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S(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APPLICATION OF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KIMSTORM)

  • Kim, Seong-Joon;Kim, Sun-Joo;Chae, Hyo-Sok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321-330
    • /
    • 2000
  • The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Kim, 1998; Kim, et al., 1998) which predicts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verland flow, subsurface flow and stream flow was evaluated at two watersheds. This model adopts the single overland flowpath algorithm and simulates surface and/or subsurface water depth at each cell by using water balance of hydrologic components. The model programmed by C-language uses ASCII-formatted map data supported by the irregular gridded map of the GRASS(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GIS and gener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maps of discharge, flow depth and soil moisture of the watershed.

  • PDF

연구는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대수 분석을 위한 GRASS 기반의 웹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System for Raster Data Analysis Using Map Algebra)

  • 이인지;이양원;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31-139
    • /
    • 2010
  • 최근 GIS의 보급이 증가하고 공간 데이터 사용자의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웹기반 GIS에서는 단순히 공간 데이터를 지도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분석과 프로세싱을 통해 공간 정보 및 지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공개 GIS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이러한 웹 GIS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토대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개 GIS 소프트웨어인 GRASS를 이용하여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대수 연산을 수행하는 웹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에서의 데이터 분석 방법은 래스터 데이터 처리 시 널리 사용되는 지도대수로 하였으며, 중첩분석에 필요한 가중치는 AHP로 계산하였다. GRASS 기반의 웹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 후, 강수량, 표고, 경사각, 경사방향, 토양의 래스터 레이어를 이용하여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웹과 GRASS의 연동을 통해 지도대수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개발(I) - 이론 및 모형 - (Grid-Based KlneMatic Wave STOrmRunoff Model (KIMSTORM)(I) - Theory and Model -)

  • 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03-308
    • /
    • 1998
  • 격자기반의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표흐름과 지표하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제 수문인자들의 격자별 물수지를 계산하여 단방향 흐름경로 알고리듬에 의하여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추적한다. 전처리과정으로서 GRASS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 형태의 자료들을 준비하고,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의 유출량, 유출고, 토양수분, 본포 등을 GRASS상에서 도시할 수 있도록 ASCII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 PDF

격자기반의 토양수분 추적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추정기법 개발 (Groundwater Recharge Assessment via Grid-based Soil Moisture Route Modeling)

  • 김성준;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61-72
    • /
    • 2000
  •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기반의 일변 토양수분 추적기법을 모델링하였다. 본 모델은 GRASS-GIS를 이용하여 모델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모델은 이들을 ASCII 형태로 받아들여 일별 수행결과(유역출구에서의 유출량, 지표유출 분포도, 토양수분 분포도 등)들을 GRASS상에서 도시하여 주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보청천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75.6\;\textrm{km}^2$)을 대상으로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95년 및 '96년도의 IHP유역 연구보고서 자료를 이용하여 실측 일유출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를 비교하였다. 일단위 및 월단위의 유역 토양수분의 변화양상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기법을 이용하여 1995년도 보청천의 이평교유역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 Kim, Seong-Joon;Kim, Sun-Joo;Chae, Hyo-Seok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S1호
    • /
    • pp.20-27
    • /
    • 2000
  • The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Kim, 1998; Kim, et al., 1998) which predicts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aturated overland flow, subsurface flow and stream flow was evaluated at two watersheds. this model adopts the single overland flowpath algorithm and simulates surface and/or subsurface water depth at each cell by using water balance of hydrologic components. the model programmed by C-language uses ASCII-formatted map data supported by the irregular gridded map of the GRASS (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GIS and gener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maps of discharge, flow depth and soil moisture of the watershed.

  • PDF

Application of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 Kim, Seong-Joon;Kim, Sun-Joo;Chae, Hyo-Se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7
    • /
    • 2000
  • The grid-based Kl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i (Kim, 1998; Kim, et al., 1998) which predicts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aturated overland flow, subsurface flow and stream flow was evaluated at two watersheds. This model adopts the single overland flowpath algorithm and simulates surface and/or subsurface water depth at each cell by using water balance of hydrologic components. The model programed by C-language uses ASCII-formatted map data supported by the irregular gridded map of the GRASS (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GIS and gener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maps of discharge, flow depth and soil moisture of the watershed.

  • PDF

격자기반의 토양수분추적표형 개발 : 보청천 유역 사례연구 (Development of GRld-eased Soil MOsture Routing Model (GRISMORM) Applied to Bocheongchun Watershed)

  • 김성준;채효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9-48
    • /
    • 1999
  •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일단위 토양수분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분포형 토양수분추적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C-언어로 구성하여 다양한 GIS 소프트웨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서 래스터 GIS 소프트웨어인 GRASS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고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결과를 GRASS상에서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보청천 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75.6㎢)을 대상으로 이평교 지점에서의 실측 일유출량과 모형에 의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였으며, 출력결과로서 월별로 정리된 토양수분 분포도를 GRASS상에 작성하여 예시하였다.

  • PDF

유출경로 추적을 위한 GIS상에서의 유역 포화성향 고찰 (Saturation Tendency for Tracing of Runoff Path on GIS Platform)

  • Kim, Sanghyun;Kunyeoun H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2-198
    • /
    • 1997
  • 포화도의 공간적 변화인 지형지수를 계산하기 위한 다중흐름 알고리듬이 지형정보시스템인 GRASS와 연계되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소규모 농경지 배수구역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지하수위에 대한 타일 시스템의 영향이 DEM모형과 Laplace식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고려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타일시스템을 고려한 유역은 타일시스템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포화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riparian 유역은 실제의 유역조건과 잘 일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지수를 산정함에 있어 타일 시스템의 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모형 개발 (GRID-based Daily Evapotranspiration Prediction Model (GRIDET))

  • 채효석;김성준;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721-73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Morton(1983)의 보완관계식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을 계산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C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ASCII 형태의 수치표고자료와 토지피복도가 입력자료로 이용되어 유역에 대한 일 증발산량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증발산량에 대한 시간적 변화 양상과 공간적 분포 양상을 GRASS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 대청댐 상류지역에 위치한 보청천의 일부 지역(76.5$\textrm{km}^2$)에 대해서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보청천 유역의 이평교 지점에서 1995년도 증발산랑은 766.1mm로 나타났으며, 경사면과 면적에 대한 일사량 보정 후 약22%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