 위한 압력균형 통기기술의 적용성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지하복합발전플랜트 내의 가스 누출 및 확산에 의한 위험성 평가 인자 분석 (Analysis of Risk Assessment Factors for Gas leakage and Dispersion in Underground Power Plant)

  • 최진욱;이용남;박재용;성건혁;이성혁;김대중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6
    • /
    • 2015
  • Gas leakage and dispersion in the underground LNG power plant can lead to serious fire and explosion accident. In this stu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was applied to model the dynamic process of gas leakage and dispersion phenomena in a closed space. To analyze the risk assessment factor, such as the flammable volume ratio, transient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different scenarios. The simulation results visualized the gas distribution with time in the closed space. The flammable volume ratio was introduc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fire/explosion probability.

자기 누설 신호의 측정을 이용한 배관의 결함 깊이 추정 (Defect depth estimation using magnetic flux leakage measurement for in-line inspection of pipelines)

  • 문재경;이승현;이인원;박관수;이민호
    • 센서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28-333
    • /
    • 2006
  • Magnetic Flux Leakage (MFL) methods are widely employed for the nondestructive evaluation (NDE) of gas pipelines. In the application of MFL pipeline inspection technology, corrosion anomalies are detected and identified via their leakage filed due to changes in wall thickness. The gas industry is keenly interested in automating the interpretation process, because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analyzed is generated for in-line inspection.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to the tasks of data segmentation, feature extraction and depth estimation from gas pipelines. Also, we will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identifying artificial defects.

3D 스캔과 CFD를 활용한 LPG 폭발사고의 누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Leakage for LPG Explosion Accident using 3D Scan and CFD)

  • 조완수;김의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
    • /
    • 2018
  • Recently, various engineering approach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accident investigation fiel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o predict damage by accident. Computational analysis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ccident investigation technique. This technique is mainly use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the accident generation and to determine the cause when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or when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reproduction experiment. In this study, The gas explosion analysis for LPG explosion accident generated by defect of the blocking ac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ccident object, gas leakage amount and predicted the damage caused by the accident using 3D laser scanner and FLACS program. We can quantify the explosive power by LPG gas accident and predict the gas leakage amount, damage by accident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method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as safety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

해양플랜트 프로세스 배관 Pressure Leak Test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ure Leak Test of Process Piping for Offshore Plant)

  • 박창수;김형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29-437
    • /
    • 2018
  • The process gas piping of the offshore plant can cause a massive explosion if the gas leakage occurs during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precaution of gas leakage accident, an air pressure test is performed on the process equipment tests using a test pump as much as the power to the piping inner side, mix 99% nitrogen gas and 1% helium gas. The purpose of the air pressure test is to check the work conformity process by handling and regulation for initial piping process, assembly, installation of module, welding, center alignment of the pipes assembling flange gasket in an unrestrained free state. In this paper, the regulation of the problematic air pressure test was analyzed and the solu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And leakage tests of existing equipment were performed applying these solution metho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problem.

LP가스 용기의 부식 및 가스누출 원인 분석 (Analysis for Cause of Corrosion and Gas Leakage on LP-Gas Cylinder)

  • 최송천;조영도;권정락;김지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2-59
    • /
    • 2001
  • LP가스 용접 용기의 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가스 누출은 용접부 국부부식에 따른 핀홀에 의한 누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부구조 용기에서의 열처리조건의 문제점과 3부구조 용기의 T부위 터짐 현상에 의한 대책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LP 가스 용기의 용접부 및 모재부에 대하여 산성비와 해수 분위기에서의 부식속도를 전기화학적 부식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LP가스 용기의 제조공정중 분체도장 공정에 의한 도장막의 부착성 및 결함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고 최적의 도장 두께를 제시하였다.

  • PDF

지하 복합발전 플랜트 내에서의 가스 누출 및 확산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Gas Leakage and Diffusion Behavior in Underground Combined Cycle Power Plant)

  • 방주원;이성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8-1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인 Fluent(v.17.1)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지하복합발전 플랜트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파공 크기 및 파공 위치에 따른 가스 누출에 관한 해석을 진행하였다. 누출 가스는 메탄으로 설정하였다. 파공 크기는 10 mm, 20 mm로 설정하였으며, 파공 위치는 파이프 엘보우 부근, 가스터빈 부근에서 가스가 누출될 경우로 가정하여, 총 4가지 Case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스 누출을 분석하기 위해 연소 하한계의 개념을 바탕으로 누출 거리를 정의하여 종 방향, 횡 방향으로의 거리를 추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위치에서 파공 크기에 따라 누출거리가 최대 52.3 %의 차이를 보이며 종 방향의 누출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 파공 크기일 때, 파공 위치에 따라 최대 34.8 %의 차이를 보이며 가스의 확산 경향이 달라지게 된다. 공기보다 가벼워 부력의 영향으로 상승하던 가스가 장애물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확산이 제한되어 장애물이 없는 경우보다 재순환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종 방향 누출거리와 횡 방향 누출거리가 파공 크기 및 파공 위치에 따라 다른 성장 거동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하 복합발전 플랜트와 같은 밀폐공간에서 가스 센서의 위치 및 개수를 최적화 하는데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중 저장 이산화탄소의 누출 위험도 평가를 위한 결함수 분석 (Fault Tree Analysis for Risk Assessment of CO2 Leakage from Geologic Storage)

  • 이상일;이상기;황진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359-366
    • /
    • 2009
  •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is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interim solution to deal with the greenhouse gas such as $CO_2$ responsible for global warming. Even though carefully chosen geologic formations are known to contain stored gas for a long time period, there are potential risks of leakage. Up to now, applicable risk assessment procedures for the leakage of $CO_2$ are not available. This study presents a basis for risk analysis applicable to a complex geologic storage system. It starts with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leakage pathways. Receptors and the leakage effect on them a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n, a fault tree is constructed, which yields the minimum cut set (i.e., the most vulnerable leakage pathway) and quantifies the probability of the leakage risk through the cut set. The methodology will provide a tool for risk assessment in a CCS project. The outcomes of the assessment will not only ensure the safety of the CCS system but also offer a reliable and efficient monitoring plan.

대규모 시설을 위한 다채널 가스 누설 경보기 개발 (Development of Multi Channel Gas Leakage Detector for Large Facility)

  • 정규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
    • /
    • 2008
  • As a clean fuel, LNG or LPG is widely used in large restaurants or plants instead of coal. These fuels are easy to use and cheap. However, they are inflammable very much and easily exploded at the worst. So there are many laws and regulations legislated for the handling and usage of the gas facilities. Nevertheless, very harsh explosions occurred in several domestic or foreign places. In this paper a gas detection and alarm system was developed for large facilities. A new concept for connecting many gas detectors was proposed and based upon that a system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have been developed and tested. Although up to 16 gas detectors apart 1 km from main controller can be connected currently, this system can be easily expanded for more detectors because each gas detector receiver communicates with main controller using industrial standard RS-485 multi drop technique. Furthermore several additive functions was included fo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nven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