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net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9초

디엘레트지역(地域) 스카른의 암석학적(岩石學的) 성인연구(成因硏究) (Petrogenesis of the Skarn at the Dielette, Cotentin, France)

  • 장호완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2호
    • /
    • pp.139-150
    • /
    • 1985
  • Skarn at the Dielette formed largely in calc-silicate hornfels at the contact with the Flamanville granite. The skarn consists mainly of garnet and pyroxene, and less frequently vesuvianite. Traversing toward calc-silicate hornfels wall rock from a central zone of the skarn, the general sequence of formation of mineral assemblages is: (1) dark brown garnet (2) pale brown garnet-vesuvianite-pyroxene, and (3) pyroxene-prehnite-scapolite-wollastonite envelopes (designated as transition zone) developed between skarn and calc-silicate hornfels. The central zone of the skarn consists mainly of dark brown garnets (garnet I) that contain little or no pyroxene. The pale brown garnet (garnet II) is associated with pyroxene and vesuvianite. The sequence of these garnets results from the zonal growth outward. There is an abrupt discontinuity in composition between garnet I formed in early stage and garnet II in late stage, while each garnet shows relatively uniform composition. At the zone in contact with the granite, the iron contents of garnets decrease toward the marginal zone of the skarn, from an average value of 36 mole % andradite in garnet I to 18 mole % andradite in garnet II. At the zone distant from the granite, the andradite component decreases from 28 mole % in garnet 1 to 19 mole % in garnet II. The variation of the iron contents of pyroxenes is also similar to that of garnets. The sharp discontinuity in composition of garnets and pyroxenes suggests that the skarn of study area was formed by infiltration metasomatic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mineral assemblages of the transition zone by chemical potential diagrams suggest that the transition zone was made by the diffusion of the elements Ca, K and Fe from the skarn to the calc-silicate hornfels contact zone. The estimated temperatures and $Xco_2$ for the formation of the transition zone show $300^{\circ}C$$440^{\circ}C$ and $0.07{\pm}0.05<Xco_2<0.02{\pm}0.01$ at 1 Kb respectively.

  • PDF

산업부산물인 가네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Garnet Powder with Industrial By-Products)

  • 임병호;김태곤;박정민;김화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23-130
    • /
    • 1999
  • In a preceding study(1), the using method of garnet powder has been studies through the various investigation of basic material properties on garnet powder, industrial by-products generated in Yungju, Kyungpook. In this study, the various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garnet powder are examined as following condition : Unit weight of water (170kg/㎥), water-binder ratio W/B (53, 55 and 58%), sand-aggregate ratio (S/A) (43, 45 and 48%), substitutional ratio of garnet powder of 0, 5, 10, 15 and 20%. Slump increased a little as the substitutional ratio of garnet increased. Air content decreased a little at the substitutional ratio of 10%. or more. Thoug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W/B and the substitutional ratio,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garnet exceeded that of plain concrete a little in the range of the substitutional ration of 5 to 15%. Also, There is a similar tendency in th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Therefore, the use of garnet powder with industrial by-products is expect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strength of concrete.

자기 garnet film을 이용한 철단결정의 자구관측법과 응용 (Domain observation for iron whiskers with magnetic garnet film and its appliction)

  • 이재광;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87-293
    • /
    • 1995
  • 자성물질의 자구를 관측하고, 표면의 자기전하를 측정하는 간단하면서도 정량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관측방법은 자기 garnet film을 사용하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100} 철단결정 표면의 자구를 관측할 수 있었다. garnet film의 자구는 garnet 면과 수직한 자기장에 의해서만 변하고 임계 자기장에서는 사라진다. 그러나, 철단결정의 자구는 단결정 표면에 평행하게 걸어준 자기장에 대하여서는 영향을 받지만 수직하게 가한 자 기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위와 같이 성질을 이용하여 철단결정과 평행한 자기장을 가할 때 철단결정의 자구에 유도된 전하에 인하여 garnet film의 자구가 변화하며, 이 garnet film의 자구는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직접 관측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철단결정의 표면에 유도 되는 자기전하 분포를 측정할 수 있었고, 또한 단결정에 걸어준 전류가 변할때 단결정 자구의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 관측한 결과 를 이용하여 철단결정에 전류를 가할 때의 비대칭적으로 유도되는 교류 자기감수율 실험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인도네시아 까시한지역 스카른광체의 광상학적 특성 (Ore Geology of Skarn Ore Bodies in the Kasihan Area, East Java, Indonesia)

  • 한진균;최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1호
    • /
    • pp.1-8
    • /
    • 2012
  • 인도네시아 까시한 지역 함 동-아연 스카른광체는 올리고신 후기 퇴적암류 중 석회암층을 따라 발달한다. 스카른광체의 괴상스카른대는 초기에서 후기로 단사휘석-석류석대, 석류석대, 석류석-녹염석대, 녹염석대 스카른으로 구분된다. 초기 괴상 스카른대에서 산출하는 단사휘석은 투휘석-헤덴버가이트 고용체로서, 초기 투휘석 단성분에 가까운 조성으로부터 후기 salitic 단사휘석으로의 조성변화가 확인된다. 이러한 단사휘석의 조성변화는 일반적인 스카른 광체에서의 수반 금속성분 (Cu 및 Zn광화작용)과 단사휘석 조성 상관관계와 잘 일치한다. 석류석의 경우 그로슐라-안드라다이트 고용체로서 매우 넓은 조성변화를 보여주며, 후기 석류석의 경우 Fe함량의 증가 경향성이 인지된다. 녹염석의 경우 클리노조이사이트-피스타사이트 고용체(65.8-76.2 mol. % 클리노조이사이트)로 확인된다. 상평형관계로 확인된 까시한 지역 함 동-아연 스카른광체는 약 0.5 kb의 환경에서 초기 약 $450^{\circ}C$ (단사휘석-석류석 및 석류석 스카른, ${\approx}450-370^{\circ}C$) 에서 시작되어 후기 $300^{\circ}C$ (석류석-녹염석 및 녹염석 스카른, ${\approx}370-300^{\circ}C$) 에 걸쳐 진행되었다.

다결정 $Fe_{1+X}Eu_{1-X}O_{3}$의 결정구조 연구 (The Crystallograpic Study of Polycrystalline $Fe_{1+X}Eu_{1-X}O_{3}$)

  • 김정기;서정철;한은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1-107
    • /
    • 1993
  • 다결정 $Fe_{1+X}Eu_{1-X}O_{3}$(x=-0.06, 0.0, 0.1, 0.2, 0.3과 0.4)의 결정구조를 X-선 회절과 $M\"{o}ssbauer$ 분광학 방법에 의해서 연구하였다. X-선 회절선과 $M\"{o}ssbauer$ 분광 스펙트럼 분석 결과 $-0.06{\leq}x{\leq}0.0\;과\;0.2{\leq}x{\leq}0.3$ 영역의 시료에서는 각각 orthoferrite와 garnet 단일 결정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0.0의 영역의 시료에서는 각각 garnet-orthoferrite와 garnet-trigonal의 두 결정상만이 우세하게 나타나는데, 이때 x가 증가함에 따라 orthoferrite 결정상에서 garnet 결정상을 거쳐서 trigonal 결정상으로 변환하는 경향을 보인다. $M\"{o}ssbauer$ 분광학 분석은 garnet 구조의 d-site에 vacancy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이는 X-선 회절선의 강도 변화와도 연관 지울수 있다.

  • PDF

Thermodynamic Evaluation of Fe Effect on Alumina Solubility in Orthopyroxene coexisting with Garnet

  • Lee, Han-Yea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7
    • /
    • 2004
  • In the FMAS system the effect of iron on alumina solubility in orthopyroxene has been determined by experiments with crystalline starting mixtures of garnet and orthopyroxene of known initial compositions at 20 kb, 975$^{\circ}C$ and 25 kb, 1,200$^{\circ}C$. These data have been modeled to develop a thermodynamic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Al$_{2}$O$_{3}$ in orthopyroxene as a function of P, T and composition.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alumina solubility data in the MAS system to natural assemblages could lead to significant overestimation of pressure, probably by about 5kb for the relatively common garnet-lherzolites with abot 25 mol per cent Ca + Fe$^{2+}$ in garnet and about 1 wt. per cent Al$_{2}$O$_{3}$ in orthopyroxene since the effect of Fe is similar to that of Ca and Cr$^{3+}$in reducing the alumina solubility in orthopyroxene in equilibrum with garnet relative to that in the MAS system.

Microfabrics of omphacite and garnet in eclogite from the Lanterman Range, northern Victoria Land, Antarctica

  • Kim, Daeyeong;Kim, Taehwan;Lee, Jeongmin;Kim, Yoonsup;Kim, Hyeoncheol;Lee, Jong Ik
    • Geosciences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939-953
    • /
    • 2018
  • We examined the microfabrics of omphacite and garnet in foliated eclogit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layered structure on seismic observations in subduction zone. The analyzed eclogite, from the Lanterman Range, northern Victoria Land, Antarctica, is characterized by layering in which the modal abundances of garnet and omphacite vary. For garnet, the low aspect ratios, similar angular distribution of long axes relative to the foliation in both layers, uniform grain size distribution, near-random crystallographic preferred orientations (CPOs), and misorientation angle distributions are indicative of passive behavior during deformation. In contrast, omphacite shows relatively high aspect ratios, a low angle between the long axes of crystals and the foliation, a wide grain-size distribution, and distinctive CPOs, suggesting dislocation creep as the main deformation mechanism. The results of fabric analyses are consistent with strain localization into omphacite or omphacite-rich layers rather than garnet or garnet-rich layers. The single-crystal seismic anisotropy of garnet is very weak ($AV_P=0.2%$, $AV_S=0.5-0.6%$), whereas that of omphacite is much stronger ($AV_P=3.7-5.9%$ and $AV_S=2.9-3.8%$). Seismic anisotropy of the omphacite-rich layers shows an increase of 329% for $AV_P$ and 146% for $AV_S$ relative to the garnet-rich layers. Our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he layered structure in strain localization and in the development of the seismic anisotropies of subducting oceanic crust.

전북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stry of the Gneisses in the Jangsu Area, Jeonbuk, Korea)

  • 손정모;신인현;안건상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58-71
    • /
    • 2011
  • The precambrian gneis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Jangs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s and metamorphic P-T conditions of the gneiss. We have analyzed garnet, biotite and plagioclase among the gneiss through the EPMA analysis, and calculated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ly. The metamorphic temperature was estimated by the average of values from the garnet and biotite formulas, and the metamorphic pressure by value of the Hoisch(1990) geopressured on garnet-biotite-plagioclase. The mineral sample we examined shows garnet-biotite-plagioclase-quartz composite and garnet-plagioclase-orthoclase-quartz composite. Garnet shows almandine-pyrope solid solution in general, while porphyroblastic gneiss shows almandine-grossluar solid solution. The fact that the abundances, observed by garnet profil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the central region and the outer egion indicates that the crystal was developed uniformly. There is almost negligible variance in biotite on metamorphic grade, and andesine is observed in plagioclase.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EPMA analysis and its indications are as follows: the middle-temperature, high-pressure metamorphism ($500-650^{\circ}C$, 6.9-10 kbar) ensued in the beginning, and then was followed by the high-temperature, middle-pressure($600-740^{\circ}C$, 2.7-5.9 kbar) to ($500-540^{\circ}C$, 3.1 kbar) retrograde metamorphism.

(CoFe2O4)1-X(Y3Fe5O12)X 분말의 구조적 특성과 자기적 특성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CoFe2O4)1-X(Y3Fe5O12)X)

  • 이재광;채광표;장준식;이성호;이영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03
  • 조성비에 따른 (CoFe$_2$O$_4$)$_{1-x}$(Y$_3$Fe$_{5}$O$_{12}$)$_{x}$계의 분말을 산화물 합성법에 의하여 제작하였다. 120$0^{\circ}C$의 열처리로 합성된 분말을 X-선 회절기(XRD)로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시료의 XRD 모형이 garnet과 Co 페라이트로 발생하는 peak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로 구조가 다른 두 개의 철산화물이 하나의 큰 입자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개의 페라이트를 정확히 구분할 수는 없었으나, 구조가 다른 두 개의 페라이트가 하나의 입자로 잘 결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ssbauer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garnet과 Co 페라이트에 의한 specturm의 면적비가 대부분의 흡수 spectrum을 이루고 있으나, 혼합물에 garnet과 Co 페라이트의 양이 충분한 경우에는 garnet에 있는 Fe 이온이 Co 페라이트의 다른 이온들과의 상호작용으로 d-site에 위치하는 흡수 spectrum이 두 개의 sub-spectrum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XRD나 SEM의 관측결과와 같이 두 개의 시료가 하나의 입자로 잘 결합하였음을 의미하여, garnet의 철 이온이 Co페라이트의 이온과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것이다. 섭동시료자화기(VSM)를 이용하여 측정한 조성비에 따른 시료의 포화자화 측정결과와 이론적으로 계산한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Sol-Gel 법에 의한 $Y_{3-x}La_xFe_5O_{12}(0.0{\le}X{\le}1.0)$ 분말과 박막의 합성 및 자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Growth and Magnetic Properties of $Y_{3-x}La_xFe_5O_{12}(0.0{\le}X{\le}1.0)$ Powders and Thin Films by a Sol-Gel Method)

  • 엄영랑;김철성;임연수;이재광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50-356
    • /
    • 1998
  • Sol-gel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자성 garnet Y3-xLaxFe5O12(x=0.0, 0.25, 0.5, 0.75, 1.0) 분말과 박막의 결정 및 자기적 성질에 관하여 X-선 회절기, atomic force microscopy(AF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진동시료자화기 (VSM)와 Mossbauer 부노강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엿다. X-선 회절분석 결과와 Mossbauerqnsrhkd 실험으로부터 100$0^{\circ}C$에서 열처리한 x=0.75 이하의 Y3-xLaxFe5O12 분말의 경우 모두 순수한 cubic의 garnet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x=1.0인 경우는 LaFeO3상이 함께 관측되었다. Garnet 박막의 성장을 위하여 75$0^{\circ}C$에서 2시간의 열처리로 결정화를 이루었으며, 성장한 박막은 특정한 방향성 없이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ossbauer 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산화물을 통하여 제조한 garnet 분말의 Mossbauer spectrumthk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 현미경의 측정을 통한 분말의 입자크기는 200~300nm이며, AFM의 측정으로부터 박막의 평균 표면 거칠기가 3.17nm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동시료자화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garnet 분말과 박막의 자기적 특성은 전형적인 연자성의 자기적 속성을 가지며, garnet 분말의 경우 최대 포화자화 (30 emu/g)와 최소 보자력 (52 Oe)을 가짐을 알 수 있엇다. 80$0^{\circ}C$에서 열처리한 순수한 garnet 박막시료의 경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측정한 자화곡선은 수직방향으로 측정한 자화곡선이 낮은 포화자화를 가지며 보자력은 양방향 모두 37 Oe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