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6초

Telmisartan increases hepatic glucose production via protein kinase C ζ-dependent insulin receptor substrate-1 phosphorylation in HepG2 cells and mouse liver

  • Cho, Kae Won;Cho, Du-Hyo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26-35
    • /
    • 2019
  • Background: Dysregulation of hepatic glucose production (HGP)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elmisartan, an angiotensin II type 1 receptor blocker (ARB), has various ancillary effects in addition to common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s. The effects and mechanism of telmisartan on HGP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an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se phenomena in hyperglycemic HepG2 cells and high-fat diet (HFD)-fed mice. Methods: Glucose production and glucose uptake were measured in HepG2 cells. Expression levels of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PEPCK) and glucose-6-phosphatase ${\alpha}$ ($G6Pase-{\alpha}$), and phosphorylation levels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IRS-1) and protein kinase C ${\zeta}$ ($PKC{\zeta}$)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imal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HFD-fed mice. Results: Telmisartan dose-dependently increased HGP, and PEPCK expression was minimally increased at a $40{\mu}M$ concentration without a change in $G6Pase-{\alpha}$ expression. In contrast, telmisartan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IRS-1 at Ser302 ($p-IRS-1-Ser^{302}$) and decreased $p-IRS-1-Tyr^{632}$ dose-dependently. Telmisartan dose-dependently increased $p-PKC{\zeta}-Thr^{410}$ which is known to reduce insulin action by inducing IRS-1 serine phosphorylation. Ectopic expression of dominant-negative $PKC{\zeta}$ significantly attenuated telmisartan-induced HGP and $p-IRS-1-Ser^{302}$ and -inhibited $p-IRS-1-Tyr^{632}$. Among ARBs, including losartan and fimasartan, only telmisartan changed IRS-1 phosphorylation and pretreatment with GW9662, a specific and irreversibl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tagonist, did not alter this effect. Finally, in the livers from HFD-fed mice, telmisartan increased $p-IRS-1-Ser^{302}$ and decreased $p-IRS-1-Tyr^{632}$, which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p-PKC{\zeta}-Thr^{410}$.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lmisartan increases HGP by inducing $p-PKC{\zeta}-Thr^{410}$ that increases $p-IRS-1-Ser^{302}$ and decreases $p-IRS-1-Tyr^{632}$ in a $PPAR{\gamma}$-independent manner

Effects of dietary L-glutamine and glutamic acid combination, and whey powder on the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on in weaned piglets fed grain-based diets

  • Almeida, Jonathan Madson dos Santos;Pascoal, Leonardo Augusto Fonseca;de Almeida, Jorge Luiz Santos;Guerra, Ricardo Romao;da Silva, Jose Humberto Vilar;da Silva, David Rwbystanne Pereira;Neto, Manoel Rosa Silva;Martins, Terezinha Domiciano Dantas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1963-1973
    • /
    • 2021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ncluding L-glutamine along with glutamic acid as a supplement in weaned piglets' diets with and without whey powder. Methods: Two assays were carried out. A total of 40 piglets ([Landrace×Large White]×Pietrain) weaned at 24 days of age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6.6±0.6 kg were used in the first assay, and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evaluated: growth performance, the incidence of diarrhea, morphometry, intestinal integrity, and hepatic glycogen index. The animals were then block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diets: diet all-grain feeding (G); diet all-grain feeding with whey powder (GW); and with vs without 1% supplementation of the commercial product containing L-glutamine and glutamic acid (A or NA). Whey powder was added according to the stage of life, corresponding to 17%, 10%, and 5%, respectively, in order to meet the need for lactose. The animals were evaluated at 24 to 42 days and at 24 to 55 days of age. The nutrient digestibility for the second assay was carried out by using 24 animals with an average weight of 11.49±1.6 kg, and the same diets were tested. Results: The supplementation of L-glutamine + glutamic acid or the addition of whey powder in diets for weaned piglets provided (p<0.05) greater feed intake, greater weight gain and improved feed conversion in the initial period (24 to 42 days age). However, in the whole period (24 to 55 days age) only amino acid supplementation affected (p<0.05) growth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interaction (p<0.05) between the type of diet and L-glutamine + glutamic acid supplementation on villus height, crypt depth and the villus:crypt ratio in the duodenum. In addition, L-glutamine + glutamic acid supplementation reduced (p<0.05) the crypt depth and improved the villus:crypt ratio in the jejunum. The inclusion of whey powder affected (p<0.05) positively the digestibility coefficients analyzed except mineral matter digestibility coeficients. The supplementation of 1% the commercial product composed of L-glutamine and glutamic acid improved (p<0.05) only the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crude prote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1% commercial product containing L-glutamine + glutamic acid in diets for piglets from 24 to 55 days of age, dispenses with the use of whey powder when evaluating growth performance. Amino acid supplementation alone or associated with whey powder affects (p<0.05) positively the indicators of the intestinal integrity.

Regulation of chicken vanin1 gene expression by 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 α and miRNA-181a-5p

  • Wang, Zhongliang;Yu, Jianfeng;Hua, Nan;Li, Jie;Xu, Lu;Yao, Wen;Gu, Zhili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72-184
    • /
    • 2021
  • Objective: Vanin1 (VNN1) is a pantetheinase that can catalyze the hydrolysis of pantetheine to produce pantothenic acid and cysteamine. Our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VNN1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chicken liv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 α (PPARα) and miRNA-181a-5p in regulating VNN1 gene expression in chicken liver. Methods: 5'-RACE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ranscription start site of chicken VNN1. JASPAR and TFSEARCH were used to analyze the potential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sites in the promoter region of chicken VNN1 and miRanda was used to search miRNA binding sites in 3' untranslated region (3'UTR) of chicken VNN1. We used a knock-down strategy to manipulate PPARα (or miRNA-181a-5p) expression levels in vitro to further investigate its effect on VNN1 gene transcription. Luciferase reporter assays were used to explore the specific regions of VNN1 targeted by PPARα and miRNA-181a-5p. Results: Sequence analysis of the VNN1 promoter region revealed several transcription factor-binding sites, including hepatocyte nuclear factor 1α (HNF1α), PPARα,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GW7647 (a specific agonist of PPARα)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VNN1 mRNA in chicken primary hepatocytes, whereas knockdown of PPARα with siRNA increased VNN1 mRNA expression. Moreover, the predicted PPARα-binding site was confirmed to be necessary for PPARα regulation of VNN1 gene expression. In addition, the VNN1 3'UTR contains a sequence that is completely complementary to nucleotides 1 to 7 of miRNA-181a-5p. Overexpression of miR-181a-5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VNN1 mRNA.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PARα is an important transcriptional activator of VNN1 gene expression and that miRNA-181a-5p acts as a negative regulator of VNN1 expression in chicken hepatocytes.

저수지 수상태양광 설치가 수생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impact on aquatic communities after the operation of floating photovoltagic systems in agricultural reservoirs)

  • 최선화;이승헌;허남주;주진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3-233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2030년 10GW의 농촌 태양광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저수지 및 댐 등의 공유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 설치가 적극 검토되고 있다. 수상태양광 사업의 증가와 함께 수상태양광 설치 및 운영이 환경적 측면에서 논쟁이 대두되고 있으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이 호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장기적인 조사나 과학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에 설치되어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한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상태양광이 운영되고 있는 2개소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조사를 2개년(2017~2018년) 동안 실시하여 각각의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1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설치지역 및 패널로부터 200~250m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총 6지점을 조사하였으며, 2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하부(영향권) 3지점과 패널로부터 약 250m 이격된 2지점(비영향권)을 대상으로 총 6회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식물성플랑크톤, 동물성플랑크톤, 저서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에 대한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에 대한 분석결과,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는 발전시설 영향권 지역과 비영향권 지역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는 수상태양광 패널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감소하는 수치를 보이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워지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종다양도 역시 종풍부도 결과와 유사하게 수상태양광 패널 지역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지수가 감소하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식물성 플랑크톤과 저서생물 및 어류 군집의 종풍부도, 종다양도가 수상태양광의 영향권과 비영향권간에 큰 차이를 없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분류군의 경우 열린 수면보다 수상태양광 설비에 의한 반 폐쇄수역에서 종풍부도와 종다양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설치된 수상태양광 패널이 전체 수면의 5% 미만에 해당하는 소규모 시설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넓은 수면적에 설치되어 있는 대규모 시설 및 20년 이상 장기간 운영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누적된 환경영향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발아조건 및 휴면타파 처리에 따른 수단그라스(Sorghum sudanense(Piper.) Stapf) 품종별 발아검정

  • Young-Jun Moon;Ji-Su Kyeong;Chae-Yeon Kwon;Ji-Yeong Jung;Seon-Yeong Im;Dong-Jin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38
    • /
    • 2022
  • 녹비작물은 천연비료로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본과 녹비작물은 두과 녹비작물에 비해 탄소 물질의 함량과 biomass가 상대적으로 높아 토양 내 유기물증진을 위한 재배에 적합하다. 이에 화본과 녹비작물 중 하나인 수단그라스의 발아 및 휴면특성 검정을 진행하여 발아 적정조건을 찾아 유기종자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단그라스 4품종(GW104G, Cadan99B, TE-Evergreen, Sweet home)을 공시품종으로 사용하였다. 표준발아검사에 따라 각 품종별 종자를 100립씩 3반복 치상하여 10일간 발아검정 진행 후 발아율, 발아세,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침종시간 및 치상온도별 실험으로 시간별(무처리/5/10/15/20/25hr)로 침종한 후, 생장상(10/20/30/40℃)에 보관하여 정상아 개수를 파악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휴면타파 실험으로 1~5일 동안 종자를 예냉(무처리/5/10/15℃)과 고온(50℃) 처리한 후, 첫 번째 실험 결과에 따라 발아 최적 조건(침종 20hr, 치상온도 20℃)에서 발아시킨 후 정상아 개수를 파악하였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치상온도별 발아율은 20℃에서 평균 92±6.9%로 가장 높았으며, TE-evergreen의 경우 치상온도 10℃에서 10시간, 20℃에서 20시간, 30와 40℃에서 15시간 침종한 값이 유의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평균발아일수(MGT)는 침종 20시간과 치상온도 30℃일 때 평균 1.21±1.14일로 가장 빨랐으며 발아속도(GR)는 침종 20시간과 치상온도 20℃의 조건일 때 89.9±5.92로 가장 빨랐다. 수단그라스 4품종의 휴면타파 온도별 발아율은 10℃에서 평균 92±9.3%로 가장 높았다. TE-evergreen의 경우 휴면타파 온도 5, 10, 15℃에서 4~5일 동안 처리한 값이 무처리와 50℃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수단그라스 발아검사 결과, 20시간 침종 후 20~40℃에서 2~3일간 발아시킬 경우 90%이상의 발아율을 보이므로 파종을 위한 종자 전처리를 할 경우 이와 같은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Mg2+-Independent Sphingomyelinase from Rat Brain

  • Jong Min Choi;Yongwei Piao;Kyong Hoon Ahn;Seok Kyun Kim;Jong Hoon Won;Jae Hong Lee;Ji Min Jang;In Chul Shin;Zhicheng Fu;Sung Yun Jung;Eui Man Jeong;Dae Kyong Kim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9호
    • /
    • pp.545-557
    • /
    • 2023
  • Sphingomyelinase (SMase) catalyzes ceramide production from sphingomyelin. Ceramides are critical in cellular responses such as apoptosis. They enhance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permeabilization (MOMP) through self-assembly in the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to form channels that release cytochrome c from intermembrane space (IMS) into the cytosol, triggering caspase-9 activation. However, the SMase involved in MOMP is yet to be identified. Here, we identified a mitochondrial Mg2+-independent SMase (mt-iSMase) from rat brain, which was purified 6,130-fold using a Percoll gradient, pulled down with biotinylated sphingomyelin, and subjected to Mono Q anion exchange. A single peak of mt-iSMase activity was eluted at a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65 kDa using Superose 6 gel filtration. The purified enzyme showed optimal activity at pH of 6.5 and was inhibited by dithiothreitol and Mg2+, Mn2+, Ni2+, Cu2+, Zn2+, Fe2+, and Fe3+ ions. It was also inhibited by GW4869, which is a non-competitive inhibitor of Mg2+-dependent neutral SMase 2 (encoded by SMPD3), that protects against cytochrome c release-mediated cell death. Subfraction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mt-iSMase localizes in the IMS of the mitochondria, implying that mt-iSMase may play a critical role in generating ceramides for MOMP, cytochrome c release, and apoptosi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purified enzyme in this study is a novel SMase.

홍천사(紅泉社)의 결성과 시세계 - 연구시(聯句詩)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ngch'ŏn Poetry Society : Focused on the Linked Verses of the Hongch'ŏn Poetry Society)

  • 오보라
    • 동양고전연구
    • /
    • 제66호
    • /
    • pp.35-73
    • /
    • 2017
  • 본고는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홍천사(紅泉社)라는 시사를 소개하고, 그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홍천사는 1817년(순조17)에 이만수(李晩秀)(1752~1820)를 맹주로 하여, 이락수(李洛秀)(1755~?) 신진(申縉)(1756~?) 신작(申綽)(1760~1828) 신현(申絢)(1764~1827) 및 박종우(朴宗羽)(1745~?) 정수구(鄭遂龜)(1750~?) 권식(權?)(1753~?) 김계온(金啓溫)(1773~?)이 함께 모여서 결성한 시사이다. 홍천사에서 창작된 시들은 "천사집(泉社集)"으로 엮어져, 이만수의 문집인 "극원유고(?園遺稿)"에 수록되었다. 홍천사는 이만수를 맹주로 하고, 신진 신작 신현 3형제를 주축으로 하여 결성되었다. 이 시사는 1817년부터 이만수가 세상을 떠나는 1820년까지 계속되었다. 홍천사의 동인들은 주로 기대(企臺)의 방운루(放雲樓)에 모여 분운시, 차운시, 연구시 등을 지으며 풍류를 즐겼다. 이들이 지은 시는 "천사집"에 수록되어 있는데, "천사집"이 이만수의 개인 문집인 "극원유고"의 일부로 편차된 탓에, 이만수 이외의 인물들이 시회에서 지은 분운시 차운시는 "천사집"에 실려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부득이하게 연구시를 중심으로 홍천사의 시세계를 조망하였다. 홍천사의 연구시는 먼저 홍천사 동인들이 각자의 시재를 겨루는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홍천사 동인들은 전고를 화려하게 사용하여 자신들의 능력을 드러냈다. 홍천사 동인들은 연구시를 지을 때, 함축된 시어 안에서 대를 맞추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였다. 특히 <성남연구(城南聯句)>의 형식을 본 뜬 <방운루연구(放雲樓聯句)>에서는 홍천사 동인들이 서로 시재를 각축하며 시상을 매끄럽게 전개해 나가는 모습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는 홍천사의 동인들이 비록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은 인물들은 아니지만, 일정 수준의 문학적 역량을 갖춘 이들이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정서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홍천사의 연구시를 분석해보았다. 홍천사의 연구시에도 다른 이들의 연구시와 마찬가지로 교유의 즐거움이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노년에 벗들과 즐기는 한아(閒雅)한 정취가 주된 정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홍천사의 연구시는 단순히 노년에 즐기는 벗들과의 우정을 읊은 데에 그치지 않고, 자신들이 풍류를 즐길 수 있는 것은 왕의 덕택이라며 태평성대를 예찬하고 있다. 즉 홍천사의 연구시에는 산림 생활의 한가로움, 태평성대의 풍요로움, 관료로서의 자부심 등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