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actolipi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Chlorella ellipsoidea 엽록체막과 틸라코이드막의당지질 대사에 미치는 식품보존제의 효과 (The effect of Antiseptics on the Galactolipid Metabolism of Chlorella ellipsoidea Chloroplast and Thylakoid Envelope)

  • 최은아;장재선;이종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1-231
    • /
    • 1998
  • Chlorella ellipsoidea의 엽록체막 및 틸라코이드 막의 당지질 생합성과 그의 지방산 조성에 식품 보전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potassium sorbate(0.3 mM, P.S) , sodium bensoate(0.4mM, S.b), calcium propionate(2 mM, C.P)를 처리한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초와 배양 중간기에 세포를 수확하여 막을 분리하고, 이들 막을 구성하고 있는 당지질 중 MGDG, DGDG의 함량 및 그의 지방산 조성을 대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Total lipid와 MGDG, DGDG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염록체막의 BGDG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palmitoleic acid 15.55% , oleic acid 15.09%가 이용되었으며, P.S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4.36%, oleic acid 14.71%, S.B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8.26%, oleic acid 17.26%, C.P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6.31%, oleic acid 16.88%를 당지할 합성에 주로 이용하였다. DGDG 형성에 이용된 지방산은 대조구의 경우 linolenic acid 17.74%, oleic acid 15.75%, P.S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5.97%, oleic acid 14.90%, S.B 처리구는 oleic acid 15.74%, palmitoleic acid 13.29% C.P 처리구에서는 oleic acid 14.52%, palmitoleic acid 14.03%가 당지질 합성에 도입되었다. 틸라코이ㅡ막에서의 당지질 중 MGDG 생합성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linolenic acid 가 14.76%, oleic acid가 12.90% 사용되었으며 P.S 처리구에서는 palmit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13.00%씩 이용되었다. S.B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2.94%, oleic acid 12.44% , C.P 처리구는 oleic acid 13.27 %, palmitoleic acid 9.66%를 당지질 생합성에 이용하였다. DGDG 합성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대조구의 경우 linolenic acid 18.01% , oleic acid 15.53%로 나타났으며, P.S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9.20%, linoleic acid 14.14%, S.B 처리구는 oleic acid 14.85%, palmitoleic acid 9.03%, C.P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2.66%, olei acid 13.90%를 주로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