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ru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담수산 Gammarus속 (Crustacea, Amphipoda, Gammaridae)의 1신종 (One New Species of Freshwater Gammarus(Crustacea, Amphipoda, Gammaridae)from South Korea)

  • 이경숙;서인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93-100
    • /
    • 1992
  • Kim과 Lee(1977) 그리고 Lee and Kim(1980)이 Gammarus sobaegensis의 변이종으로 취급했던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채집된 type 4를 재검토한 결과 독립된 종으로 확인되어 Gammarus longisaeta라고 명명하고 기재한다. 이로써 한구 담수산 Gammarus는 9종이 된다.

  • PDF

한국 담수산 Gammarus (Crustacea, Amphipoda , Gammaridae)의 2 신종 (Two New Species of Freshwater Gammarus (Crustacea, Amphipoda, Gammaridae) from South Korea)

  • 이경숙;서인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2호
    • /
    • pp.219-230
    • /
    • 1990
  • Kim과 Lee(1977) 그리고 Lee and Kim(1980)이 Gammarus sobaegensis의 변이종으로 취급했던 우이동에서 채집된 type2, 제주도에서 채집된 type7 그리고 경기도 왕방산에서 채집된 type3을 재검토한 결과 각각 독립된 종으로 확인되어 각각 G.kyonggiensis와 G. wangbangensis로 명명한다. 이로써 한국 담수산 Gammarus는 총 8종이 된다.

  • PDF

Systematics Study of Amphipoda (Crustaces) in Korea: VI. Gammarus hoonsooi, a New Species of Freshwater Gammarid (Gammaridae) from the South Korea

  • Lee, Kyung-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5-170
    • /
    • 1986
  • 경상북도 안동군 雲山에서 채집된 淡水산産 Gammarus屬의 1新種이 확인되어 Gammarus hoonsooi라고 명명하여 기재한다. 본 種은 제3꼬리다리의 內肢와 外肢의 비율이 1/2보다 작아서, 남한에 서식하는 다른 종들과 구분되며, 이 비율이 비슷한 G. birsteini Karaman & Pinkster 1977과는 제2촉각의 자루마디에 털이난 모양과 제 3가슴다리의 넷째마디의 앞가장자리에 4-6뭉치의 긴 털이 나 있는 점이 뚜렷이 다르다.

  • PDF

보통옆새우 (Gammarus sobaegensis : 옆새우과, 단각목)의 서로 다른 배양액 및 온도에 대한 생존율 (Survivorships of Gammarus sobaegensis (Amphipoda: Gammaridae) in Different Medium and Temperature Conditions)

  • 황정미;이성진;조기종;김용균;배연재
    • 생태와환경
    • /
    • 제39권3호통권117호
    • /
    • pp.413-417
    • /
    • 2006
  • 한국의 산간계류에 흔히 서식하는 단각류인 보통옆새우의 실내 사육에 필수적 환경요인인 배양액과 온도조건에 대한 실험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보통옆새우는 2003년 12월 경기도 가평천의 옆에 위치한 한 작은 샘의 유출부로부터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보통옆새우의 생존율은 사육 배양액 (증류수, 수돗물, 깔따구 배양액 및 하천수)과 사육 온도(10, 15, 20, $25^{\circ}C$)에 대한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보통옆새우는 수돗물, 하천수, 깔따구 배양액, 증류수의 순으로 그리고 10, 15, 20, $25^{\circ}C$의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한국 남동지역 상류 하천에서의 낙엽 분해기작과 shredder 분포 유형 (Leaf Litter Processing and Patterns of Shredder Distribution in Headwater Steams in Southeastern Korea)

  • Kim Hyun-woo;Gea-Jae Joo;Jong-hoon Cho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6호
    • /
    • pp.529-541
    • /
    • 1996
  •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92 (winter-spring) and from February 1995 (winter-spring), the leaf processing rates of oak (Quercus serrata) and tulip (Liriodendron tulipifera) tree was investigated in the headwater streams 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invertebrate fauna. Using two types of bags ($10\times30cm$ with 5 g of dry leaves; open bag with holes, closed bag without holes), decomposition rates of oak and tulip tree by shredder and/or microbiota at a reatively undisturbed 2nd-order stream were compared, Regardless of leaf type, leaves in the open bage decomposed slightly faster than those in the closed bags. In the 1992 experiment, osk leaves decomposed much slower than tulip leaves (after 138 degree days, osk : closed, 0.006% loss/day ; open, 0.008 ; tulip: closed, 0.021 ; open, 0.023; n=2). The of the first experiment using oak leaves in 1995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xperiment (after 151 degree days, oak: closed, 0.005% loss / day; open, 0.006; n=6). Over 50% of invertebrates from 122 leaf pack samples collected from 12 streams during the winter period of 1994 were identified as shredders (shredder, 56.2; collector, 32.7; scraper, 8.65; predator, 2.45%). Among shredders, Gammarus sp. and Tipula sp. wer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number and biomass (8.2 ind./g, 1.0 ind./g AFDW of leaves). Among many physico-chemical parameters, the width of stream channel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distribution of Gammarus and Tipula (Gammarus: r=-0.34, P<0.001;Tipula:r=0.40, P<0.001). Considering the fact that oak is one the dominant riparian vegetation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the patterns of oak processing and shredder distribution shown in theis study may well represent som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headwater steams in southeastern Korea.

  • PDF

Finding of a new freshwater gammarid (Gammarus gageoensis) from South Korea

  • Kim, Min-Seop;Lee, Kyung-Sook;Min, Gi-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59-71
    • /
    • 2010
  • Gammarus gageoensis n. sp., a new species of freshwater gammarid, was collected from Gageodo Island, South Korea. This new species is characterized in terms of its morphology by the flagellum of antenna 2 with calceoli, the pereopods 3 and 4 with numerous long curled setae on the posterior margins, the terminal article of the outer ramus in uropod 3, which is longer than the adjacent spines, and the presence of both rami with long simple seta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new species that are different to related species are presented in the text.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new species to related species by the partial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gene. The sequence difference, consisting of a 39-44% difference relative to closely related species, is also large enough to designate this gammarid as a different species from other freshwater gammarid species. This is the first finding of a new species of Korean freshwater gammarid since 1992. Including this new species, a total of 10 species are known to Korea.

소하천의 신갈나무와 까치박달 낙엽의 분쇄 (Leaf Litter Breakdown of Quercus mongolica and Calpinus cordata In a Headwater Stream)

  • 정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0
    • /
    • 2001
  • 강원도 인제군에 있는 점봉산의 한 소하천에서 신갈나무 낙엽이 분쇄되는 양상을 까치 박달과 비교하여 보았다. 신갈나무 낙엽의 하루당 분쇄율(-k . day$^{-1}$)은 0.00503으로서 까치박달 낙엽의 약 113이었다. 낙엽주머니에서는 총 45 분류군에 속한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는데 까치 박달에서 39 분류군이, 신갈나무 낙엽 주머니에서 38분류군이 채집되었다. 강도래목에 속하는 Nemoura tau는 두 낙엽주머니에서 가장 흔한 분류군이었고 비포식성 Chironomidae는 두 번째로 흔한 분 류군이었다. 현존량은 Gammarus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하루살이에 속한 Cincticostella castanea가 높았다 곤충 분류군의 대부분에서 4~6월 사이에 현존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이 시기에 비 곤충류의 현존량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낙엽을 뜯어먹는 무리 중 낙엽분쇄에 가장 중요한 분류군은 Gammarus로서 이들은 까치박달낙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moura tau 는 가장 흔한 분류군 이었으나 이들이 1차하천에서 일어나는 낙엽분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뜯어먹는 무리에 속한 다른 분류군은 이 둘에 비하여 개체수와 현존량이 매우 낮으므로 1차하천의 낙엽분쇄는 Gammarus의 섭식생태에 의하여 크게 결정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H 저하가 소백옆새우(Gammarus sobaegensis Ueno)에 미치는 급, 만성 생태독성학적 특성 -1. 정체성 조건-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rus sobaegensis Ueno by Acute and Chronic pH Depression on Artificial Static Waters)

  • 박정호;조동현;정근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377-385
    • /
    • 2000
  • 인위적인 산성스트레스가 담수산 소백옆새우(Gammarus sobaegensis Ueno)에 미치는 영향을 정체성 수조건 하에서 급, 만성 생태독성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급성독성 실험 시 pH 3 대역에서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평균 0.271($\pm$0.146)day로 개체의 크기 또는 먹이의 유무 그리고 주변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pH4.0대역에서의 $LT_{50}$은 0.812($\pm$0.377) day로 연장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만성 독성실험의 경우 본 종의 반수치사시간은 pH 3.0일 때 약 6-7 day로 평균 6.313 ($\pm$0.828) day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5.0일 때는 평균 9.475($\pm$4.881)day의 오랜 적응 기간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먹이의 공급유무에 따라 변동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주변 환경에 적응이 잘 된 개체일수록 오랜 기간동안 생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급, 만성 pH스트레스가 가해진 소백옆새우(G. sobaegensis)의 제 2아가미 표면조직에서 심한 주름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결국 산성스트레스는 소백옆새우(G. sobaegensis)에 있어서 급성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영향에서도 최종적으로는 매우 치명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LC-HRMS를 이용한 Daphnia magna 및 Gammarus pulex 생체내 의약품 대사체 정성분석 (Qualitative Analysis for Metabolites of Pharmaceuticals Formed in Daphnia magna and Gammarus pulex Using Liquid Chromatogram-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LC-HRMS))

  • 전준호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 /
    • 제21권4호
    • /
    • pp.243-251
    • /
    • 2018
  • Pharmaceuticals in wastewater effluents have been recognized as emerging pollutants threatening freshwater organisms. To extend understanding for bioaccumulation and toxicity in those organisms, information on biotransformation products (or metabolites) and their metabolic pathway are crucial.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and elucidate metabolites of pharmaceuticals formed in exposed organisms using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approach using LC-HRMS. As the target pharmaceuticals, carbamazepine, ketoprofen, metoprolol, propranolol, and verapamil were selected whereas Daphnia magna and Gammarus pulex were used as test organisms. After 24h exposure, metabolites formed in the organisms were identified using LC-HRMS. The structures of metabolites were elucidated via analysis of MS/MS fragment pattern and the comparison with fragment database. As the results, a total of 10 metabolites were identified for 5 parent compounds (C253/C356 for carbamazepine, K211 for ketoprofen, M256 for metoprolol, P218/P276/P306 for propranolol, V196/V291/V441 for verapamil). Among them, the presence of C253 and V291 was confirmed using standard materials. Most of the identified metabolites were formed through oxidative reactions such as hydroxylation, N-demethylation, and dealkylation. Cysteine conjugation (phase II reaction) metabolite (C356) for carbamazepine was found in daphnia. The metabolic pathway of verapamil showed similar metabolic pathways and metabolic pathways for both species. Although the toxicological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metabolites could not be confirmed, the molecular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roposed metabolites can be used for future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toxicity.

인공수로에서 산성화 영향에 따른 소백옆새우(Gammarus sobaegensis)의 생태독성학적 연구 - 표류행동을 중심으로 - (Ecotoxicological Study of Gammarus sobaegensis by pH Depression in Artificial Channels - Drift behavior -)

  • 박정호;조동현;정근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153-16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단각목의 일종인 소백옆새우(G. sobuegensis)를 대상으로 인공수로 하에서 pH 변화를 유도시킬 때 발생되는 개체의 표류행동에 대한 이동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종은 낮은 pH수준의 산성스트레스에서 회피행동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산성도에 따른 내성범위는 개체의 성숙도 즉 중소형보다 대형개체가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성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이 대형개체에 비해 소형과 중형개체에 있어서 매우 불규칙적으로 나타난 것은, 각종 수환경 변화에 대한 회피능력과도 같은 운동성의 차이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인공 수로내의 소백옆새우 대부분 개체들은 전 시기에 걸쳐, pH4.5 이하의 낮은 수준에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한 후, 즉시 하류역 방향으로 수류의 움직임을 따라 능동적으로 회피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3.0 이하의 강한 산성 스트레스 하에서는 오히려 회피능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ANOVA분석결과, pH(F=353.415, p<0.0005)이외의 몇몇 환경 요인들 중 수온(F=66.596, p<0.0005)과 각 개체의 크기(F=71.386, p<0.0005)등도 낮은 산도에 의한 소백옆새우의 회피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