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p-strea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9초

도시하천(갑천) 유역에서 수질오염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zation of Water Pollution in the Urban Stream Watershed (Gap Stream), Korea)

  • 이흥수;허진;정선아;황순진;신재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43-951
    • /
    • 2006
  •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pollution in the Gap Stream was investiga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Sampl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including effluents discharg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and a dam reservoir during the low-flow period. As a typical urban stream, total nitrogen an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s increased toward downstream. Ammonia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treated water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the lowest nitrate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effluent of the dam reservoir. A part of soluble reactive phosphorous (SRP) in total phosphorous was 22~54% in the upstream reach of WWTP in the Gap Stream whereas 68~73% in the downstream reach. Mean chlorophyll-a concentration ranged from 1.6 to $11.0{\mu}g/L$ and it tends to increase toward downstream except for WWTP effluent. As expected, untreated wastewater and WWTP effluent were suggested as the major sources of water pollution in the Gap Stream. In this study, the water pollution of the Gap Stream is a significant undergoing typical eutrophication, caused by excessive phosphorus and nitrogen nutrients from WWTP located in the watershed. As a result, the critical factor for the water pollution was evaluated to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nutrients. Particularly, SRP is a most important for the eutrophication. It suggest that may occur in the most urban streams of Korean peninsula. Therefore, because the necessity of water pollution management in the urban stream, inorganic N and P nutrients should be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water quality criteria in the advanced water quality project of Korean Government by enforcing of water quality assessment and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갑천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 이준우;이도한;백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41-58
    • /
    • 2003
  • 본 연구는 갑천에 서식 분포하는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4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여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1년간 선조사법 및 정점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하천구간인 가수원교-만년교구간에 서는 11목 29과 67종이 관찰되었고, 인공하천구간인 만년교-대덕교구간에서 6목 10과 30종, 대덕교-원촌교구간에서 8목 12과 28종, 원촌교-갑천교구간에서 8목 18과 40종으로 인공하천 전 구간에서 9목 19과 47종이 관찰되었다.자연하천구간은 산림, 경작지, 수변림, 모래톱, 자갈밭, 갈대숲 등의 서식지환경이 다양하고, 인간의 이용과 간섭이 가해지지 않은 결과 다양한 종들이 관찰되었으며, 인공하천구간은 호안블록과 잔디밭 등으로 수생태계와 육지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으며, 서식지환경도 단순하여 관찰 종 수가 낮게 나타났다. 갑천에 다양한 야생조류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자연형 하천과 같이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어우러진 서식지 즉 생태계를 고려한 다양한 서식지환경의 조성이 요구되며, 단편화된 서식지들을 연결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tream corridor를 고려한 하천의 정비 및 조성이 요구된다.

  • PDF

FRAGSTATS 모델을 이용한 갑천 유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경관 구조 분석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on the Impervious Cover of the Gap-Stream Watershed using FRAGSTATS)

  • 최진영;강문성;배승종;김학관;정세웅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4호
    • /
    • pp.53-61
    • /
    • 2010
  • An impervious cover in the watershed management has been used as effective indicators. It is a very useful barometer to measure the impacts of watershed development on aquatic systems. Hence,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impervious cover of a watershed and to develop an impervious cover model (ICM) for support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s of the impervious cover, to calculate landscape indices using FRAGSTATS, and to develop an ICM in the Gap-stream watershed and its six sub-watershe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ervious cover of the Gap-stream watershed increased from 4.9 % in 1975 to more than 11.2 % in 2000, the number of impervious cover fragments increased from 662 to 3,578,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increased from 27.0796 to 91.1982. Fragmentation was severe within the Yudeungcheon downstream and the Gapcheon downstream of six sub-watersheds. This paper presented the results derived landscape indices to define landscape patterns and structure for the Gap-stream watershed. Our results indicate that altered land use might be influenced changes in landscape structure.

갑천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the Gap Stream Water System, Korea)

  • 이충렬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92-301
    • /
    • 2001
  • 갑천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군집에 대한 t조사는 200년 3월부터 12월까지 3개 하천의 17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갑천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는 모두 8과 29속 36종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에서 잉어과가 25종으로 전체 어종의 69.4%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로 4종(11.1%)이고, 동자개과는 2종이었고, 메기과, 꺽지과, 동사리과, 망둥어과, 가물치과 등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갑천 수계에서 확인된 어류중에서 가장 많은 출현율을 나타내고 종은 Z.platypus로써 전체의 52.0%의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C. auratus로 9,2%였다. 한편 갑천수계를 이루는 각 하천별로 나타나고 있는 어류의 종 조성관계를 보면 대전천은 총 7종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에서 Z.platypus의 출현비도가 전체의 87.0%로 대부분 차지하였다. 유등천에서 26종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에서 여기에서도 Z.platypus가 4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 auratus가 12.0%였다. 한편 갑천에서는 모두 35종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Z.platypus의 출현비도가 47.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역시 C. auratus가 9.2%였다. 갑천 수계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류 군집 구조를 보면 평균 우점도 지수에서 대전천은 0.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등천과 갑천에서는 0.20${\sim}$0.25였고, 평균 다양도 지수는 유등천과 갑천에서는 0.65${\sim}$0.83으로 높은 반면, 대전천에서는 0.25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평균 균등도 지수에서 유등천과 갑천에서는 0.77${\sim}$0.83이나, 대전천에서는 0.28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하천별 유사도에서는 유등천과 갑천이 대전천의 어류상보다는 더욱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유등천과 갑천의 하류역 어류군집의 유사도는 0.83으로 높게 나타낫다. 갑천수계에서 출현한 어류 중에서 우리나라의 전체 특산어종의 24.5%에 해당되었고, 본 수계에서 출현하는 전체 어종의 33.3%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본 수계에서 희귀하게 출현하는 어종으로는 R. ocellatus, S. chanka두냔 tsuchigae, S. nigripinni morii, M. jeoni, C. splendidus, P. koreanus, C. lutheri, I. koreensis, C. herzi, R. brunneus 등으로 본 종들의 서식 상태는 하천의 오염 정도 및 하천개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어류서식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하천 수질관리의 대책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천습지의 식생학적 자연도 평가 (Assessment of Degree of Naturalness of Vegetation on the Riverine Wetland)

  • 전승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vegetation restoration at riverine wetland within stream corridor. We used the prevalence index for wetland assessment by applying the method of weighted averages with index values based on five hydrophyte indicator status as defined by estimated probability occurred in wetland. We selected near nature and urbanized reach of Gap and Yanghwa streams as experimental site. Although two sites have some different disturbance and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they showed that similarity of vegetation community including three dominant species - Salix koreensis,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 was very high. But in case of Yanghwa stream, various kinds of emergent plants along wetted condition were distinctly occurred, resulted from difference of hydrological regime and substrate, etc. Degree of naturalness of vegetation at the sampled areas indicated that near nature area of Gap stream and all area of Yanghwa stream were fitted as riverine wetland, while urbanized area of Gap stream has changed into upland condition. In conclusion assessment system using prevalence index w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for evaluating of natural states of riverine wetland, but further integrated consideration of physical, hydrological, and biological factors of stream process, and also with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qualitative data of vegetation community.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실시간 공간 상황 분석을 위한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시스템 (A Spatial Data Stream Processing System for Spatial Context Analysis in Real-time)

  • 권오제;김재훈;이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69-76
    • /
    • 2010
  •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 스트림들 중에 특히 이동 객체에 대한 공간 정보를 담은 데이터 스트림은 상황 인지의 여러 응용 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공간 스트림을 처리하는 것과 공간 상황 인지를 위한 복잡한 연산 처리 사이에는 중요한 기능적인 격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공간 스트림 처리와 상황 인지를 통합하는데 매우 큰 어려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스트림 처리와 공간 상황 인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능적인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시스템인 SCONSTREAM(Spatial CONtext STREAm Management)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불필요한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전처리하고 상황 인지에 용이한 형태로 가공한다.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공간 스트림 처리와 공간 상황 인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능적인 격차를 해소할 수 있음을 보인다.

갑천유역의 영양염류 유달부하량 산정을 위한 SWAT2000 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SWAT2000 Model Application for Estimating Delivered Nutrients Load for the Gap Stream Watershed)

  • 문종필;김태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6호
    • /
    • pp.89-100
    • /
    • 2006
  • In order to estimate delivered nutrients load from non-point sources in the Gap stream watershed in Daejeon, a distributed watershed model SWAT2000 was used so that it could predict the impact of land management practices on water, sediments and chemicals yields in large complex watersheds with varing soils, land uses and management condition over long period of time. The SWAT2000 was applied to the Daejeon (Indong), Yudeung (Boksu) and Gap (Hoeduck) streams for TMDL (Total Maximum Daily Load) of nutrients. The observed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data of the year of 2002 and 2003 were used for calibration, and those of the year 2004 and 2005 were used for validation. Simulated results were evaluated by Estimation Efficiency Analysis (COE), Regression Analysis $(R^2)$ and Relative Error (R.E.) for the nutrients amounts on the monthly and yearly basis by comparing observed load with estimated load obtained by using SWAT2000 simulations. The COE value fur T-N was ranged from 0.59 to 0.78, $R^2$ values for T-N ranged from 0.65 to 0.84, and R.E values fur T-N load ranged from 4% to 20%. COE value far T-N was ranged from 0.59 to 0.73, $R^2$ values for T-P ranged from 0.67 to 0.82, and R.E values for T-P load ranged from 3% to 25%. Estimated results of SWAT2000 simulation for 3 sites (Indong, Boksu, Hoedeok) were reasonably satisfactory. This study indicated that SWAT2000 model could be applicable to estimate the nutrients load from the Gap stream watershed in Korea.

대전 3대 하천의 조류군집과 유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rd Communities and Similarity of Three Stream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김인규;이한수;백운기;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7-156
    • /
    • 2010
  • 대전의 3대 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에 대하여 2002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와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3년간 조류분포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3목 34과 126종 12,027개체(최대합계수)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집비둘기, 참새, 쇠백로 등의 순서였다. 관찰된 조류는 크게 6개 분류군이었으며,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교목성 산림조류로 54종이었고, 가장 적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잠수성 오리류로 7종이었다. 또한 개체수는 관목성 산림조류가 721개체로 가장 적었으며, 수면성 오리류가 4,974개체로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조류분포를 보면 갑천은 총 13목 34과 114종 14,885개체(최대합계수), 유등천은 총 12목 30과 90종 6,642개체(최대합계수), 대전천은 총 11목 28과 69종 4,202개체(최대합계수)가 관찰되었다. 각 하천별로 조사된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 종풍부도, 단위면적당 밀도 등의 조류군집분석 지수에 의한 하천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갑천과 유등천 그리고 유등천과 대전천은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하천이며, 갑천과 대전천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하천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각 하천 구간별 상위 10위 우점종을 대상으로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각 하천의 상류는 산림성조류, 중류는 해오라기류와 수면성 오리류, 하류는 수면성 오리류와 일부 잠수성 오리류가 서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전 3대 하천에서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남아있는 갑천과 유등천이 도심지역인 대전천에 비하여 다양한 조류가 서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하천의 상류와 하류가 조류의 서식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 후 도시하천의 정비나 활용에 있어 자연성이 유지되는 구간에 대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하였다.

유량변화와 지류유입에 따른 금강의 수질 변화 (Influence of River Discharge Fluctuation and Tributary Mixing on Water Quality of Geum River, Korea)

  • 심무준;이수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3-318
    • /
    • 2015
  • To study the influence of changes in river discharge on water quality of the main stem of the Geum River, we investigated variation of inflow load from tributaries with river discharge. We also studied the mixing behavior of pollutants during mixing of waters of the main stem and Gap Stream. For this study, we collected water quality data such as suspended solids (S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representing pre-monsoon, monsoon, and post-monsoon events of 2013 from a website of Wa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flow load, the Gap and Miho streams may be ones of tributaries which may largely influence water quality of main stem in upper river region. The Suksung and Nonsan Streams seemed to further affect water quality downstream. Results of modified EMMA indicated SS and TP may have another source(besides Gap Stream) at pre-monsoon,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 In contrast, TN and organic matter (BOD, COD, TOC) were conservative at pre-monsoon and post-monsoon. However, when river discharge increased, these pollutants may also came from unspecified non-point sources. Therefore, we need to attempt to find non-point sources for the pollutants in the main channel of upper Geum River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