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e-gyo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 우성훈;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3호
    • /
    • pp.59-79
    • /
    • 2006
  •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ing which the historical architecture will be understood better through collecting results from researches which was done on various points of views and positions. Therefore,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also become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ing which it possess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s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were not integrated toge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layout of main palace is remaining on a partial and conceptual level.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ew in overall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using historical documents, precedent researches, excavation maps, topographical map and cadastral maps.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some of the ruins and restore the location and layout of other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ented above, will becom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in more realistic and way.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related researches.

  • PDF

Phellinus linteus KACC 93057P, '한경상황버섯'인공재배 자실체 페놀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화학적 동정 (Chemical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ankyong Sanghwang', Phellinus linteus KACC 93057P)

  • 민경진;정이은;윤봉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1-317
    • /
    • 2018
  • 참나무 단목원목으로 재배한 P. linteus KACC93057P(PLHS)2년산 자실체 60%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19.05{\pm}0.32mg\;GAE/g$로 다른 비교구 버섯 종에 비하여 4배에서 10배이상의 높게 나타났다. $125{\mu}g/mL$농도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62%와 100%를 나타냈으며 FRAP 환원력은 $0.7{\mu}MFeSO_4/g$으로 비교 구 버섯종 보다 2에서 10배이상의 유효활성이 검출 되었다. PLHS 자실체 ethyl acetate분배 추출물의 HPLC분석에서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 davallialactone, hispidin, hypholomine B와 phenylpropanoid 계열의 화합물인 caffeic acid가 동정 되었다.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 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diponectin ratio and insulin resistance in healthy children)

  • 안계현;김신혜;유은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56-261
    • /
    • 2008
  • 목 적 : 렙틴과 아디포넥틴은 대표적인 adipocytokine으로 비만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렙틴은 증가하고 아디포넥틴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7-15세의 건강한 소아 77명(남아 36명, 여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을 하고 공복 후 채혈하여 혈당,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총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및 SHBG를 측정하였다. 활성 남성호르몬 농도로는 FAI를, 인슐린 저항성의 척도로는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남아에서 HOMA-IR은 연령, 사춘기 단계, FAI, 렙틴 및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HOMA-IR과 연령, %WFH, 사춘기 단계, 에스트라디올, 렙틴, 그리고 렙틴/아디포넥틴 비 사이에 의미있는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연령, %WFH, 및 FAI로 보정한 후에도 HOMA-IR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P=0.010). 여아에서는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HOMA-IR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만하지 않은 건강한 소아에서도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인슐린 저항성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으며, 남아에서는 연령, 비만도 및 남성호르몬 농도로 보정한 후에도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미숙아에서 초기 스트레스성 고혈당과 예후 사이의 연관성 (Early stress hyperglycemia as independent predictor of increased mortality in preterm infants)

  • 위영선;안계현;유은경;임인숙;이규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474-480
    • /
    • 2008
  • 목 적 : 스트레스성 고혈당은 중환자의 급성 질병기에 흔히 동반되며, 이는 여러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이 연구는 미숙아에서 생후 48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스트레스성 고혈당이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재태 주령 30주 이하의 신생아 141명을 대상으로, 생후 48시간동안 혈당이 한번이라도 150 mg/dL 이상이었던 고혈당군(n=61)과 모두 150 mg/dL 미만이었던 비고혈당군(n=80)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CRIB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중증도, 임상 경과, 예후 및 사망률에 대해 비교하였다. 결 과 : 두 군의 재태 주령은 차이가 없었으나, 고혈당군에서 비고혈당군에 비해 출생체중은 더 작았고(P<0.001), CRIB 점수는 더 높았다(P<0.001). 임상적으로 패혈증이 의심된 경우와 파종성 혈관내응고증은 고혈당군에서 더 많았으며(P=0.046, P< 0.001), 사망률은 고혈당군이 41.0%, 비고혈당군이 11.3%로 고혈당군에서 월등히 높았다(P<0.001).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혈당(OR 3.787; 95% CI 1.324 to 10.829)은 CRIB score (OR 1.252; 95% CI 1.047 to 1.496), 출생체중(OR 0.997; 95% CI 0.994 to 1.000)과 함께 사망률에 독립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결 론 : 30주 이하의 미숙아에서 생후 48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스트레스성 고혈당은 임상 경과의 악화 및 사망률의 증가와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