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spectrometry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9초

Compositional Characterization and Colorant Identific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 Kim, Seol-Hee;Lee, Byung-Hoo;Kim, Jong-Chul;Choi, Sung-Seen;Kim, Gwe-Won;Joo, Mi-Hyun;Yoo, Sa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87-793
    • /
    • 2008
  • A major poly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omija (Schisandra chinensis) fruit was structurally identified, and its composition of major nutrients was investigated as well in this study. A dominat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peak of water-extracted anthocyanin represented 94.1% of total absorbable compounds at 520 nm, which was further identified with HPLC-mass spectrometry (MS). As a result, mass-to-charge ratio (m/z) of the predominant anthocyanin was determined to be 727, and it was identical to molecular mass of cyanidin-3-xylosylrutinoside (Cya-3-O-xylrut).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olorant of omija is predominantly composed of Cya-3-O-xylrut. Omija fruit contained exclusively 3 types of monosaccharide such as glucosc (0.68 g), galactose (0.01 g), and fructose (0.52 g) per 100 g of fruits. Several organic acids, citric (3.29 g), malic (1.4 g), acetic (0.4 g), and succinic acids (0.36 g) per 100 g of fruits, were detected by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HPAEC) analysis. During the compositional analysis of tree amino acid by HPLC, it was noticed that omija fruit contained substantial amount (0.01 g/100 g of fruits) of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고강도 구조용 철강소재의 대입열 용접 시 열영향부의 조직 미세화 및 기계적 특성 향상에 미치는 TiN 및 B의 효과 (Effects of TiN and B on Grain Refinement of HAZ Microstructure and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ructural Steel Under High Heat Input Welding)

  • 박진성;황중기;조재영;한일욱;이만재;김성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7-105
    • /
    • 2019
  • In the current steel structures of high-rise buildings, high heat input welding techniques are us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nder the high heat input welding, however, the microstructures of the weld metal (WM) and heat-affected zone (HAZ) coarsen,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impact toughness.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the effects of fine TiN precipitates dispersed in steel plates and B addition in welding materials on grain refinement of the HAZ microstructure under submerged arc welding (SAW) with a high heat input of 200 kJ/cm. The study reveals that, different from that in conventional steel, the ${\gamma}$ grain coarsening is notably retarded in the coarse grain HAZ (CGHAZ) of a newly developed steel with TiN precipitates below 70 nm in size even under the high heat input welding, and the refinement of HAZ microstructure is confirmed to have improved impact toughness. Furthermore,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and secondary-ion mass spectrometry (SIMS) analyses demonstrate that B is was identified at the interface of TiN in CGHAZ. It is likely that B atoms in the WM are diffused to CGHAZ and are segregated at the outer part of undissolved TiN, which contributes partly to a further grain refinement, and consequent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re achieved.

호두(Juglans nigra)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from γ-ray irradiated walnut (Juglans nigra))

  • 노은영;최지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9-865
    • /
    • 2014
  • 본 연구는 호두를 대상으로 감마선을 1-10 kGy 선량으로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통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지방은 soxhlet방법으로 n-hexa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고 florisil이 충진된 column으로 분리하여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GC/MS)로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호두에서 검출된 주요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8,11-Heptadecadiene, 1,7,10-Hexadecatriene이었고, 검출된 주요 2-alkylcyclobutanone류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에서 유도된 2-(5',8'-tetradecadienyl)cyclobutanone(5',8'-TCB), 2-(5'-tetradecenyl) cyclobutanone(TECB)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호두에서 생성된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생성량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1 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만 나타났으며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oleic acid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 8,11-Heptadecadiene 및 1,7,10-Hexadecatriene, 2-alkylcyclobutanone류 중 5',8'-TCB 및 TECB는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을 위한 marker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pearmint Oil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Adults)

  • 최유미;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3-328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의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훈증독성 및 접촉독성을 조사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 (GC)와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spea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훈증독성 시험 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99.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91.7\%$$41.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에서도 각각 100, $61.3\%$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spearmint oil의 접촉독성은 살충효과가 $30\%$ 이하로 낮았다. Spearmint oil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limonene ($16.1\%$), ${\gamma}$-terpinene($13.8\%$), ${\rho}$-cymene($5.8\%$), 3-octanol($6.9\%$), carvone($40.9\%$)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인 carvone 은 $10{\mu}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남한강수계 하천 퇴적물 시료 중 137Cs 분포 (The distribution of 137Cs activities in sediment samples of South-Han River basin)

  • 김지유;강태우;홍정기;안미정;장채원;김경현;한영운;강태구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93-299
    • /
    • 2016
  • 본 연구는 남한강 수계 하천 퇴적물 중 $^{137}Cs$의 방사능 농도 분포 실태를 조사하고, 국외 연구사례와 비교하여 국내 하천퇴적물 중 $^{137}Cs$의 농도수준을 평가하였다.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퇴적물 중 $^{137}Cs$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한 결과, 농도범위는 <$MDA{\sim}3.80{\pm}0.14Bq/kg{\cdot}dry$로 국내 토양 중 $^{137}Cs$ 농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국외 연구사례를 조사한 결과, 원전사고나 방사성물질 유출 등에 의한 오염원이 존재할 경우 $^{137}Cs$의 농도범위는 $3.7{\sim}15,396Bq/kg{\cdot}dry$로 국가별, 오염원 발생시기, 조사시점 등에 따라 다양한 농도 분포를 보였다. 또한, 오염원이 없는 국외 하천 호소 퇴적물 중 $^{137}Cs$의 농도는 대부분 $10Bq/kg{\cdot}dry$ 미만으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하천퇴적물 중 $^{137}Cs$의 배경농도를 제공하고, 하천의 $^{137}Cs$ 오염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항균활성 및 활성오일의 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Malassezia furfur)

  • 이정현;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5-321
    • /
    • 2010
  • 비듬균(Malassezia furfur) 는 두피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써 오늘날 이러한 균들을 치료하는 치료제는 거의 없다. 몇몇의 전의 연구에서 오일들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졌지만 그것들의 항비듬균 활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특히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저해 활성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오일 중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오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해 성분을 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108개 오일의 스크리닝 과정에서 17개 오일[Allium sativum L., Carum carvi L., Coriandrum sativum L., Myroxylon balsamum var. pereirae Royle, Nepeta cataria L., Origanum vulgare L., Mentha pulegium L., Satureja hortensis L., Thymus vulgaris L. Thymus vulgaris L., Cinnamomum zeylanicum Blume, Pimenta dioica(L.) Merr.,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bud),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leaf), Cymbopogon nardus L., Cymbopogon martinii Stapf., Citrus aurantifolia Swing. and Pimenta racemosa(Mill.) J.W.Moore] 이 2 mg/mL 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이크라코나졸(itraconazole)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17개 오일 중에서 Citrus auranifolia 오일이 가장 활성이 좋았으며, 처리농도 (1.5 mg/mL, 1.0 mg/mL, 0.5 mg/mL와 0.1 mg/mL) 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MS) 성분분석 결과 limonene, ${\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의 함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itrus auranifolia 오일은 곰팡이 유래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 박유화;김성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33-237
    • /
    • 2008
  •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인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지상부위로부터 정유를 얻고, 휘발성분을 headspace(HS)와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법으로 흡착시킨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털진달래 정유에는 탄화수소 15종, 알코올 3종, 아세테이트 1종 등 총 19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2-${\beta}$-pinene(16.1%), camphene(11.9%), ${\delta}$-3-carene(11.4%), d,l-limonene(9.5%), and ${\gamma}$-terpinene(9.5%)이었다. SPME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3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7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19.6%), 2-${\beta}$-pinene(18.0%), ${\delta}$-3-carene(17.4%), timethyl hydrazine(9.7%), ${\gamma}$-terpinene(8.5%), and d,l-limonene(5.5%)이었다. 그리고 HS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1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3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25.8%), ${\delta}$-3-carene(24.8%), 2-${\beta}$-pinene(20.2%), d,l-limonene(5.4%), tricyclene(5.1%), trimethyl hydrazine(4.6%)이었다. 털진달래 정유의 향취는 coniferous, balsamic, woody하였으며,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0.030 ${\mu}g/mg$이었다.

원자로 중성자에 의한 티탄, 지르코늄 및 니오브의 동시 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itanium, Zirconium and Niobium by Reactor Neutron Activation)

  • 이철;임영창;정구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0-46
    • /
    • 1974
  • 핵분열 중성자에 의한 $^{47}Ti(n,p)^{47}Sc$$^{93}Nb(n,{\alpha})^{90m}Y$의 반응과 열외 중성자에 의한 ^{96}Zr(n,{\gamma})^{97}Zr$반응을 사용하여 합성혼합시료중에 함유된 티탄, 니오브 및 지르코늄을 동시 정량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시료용액을 중성자로 조사하기 전에 Dowex $50{\times}8$의 양이온 교환수지통에 가한 다음 0.5M ${\alpha}$-히드록시 이소부티르산(${\alpha}$-HIBA)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티탄, 니오브 및 지르코늄을 함께 분리하였다. 중성자로 조사한 후에 생성된 핵종인 $^{97}Zr$, ^{47}Sc$^{90m}Y$을 같은 수지통을 통하여 0.5M ${\alpha}$-HIBA, 0.5M ${\alpha}$-HIBA-1N HNO3 및 0.5M ${\alpha}$-HIBA-2N HNO_3$용액으로 용출함으로서 각각 차례대로 분리하였다. 감마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용출된 핵종의 감마선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본 방법을 사용한 니오브, 티탄 및 지르코늄의 검출한계는 각각 0.2%, 0.01% 및 0.002%이었다.

  • PDF

일라이트 시용량에 따른 삼백초 잎의 유효성분 및 향기성분 함량 비교 (Bioactive Components and Volatile Compounds According to Illite Addition in Saururus chinensis Baill Cultivation)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선익;한승호;이석수;이민;유찬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8-195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llite addition on the growth, bioactive components and volatile compounds of leaf on Saururus chinensis Baill cultivation in greenhouse. Illite addition on Saururus chinensis Baill cultivation result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erial part. However, the root part was highest in 5% illite addition group. Crude oil and ash amount increased as illite additives was increased. Ca of inorganics and free sugars contents were highest in 5% and 20% illite addition, respectively. Hyperoside and isoquercetin of available component on leaf were highest in 5% illite addition group, 4.02mg/g and 4.31mg/g,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leaf cultured with illite addition amounts were isolat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fiber (polydimethysiloxane $65{\mu}m$) and identifed by gas chromatogtaphy mass spectrometry. As the results, the 22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in Saururus chinensis Baill leaf and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the ${\alpha}$-cadinol (18.50%), myristicin (16.46%), methyl-9-methyl-tetradecanoate (10.22%), and ${\gamma}$-muurolene (9.75%). Especially, the content of ${\alpha}$-cadinol was highest in 5% illite addition group and ${\gamma}$-muurolene on overall illite addition group was lower than no addition group.

γ-spectrometer를 이용한 토양시료의 라돈농도 측정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of Radon concentrations in soil samples using γ-spectrometer)

  • 강성아;이상수;최규락;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1-36
    • /
    • 2013
  • 우라늄($^{238}U$)의 붕괴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기체인 라돈($^{222}Rn$)은 발생원 중 토양에서 85 % 이상으로 토양의 공극률이 클수록 토양 밖으로 방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동위원소이다. 라돈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데 무엇보다도 정확한 측정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순도게르마늄(HPGe) 검출기를 이용한 감마선 분광분석법으로 라돈을 측정할 경우에는 불안정한 자연방사능의 백그라운드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라듐과 라돈의 딸 핵종들을 방사평형에 이르게 한 후 라돈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토양시료에서의 감마선 방출핵종 및 에너지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