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gok faul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울산단층북부 갈곡리 치실 지점의 마지막 단층 운동시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latest fault movement by trench survey at Galgok-Chisil site in the northern Ulsan fault system)

  • 최원학;장천중;정상대영;전중죽연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7
    • /
    • 2005
  • Along the Ulsan Fault System, many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ported and investigated with outcrop observation and trench excavation to clarify the neotectonic movements and fault parameters such as length, displacement, slip rate and recurrence interval. In the northern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we have interpreted small scale(1:10,000) aerial photographs and extracted lineaments by geomophological features to select trench site. After precise field survey and tracing for lineaments, two trench sites at Galgokri, Gyeongju were selected on the lineament to elucidate the fault movement history. One is successful in finding faults but the other is not. In the Galgok-Chisil trench(3m(w) x 1.5m(d) x 10m(l)), very closed two Quaternary faults cut the alluvial deposits of which age shows about 10-3ka. More than three times of fault movements can be inferred by geologic structures and C-14 dating. Repeatedly fault movements had been occurred before 10 ka, between 10ka-4.9 ka, between 4.9-1.4 ka at Galgok-Chisil trench section.

  • PDF

탄성파 굴절법을 이용한 경주시 천북목장 부근의 기반암 분포 연구 (A Seismic Refraction Study on the Basement near the Chonbuk Ranch in Gyeongju)

  • 이광자;김기영
    • 지구물리
    • /
    • 제3권4호
    • /
    • pp.215-226
    • /
    • 2000
  • 갈곡단층이 통과하는 경주시 천북목장 부근의 단구면상에서 기반암의 분포를 파악하고, 비교적 규모가 큰 파쇄대를 인지하기 위하여 굴절법 탐사를 실시하였다. 동서방향으로 길이 72m인 측선 1과 남북방향으로 각각 72m, 36m인 측선 2와 3의 굴절파 측선을 따라 5kg의 해머로 발생시킨 지진파를 3m 간격으로 배열된 8Hz 수직지오폰 12개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192ms 기록하였다. GRM 방법으로 해석한 결과, 속도와 두께는 각각 250m/s, 평균 2.1m이며, 표층의 하부에는 속도가 약 $1,030{\sim}1,400m/s$정도이고 두께가 4.6m인 제 4기 후기 자갈층이 존재한다. 이 층의 하부는 기반암으로서 속도 $2,100{\sim}2,200m/s$의 제 3기 흑색 이암이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측선 1과 측선 3의 일부구간은 굴절면의 깊이 차이가 수십 cm 이상으로 나타나 제4기 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지시한다. 단구의 상단에 해당하는 측선 1의 동쪽 구간과 측선 3에서는 기반암 굴절파가 기록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측선 1의 서쪽부분에 대규모 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