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net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6초

Sol-gel 합성에 의한 자성 garnet $Y_{3-x}Bi_xFe_5O_{12}$의 결정학적 및 Mossbauer 분광학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ossbauer Studies of Magnetic Garnet $Y_{3-x}Bi_xFe_5O_{12}$ by a Sol-Gel Method)

  • 엄영란;김철성;이재광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3-209
    • /
    • 1998
  • Single phase garmet Y3-xBixFe5O12(x=0.0, 0.25, 0.5, 0.75, 1.0)을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하여 sol-gel 법으로 합성후 x-ray diffraction, Mossbauer 분광기,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를 이용하여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Y과 Fe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얻은 Y3Fe5O12의 x-ray 회절 분석 결과는 결정구조가 cubic임을 알 수 있었고 Y에 Bi를 치환한 경우 또한 cubic 구조이었으며 Bi의 치환 량이 증가할수록 격자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Bi를 첨가한 Y3-xBixFe5O12 (x=0.0, 0.25, 0.5, 0.75, 1.0)의 단일상의 garnet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80$0^{\circ}C$이고 secound phase (BiFeO3)가 생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x=0.75는 100$0^{\circ}C$이며 x-1.0은 95$0^{\circ}C$였다. Mossbauer 분광 실험과 VSM측정 결과 Birk 치환 될수록 포화 자화 값과 coercivity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uric 온도는 Bi의 치환 양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평-양평 지역에 분포하는 근청석 편마암의 백립암상 변성작용과 P-T 진화 경로 (Granulite-facies metamorphism and P-T evolutionary path of cordierite gneisses in the Cheongpyeong-Yangpyeong area)

  • 조윤호;조문섭;이승렬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2-65
    • /
    • 1996
  • 경기육괴 중앙부의 청평-양평 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링 변성암류는 편마암, 편암, 규암, 각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변성이질암류의 특징적인 광물조합은 백립암상을 지시하는 흑운모 + 근청색 + 석류석 + 규선석 + K장석 + 사장석 + 석영, 백운모, 스피넬, 강옥이 소량으로 산출한다. 특히 3개의 편마암 표품에서 남정석이 사장석내에 세립의잔류광물로 존재한다. 석류석-흑운모와 석류석-근청석 지온계 그리고 석류석-$Al_2SiO_5$-석영-사장석(GASP)과 석류석-금홍석-Al2SiO5-티티철석(GRAIL)지압계를 사용하여 추정한 변성조건은 석류석의 주심부 성분을 사용하였을 때 700-$850^{\circ}C$와 3.2-8.3 kbar이고 주변부 성분을 사용하였을 때 580-$690^{\circ}C$ 와 2.1-3.2 kbar이다. GASP 광물조합을 이루는 석류석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Fe와 Mn양이 증가하고 Mg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Ca양은 거의 일정하다. 이러한 성분의 변화는 P-T계산 결과 및 남정석의 산출과 함께 시계방향의 변성진화경를 시사한다. 또한, 중앙형 백립암상의 고변성작용을 경험한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고압광물인 남정석이 사장석내에 포획되어 산출하는 조직상의 특징은 연구지역의 P-T조건이 비교적 빠르게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 PDF

산업부산물인 가네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성질개선에 관한 기초적 연구 (The Funda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the Garnet with Industrial Wastes)

  • 임병호;박정민;김태곤;김화중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3-190
    • /
    • 1999
  • 본 연구는 부존자원의 고갈화 문제에 따른 신소재 개발이라는 성자원적인 측면과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이라는 환경친화적인 측면에 상응하여 현재 경북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인 가네트를 대상으로 제반 물성 실험을 통하여 콘크리트 제조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실험실적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네트 미분말은 포졸란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갖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함유량이 약 50% 정도로써 화학조성상 혼화재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응결시간은 가네트 치환량이 많아 질수록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시험결과 일반 모르터에 비해 가네트의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플로우치가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콘크리트에 활용시 시공연도를 증진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모르터에 대한 압축강도 시험결과 물결합재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일반 모르터에 비해 약간씩 압축강도를 상회하고 있으며 최고의 강도 발현율은 치환율 10% 정도로 사료되며, 기존 혼화재(실리카 흄, 플라이애쉬)에 비해 동수준의 강도 발현율을 나타냄으로써, 콘크리트 제조시 시멘트 절감효과 및 성질개선을 위한 혼화재로써의 사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홍성 신리 지역 대리암 내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의 암석지화학 연구 및 그 지구조적 의미 (Petrochemistry of Garnet-bearing Metabasite in Marble at Shinri area in Hongseong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 김성원;고희재
    • 암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25
    • /
    • 2010
  • 남서부 경기육괴 홍성의 동부 예당호 부근의 신리지역은 원생대 후기의 덕정리 화강섬록암-토날라이트, 압쇄 각섬석 정편마암 및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을 포함하는 대리암이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신리지역의 대리암 내 원생대 후기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의 광물화학 및 지화학 자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신리지역의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을 $SiO_2$$Na_2O+K_2O$의 분별도에 도시하면 $SiO_2$의 함량은 46.98-51.17 wt% 그리고 $Na_2O+K_2O$의 함량은 1.95-2.85 wt%로 솔레아이트질 서브-알칼라인 현무암의 영역에 점시된다. Zr/Y 대 Zr의 분별도에서도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은 서브-알칼라인 현무암의 영역에 점시된다. 신리 지역의 변성염기성암의 희토류 원소 농도를 콘드라이트 조성치에 표준화한 희토류 양상은 중앙해령과 유사한 현무암의 희토류원소 양상을 보여준다. 평균 초생맨틀값으로 미량원소 성분을 표준화하여 도시한 거미 성분도상에서는 신리변성염기성암는 경희토류가 부화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주원소 및 미량원소의 지화학적 특징은 판 내부 환경의 현무암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이들 양상은 기 보고된 비봉과 백동지역의 변성초염기성암과 관련된 고압형 변성염기성암의 중앙해령 현무암과 유사한 호상열도 현무암 혹은 배호분지 현무암의 양상과 상이하다. 신리지역 대리암 내에 포함된 변성염기성암의 광물군과 광물화학을 근거로 계산된 변성 압력-온도 조건은 석류석 중심부에서 9.6-12.7 kb, $695-840^{\circ}C$, 석류석 가장자리에서 9.6-13.6 kb, $630-755^{\circ}C$로 온도가 감소하며 압력이 거의 일정한 변성진화과정을 보여준다. 이들 변성 압력-온도 진화경로는 비봉 및 백동 변성염기성암의 등온하강 후퇴변성작용 경로와는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들 암체에서 보고된 트라이아스기 변형, 변성 시기와 더불어 원생대 후기의 변성작용과 생성 시기 등을 포함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태백산광화대(太白山鑛化帶) 연화(蓮花)-거도광산(巨道鑛山)에 있어서의 스카른과 광석광물(鑛石鑛物)의 수반관계(隨伴關係) 및 상평형(相平衡) (Skarn-Ore Associations and Phase Equilibria in the Yeonhwa-Keodo Mines, Korea)

  • 윤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1호
    • /
    • pp.1-10
    • /
    • 1983
  • The Yeonhwa (I, II) and Keodo mines, neighboring in the middle part of the Taebaegsan mineral belt, contain three distinct classes of skarn deposits: the zinc-lead skarn at Yeonhwa (I, II), the iron skarn at Keodo south (Jangsan orebodies), and the copper skarn at Keodo north (78 orebodies). The present study characterizes the three classes of skarn deposits mainly in terms of skarn/ore associations examined from chemical compositional point of view, and applies existing quantitative phase diagrams to some pertinent mineral assemblages in these mines. At Yeonhwa I the Wolam I orebody shows a vertical variation in skarn minerals ranging from clinopyroxene/garnet zone on the lower levels through clinopyroxene (without garnet) zone on the intermediate levels, and finally to rhodochrosite veins on the upper levels and surface. Ore minerals, sphalerite and galena, associate most closely with the intermediate clinopyroxene zone. At Keodo, the Jangsan iron skarn hosted in quartz monzodiolite as a typical endoskarn, shows a skarn zoning, from center of orebody to outer side, magnetite zone, magnetite/garnet zone, garnet clinopyroxene zone, and clinopyroxene/epidote/plagioclase zone. The 78 copper skarn in the Hwajeol limestone indicates a zoning, from quartz porphyry side toward limestone side, orthoclase/epidote zone, epidote/clinopyroxene zone, and clinopyroxene/garnet zone; chalcopyrite and other copper sulfides tend to be in clinopyroxene/garnet zone. Mioroprobe analyses of clinopyroxenes and garnets from the various skarn zones mentioned above revealed that the Yeonhwa zinc/lead skarns are characterized by johansenitic clinopyroxene (Hd 25-78, Jo 15-23) and manganoan andraditic garnet (Ad 13-97, Sp 1-24), whereas the Jangsan iron skarn at Keodo by Mn-poor diopsidic clinopyroxene (Di 78-93, Jo 0.2-1.0) and Mn-poor grossularitic grandite (Gr 65-77, Sp 0.5-1.0). The 78 copper skarn at Keodo is characterized by Mn-poor diopsidic-salite (Di 66-91, Jo 0.2-1.1) and Mn-poor andraditic grandite(Ad 40-74, Sp 0.5-1.1). The compositional charateristics of iron, copper, and zinc-lead skarns in the Yeonhwa-Keodo mines are in good correlations with those of the foreign counterparts. Compiling a $T-XCO_2$ phase diagram for the Jangsan endoskarns, a potential upper limit of temperature of the main stage of skarn formation is estimated to be about $530^{\circ}C$, and a lower limit to be $400^{\circ}C$ or below assuming $XCO_2=0.05$ at P total=1kb. Applying a published log $fS_2$-log $fo_2$ diagram to the Keodo 78 and Yeonhwa exoskarns, it is revealed that copper sulfides and zinc-lead sulfides do not co-exist stably below log $fS_2=-4$ and log $fO_2=-23$ at $T=400^{\circ}C$ and ${\times}CO=1$ atm.

  • PDF

Al-doped Uvarovite 안료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doped Uvarovite Green Pigments)

  • 서성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08-612
    • /
    • 2010
  • Uvarovite Garnet is green pigment prepared by using $Cr_2O_3$, CaO and $SiO_2$ which are widely used in ceramic industry. The synthesis of above pigment was carried out by mixing $K_2Cr_2O_7$, $SiO_2$ and $CaCO_3$ as formulated and then firing at $1000{\sim}1200^{\circ}C$. To investigate the optimum synthesis condition of the Uvarovite Garnet. it was prepared by using CaO to replace $CaCO_3$, $CaF_2$ and $CaCl_2$. To get green brighter color, $Al^{3+}$ was substituted for $Cr^{3+}$. They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UV-Vis spectroscopy, Raman spectroscopy and SEM analysis. When the pigments were applied to lime glazes (6 wt%), color parameters of Uvarovite Garnet showed the $L^*$=40.99, $a^*$=-16.23 and $b^*$=17.04.

Description of The Geology of The Sangdong Tungsten Deposit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Exploration Using Geochemical Techniques

  • Han, Tai Hwan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4호
    • /
    • pp.143-167
    • /
    • 1978
  • The Sangdong tungsten (mostly scheelite) mine is located on the southern limb of a major syncline, the Hambaeg syncline, in a thick sequence of lower Paleozoic sedimentary rocks in the mideastern part of south Korea. Productive scheelite mineralization in Sangdong area is confined to one single formation, the Myobong Slate. Four major ore beds, which have an lateral extension over than 1 km and were not heavily subjected to spatial disturbance, are developed in the Myobong Formation. The original materials of the ore-comprising horizones were probably of either calcareous or silceous sediments. The four ore beds, especially in the case of Main ore bed, display both lateral and vertical zoning. Association quartz-mica-scheelite is predominant in the central, while association hornblende-quartz-diopside-scheelite, diopside-garnet and wollastonite-garnet are developed in this order towards the periphery of the ore beds. Petrologically, two phases of thermometamorphism are recognized. The first phase is represented by the association wollastonite-garnet and diopside-garnet, while the second phase by the association hornblende-quartz-diopside-scheelite and quartz-mica-scheelite. The associations of the second phase do constitute prodctive ore. The high background value of tungsten in the area surrounding the Sangdong mine reveals that the area can be considered a geochemical zone enriched in tungsten. Studies on the trace element patterns were carried out to draw useful criteria for the purpose of future geochemical exploration in the area. The increasing trend of the ratio Rb $({\times}1000)/K_2O$ of the Myobong Slate towards the known mineralization area proved to be indicative for the presence of tungsten mineralization.

  • PDF

$2({Y}_{3-x}Bi_x)({Fe}_{5-y}Al_y)O_{12}$ 가네트의 x, y 변화에 따른 자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un the Magnetic Properties of $2({Y}_{3-x}Bi_x)({Fe}_{5-y}Al_y)O_{12}$ Garnet with the Variation of x, y Additions)

  • 홍기원;박권화;장경욱;이준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34-1136
    • /
    • 1993
  • The mean grain size of sample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addition of $Al_2O_3$ in the basic composition of YIG. It is mean that the addition of $Al_2O_3$ is helpless the development of magnetic properties in YIG garnet, considering the relation of ${\mu}{\propto}D^{1/3}$. To increase addition of $Al_2O_3$ decreased the area of hysterisis loop. It is known that the addition of $Al_2O_3$ is help the development of magnetic properties in YIG garnet, considering the relation of loss component factor and the area of hysterisis loop. As a results, sample with the addition of $Al_2O_3$ 0.5 mol % among the fabricated samples is must effective in the magnetic properties of YIG Garn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