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SR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Use of an Application of Polygraph (거짓말 탐지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Ye-Seul;Kim, Kwang-Hoon;Kim, Se-Rom;Min, Cho-Rong;Choi,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78-87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비용-고정형 거짓말탐지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거짓말 시 발생되는 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GSR (Galvanic Skin Response) 센서와 스트레스수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그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사용자에게 부착하여 사용자의 생체 피부를 통해 외적자극 또는 심적 흥분/동요 상태에 의한 활동전위 발생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스트레스 지수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성 및 저비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거짓말 탐기기능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화 하였다.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Mental Workload for the Tracking Task (트랙킹 작업에 있어서 정신 부하 측정 및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하은호;김동윤;고한우;김동선;송지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8-5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긴장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하여 작업 중에 긴장 조건을 부가하고 행동량, 주관량, 생리량을 계측하여 통계적으로 긴장 상태 유무와 작업 난이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긴장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20대 남자 대학생 3D명에게 세 가지 레벨의 트랙킹 작업을 수행하게 하면서 긴장상태를 유발하여 행동량, 주관신고와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행동량과 주관신고의 결과를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상정된 작업난이도와 긴장조건이 적절한 가를 살펴보고 생리신호를 사용하여 작업난이도와 긴장감을 분석하였다. 난이도가 낮을 때 HRV의 회귀도와 GSR의 평균값은 긴장 조건이 있을 때가 없을 때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난이도가 높을 때에는 피부온도의 값이 긴장 조건이 있을 때가 없을 때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긴장 조건이 있는 경우 작업의 난이도가 높을 때에 낮을 때에 비해서 호흡수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상정한 긴장감은 양호하게 부가되었고 긴장감은 생리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Arousal Level Evoked by IAPS (IAPS 사진 자극에 유발된 긴장도 감성 변화의 평가)

  • 전광진;정순철;민병찬;정은지;성은정;강인형;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4-137
    • /
    • 2001
  • 본 연구는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사진의 시각 자극을 통해 유발된 감성 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측정하여 긴장도의 감성 변화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미리 선정된 9개의 사진을 30초씩 제시하면서 ECG, GSR, Skin Temperature, Respiration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자극 제시 후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평가 분석 결과 9개의 사진 중 5종류의 사진에 대한 감성 구분의 가능성이 보였으며, 긴장축으로 긴장 > 불쾌긴장, 쾌긴장 > 중립 > 이완 순서의 4단계로 긴장도가 구분되었다. 자율신경계 반응 또한 긴장영역의 감성을 구분할 수 있었는데, 긴장축으로 긴장, 불쾌긴장, 쾌긴장 > 중립 > 이완 순서의 3단계로 긴장도가 구분되었다. 따라서 각 사진이 유발한 긴장의 감성영역을 주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생리적 반응 분석을 통하여 변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nsibility Evaluation of Driver to the Speed in a Dynamic Simulator (동환경 시뮬레이터에서 주행속도에 따른 운전자 감성평가)

  • 성은정;민병찬;전효정;김태은;강인형;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7-18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동적환경 감성 시험평가 시스템(driving simulator)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전속도(40, 70, 100km/h)에서 주행시 운전자의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쾌활성, 쾌적감, 긴장감, 각성감, 속도감이 높게 나타났고, 심박수는 증가하였다. 안정시에 비하여 주행시에 뇌파의 알파파는 감소하고 베타파는 증가하였으며 호흡수가 증가하였으나, 조건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70km/h이상에서 GSR의 증가와 SKT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70km/h이하에서 눈깜박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운전자는 속도가 증가할수록 주관적으로 긍정적인 감성을 느끼지만, 70km/h이상에서 자율신경계 반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실제차량 및 시뮬레이터에서 수행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여 본 시스템으로 운전자 감성평가가 충분히 수행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The effect of white noise on relaxation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의 이완효과에 관한 연구)

  • Kim, Jong-Hwa;Hwang, Min-Cheol;U, Jin-Cheol;Kim, Jong-Seo;Choe, Won-Min;Yun, Jung-Sam;Hwang,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62-65
    • /
    • 2008
  • White Noise는 일반적으로 이완의 감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종류의 음향에 White Noise를 혼합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이완의 감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은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원본 음향과 White Noise가 추가된 음향을 들려주고, 각성-이완에 대한 주관적 설문과 중추신경계 반응 그리고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t-test를 통하여 음향 별 감성평가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White Noise가 혼합된 음향은 그렇지 않은 음향에 비해 이완감성 측정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White Noise가 혼합된 음향은 이완 유발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Physiological signal sensing on meridian for emotion recognition (감정분석을 위한 경락에서의 생체 신호 추출)

  • Choi, Ah-Young;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17-51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관점에서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생체 신호의 센싱방법을 제안한다. 생체 신호는 음양오행의 각 부분의 반응을 살필 수 있는 체표의 자극 반응점인 경혈점에서 GSR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서양의학에 기반한 생체 신호 특징 분석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한다. 추출된 생체신호는 감정, 의도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인간과 컴퓨터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개인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Biosignal Paramters for the Computational Stress (연산 스트레스에 대한 감성 측정을 위한 생리 파라메터 추출에 대한 연구)

  • 하은호;김동윤;박광훈;임영훈;고한우;김동선;김승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39-14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45명의 남자 대학생들에게 연산을 수행하게 한 후, 연산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생리 파라메터의 추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파라메터를 추출하기 위해서 1) 정규분포화를 위한 변환 2) 상관관계를 통해 상호관련성이 높은 파라메터를 조사 3) 휴식기간과 연산작업간의 파라메터의 값 비교를 통한 파라메터 표준화 4) 각 파라메터에 대해서 반복측정자료의 분산분석법을 통하여 검정함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파라메터를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연산스트레스의 지수화에 필요한 생리 파라메터로 Heart Rate, HRV의 LF/HF, HRV의 MF/(LF+HF), Return Map의 분산, Mean Temperature, GSR-Mean과 호흡수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 PDF

Concurrent operation of round beam and flat beam in a low-emittance storage ring

  • J. Lee;S. Ahn;J. Ko;B. Oh;G. Jang;Y.D. Yoon;S. Shin;J.-H.Kim;M. Ch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5 no.10
    • /
    • pp.3866-3873
    • /
    • 2023
  • In 4th-generation storage rings, whether to operate the beam as round or flat is a critical question. A round beam has equal horizontal and vertical emittances, and is an efficient solution to reduce strong intra-beam scattering effects and lengthen the Touschek lifetimes, but a flat beam produces a brighter photon beam than a round beam. To provide both beams concurrently rather than bifurcating the beam time, this paper presents the exploitation of beam dynamics and the cutting-edge fast pulser that supports concurrent operation of round beam and flat beam.

Cold Pressor Response to Seasonal Variation in Winter and Summer (국소한냉자극이 전신 및 국소혈액순환에 미치는 영향 -제 2 보 : 동계 및 하계의 계절변화에 따른 한냉반응-)

  • Park, Won-Gyun;Chae, E-Up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17 no.2
    • /
    • pp.93-101
    • /
    • 1983
  • A possibility whether the appearance of adaptation to cold climate during winter could occur or not in Taegu area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ata obtained in winter with that obtained by the same method in summer. Circulatory response was induced by the immersion of one hand in the cold water. The systemic and local responses in the blood circulation from the immersed hand and the unimmersed opposite hand were observ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Galvanic skin resistance(GSR) that is influenced by the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the vascular tonicity was record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examining sixty healthy college students in winter and fifty in summer, whose mean age was 21.0, mean weight $60.6{\pm}0.90\;kg(male)$ and $48.3{\pm}0.98\;kg(female)$. The cold stimulus was applied by immersing the left hand into the cold water of $5^{\circ}C$ for 3 minutes, and the response was observed on immersed left hand and unimmersed right hand simultaneously. The observation was made through determining mean blood pressure, heart rate, amplitude of photoelectric capillary pulse (APCP) and GS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mean blood pressure was elevated during the cold stimulation. The increase of blood pressure in summer was more remarkable than in winter. At the recovery period the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to the control level in winter but the decrease below the control level was observed in summer. The increase of heart rate in summer was more remarkable than in winter during the cold stimulation. At the recovery period heart rate in both winter and summer was decreased below the control level. During the cold stimulation the APCP was decreased on both hands in winter. However it was more prominent on left hand indicating additional direct cold effect on immersed hand. In summer, the decrease of APCP during immersion was less remarkable than that in winter, but the regain of APCP was faster than that in winter at the recovery period. And the prompt increase of APCP over the control level has been obtained at the 3 minutes of the recovery period. The GSR was remarkably increased on immersed hand but slightly decreased on unimmersed opposite hand during the cold stimulation. Thus the finding on immersed hand indicates that the local direct effect of cold water is more prominent than the systemic effect, where as the finding on unimmersed hand indicates that the circulatory response to painful stress elicited by the cold stimulation is more prominent than cold temperature itself. In summary, it seems that the systemic circulatory response to the local cold stimulation of the one hand is arised more from the secondary elicited pain sensation and less from the low water temperature. On the contrary to the report of Kim et $al^{39)}$, the adaptation phenomena in blood pressure to the relatively mild cold climate in winter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circulatory response observed in this study between winter and summer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subjective sensation of the cold water stimulation by the seasonal changes in air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