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T2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4초

수도근(水稻根)의 Amino산(酸) 대사(代謝)에 관한 연구 -제(第) 3 보(報) 수도근(水稻根)의 몇가지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및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mino acid metabolism of young rice root (Part 3) -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respiratory inhibitor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ice root -)

  • 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1-207
    • /
    • 1974
  •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GOT, GPT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와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窒素)의 형태(形態)에 따른 근(根)과 지상부(地上部)의 신장정도(伸長程度)는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GOT, GPT,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는 반대(反對) 현상(現象)을 나타내었다. 2. 수도근(水稻根)의 ${\alpha}$-naphthylamine의 산화력(酸化力)은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활성감소(活性減少)가 컸으며 삼요소(三要素) 결핍(缺乏)에 의(依)한 영향(影響)은 GOT가 GPT 보다 심(深)했으며 peroxidase는 반대(反對)로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경향(傾向)은 무가리구(無加里區) > 무인산구(無燐酸區) > 무질소구(無窒素區)의 순(順)이었다. 4.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가 수도(水稻)의 지상부(地上部)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질소형태(窒素形態)에 따라 억제(抑制) 정도(程度)가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이었다. 5.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에 의한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저해(沮害)를 받으며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다.

  • PDF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Protaetia brevitarsi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Mice)

  • 전정우;권해용;조유영;여주홍;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3-100
    • /
    • 2012
  •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일차배양한 간세포와 간독성 흰쥐에서 GPT, bile acid, bilirubin 등의 활성 지표를 통해 간독성 회복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 간세포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하늘소 추출물의 간독성 회복효과는 각각 41.2%와 8.4%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간독성 회복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 추출별로는 흰점박이꽃무지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간독성 회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흰점박이꽃무지 물추출물 분획별로 처리하였을 때, 분자량 낮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32.1%로 간독성 회복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흰쥐에 사염화탄소를 복강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후 흰점박이꽃무지 물분획물을 경구투여할 경우에 혈청 GPT, bile acid와 bilirubin의 활성이 정상군보다는 높았지만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섬유화와 관련된 hydroxyproline의 생성 억제에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성 있게 생성을 억제하여 간섬유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중심정맥 쪽에 아주 경미한 허혈성 변성 이외에는 다른 병변을 찾을 수 없었고 세포내에 organelle이 유지된 편이고 콜라겐 형성이 매우 많이 줄어들어 병리조직학적으로도 간보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독성 지표 활성을 긍정적으로 결과를 확인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질환 치료보조제나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구기자(枸杞子) 추출물(抽出物)이 가토(家兎)의 실험적(實驗的) 간장장애(肝臟障碍) 및 alloxan당뇨병(糖尿病)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cii fructus extract on Experimentally Induced Liver Damage and Alloxan Diabetes in Rabbits)

  • 서화중;전성주;이명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6-143
    • /
    • 1986
  • 구기자추출물(枸杞子抽出物)을 시료(試料)로 mouse의 독성실험(毒性實驗), 실험적(實驗的)으로 유발(誘發)시킨 가토(家兎)의 간장기능장애(肝臟機能障碍) 및 alloxan부하당뇨병(負荷糖尿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ouse의 급성독성실험(急性毒性實驗)에서 복강투여(腹腔投與)의 경우 평균치사량(平均致死量)은 12.17g/kg이었다. 2. $CC1_4$로 간장기능장애(肝臟機能障碍)가 유발(誘發)된 가토(家兎)에 구기자추출물투여(枸杞子抽出物投與)는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있는 회복도(回復度)를 보였는데 특(特)히 대량투여군(大量投與群)에서 더욱 빨랐다. 1) GPT활성도(活性度) 및 total bilirubin은 시료투여군(試料投與群)에서 아주 우수(優秀)한 저하효과(低下效果)를 나타냈다. 특(特)히 GPT활성도(活性度)에서 200mg/kg은 제(第)8일(日)째부터, 800mg/kg은 제(第)6일(日)째부터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2) Alkaline phosphatase치는(値)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Alloxan으로 유발(誘發)한 가토(家兎)의 고혈당(高血糖)에 대하여 800mg/kg는 아주 탁월한 혈당강하효과(血糖降下效果)를 나타냈다. 즉(卽) 제(第)4일(日)째부터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제(第)12일(日)째는 정상치(正常値)에 거의 접근(接近)하였다. 또한 GPT활성도(活性度)는 차츰 저하(低下)되어 제(第)6일(日)째부터 저하효과(低下效果)가 뚜렷하였다.

  • PDF

불균형식이(不均衡食餌)에 의(依)한 백서체내(白鼠體內) Homeostasis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Homeostasis in Albino Rats by Feeding on Imbalanced Protein Diet)

  • 류총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2호
    • /
    • pp.37-51
    • /
    • 197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 of nutritional condition on the change of protein metabolism in the animal body by feeding on imbalanced protein diet. A total 242 growing male albino rats, weighing $115{\sim}120$ gm,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The rats were fed on the standard diet(st), protein flee diet(pf) and imbalanced protein diet(ib) for twelve weeks respectively. Hemoglobin, packed cell volume in blood, and total nitrogen, amino acid nitrogen, urea-nitrogen, creatinine, transaminases(GPT, GOT) in liver and serum, and total nitrogen in small intestine, and total nitrogen, urea-nitrogen In small intestine, and total nitrogen, urea-nitrogen, creatinine, urea-nitrogen/creatinine ratio in urine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gained body weight were lower in pf group and ib group than those of st group. The gained body weight fed for 12 weeks, were 80% lower in pf group than those of st group, and the body weight of pf group for $50{\sim}75$ days feeding were $40{\sim}60%$ decreased, compared with the stating weight, and then all of them died. 2. The change of the brain, liver, kidney, spleen and small intestine by feeding on imbalanced diet for 12 weeks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with the starting weight, but those of protein free diet group were half or more decrease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pleen and small intestine especially than the other organ 3. The contents of hemoglobin in pf group for 8 weeks feeding, and the packed cell volume in pf group for 8 weeks feeding and in ib group for 12 weeks feeding were decreased. but those of the other feeding group were almost same value. 4. The total nitrogen in the liver, small intestine and serum of each diet group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amino acid nitrogen in pf group for 2 and 6 weeks feeding were increased. 5. On transaminases: a) The cycle of increase and decrease of GPT activities were come periodically and the interval of cycle were fast in the early stage of feeding and slow there-after. b) The GPT activities were decreased gradually in pf group after feeding and those were increased in ib group for 6 weeks feeding but decreased there-after. The frequency of cycle were more GPT than GOT and specially those of GPT in early stage of feeding were two or three times while GOT was one. c) The interval of increase and decrease in GOT and amino acid nitrogen cycle were similar tendency. 6.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creatinine and urea-nitrogen of pf group in urine were decreased very sharply from sharting feeding to one week but increased dully from six weeks to eight weeks feeding. The contents of urea-nitrogen of ib group were increased dully by feeding on ten weeks but decreased by feeding on twelve week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trend of the metabolic change is maintained equally by homeostatic mechanism using the endogenous protein source during a certain period by imbalanced protein diet feeding. The homeostatic mechanism is come peridically, very fast in early stage of feeing and than slow there-after.

  • PDF

Association between SMAD2 Gene and Serum Liver Enzyme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 Ahn, Hyo-Jun;Sull, Jae Woong;Eom, Yo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131
    • /
    • 2013
  •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have identified a number of common variants associated with serum liver enzyme homeostasis in population. In the previous stud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several gene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rum liver enzyme levels in European population. We aimed to confirm whether the genetic variation of SMAD2 (SMAD family member 2) gene influence the serum liver enzyme levels in Korean population. We genotyped variants in or near SMAD2 in a population-based sample including 994 unrelated Korean adult. Here, we performed association analysis to elucidate the possible relations of genetic polymorphisms in SMAD2 gene with serum liver enzyme levels. By examining genotype data of a total of 944 subjects in 5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we discovered the SMAD2 gene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serum liver enzyme levels. The common and highest significant polymorphism was rs17736760 (${\beta}$=3.51, P=5.31E-07) with glutamic oxaloacetic transferase (GOT), rs17736760 (${\beta}$=5.99, P=1.25E-05) with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rs17736760 (${\beta}$=15.68, P=9.93E-07) with gamma glutamyl transferase (GGT) in all group. Furthermore, the SNP rs17736760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GOT (${\beta}$=5.25, P=1.72E-06), GPT (${\beta}$=9.97, P=1.16E-05), GGT (${\beta}$=26.13, P=3.43E-06) in men group. Consequently,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NP in SMAD2 gene that are associated with serum levels of GOT, GPT, and GGT. In ad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dividuals with the minor alleles of the SNP in the SMAD2 gene may be more elevated serum liver enzyme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Phenanthrene-induced changes in blood organic components, transaminase and ALP activities of Paralichthys olivaceus

  • Jee, Jung-Hoon;Kang, Ju-Cban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4
    • /
    • 2002
  • Phenanthrene-induced changes in blood organic components. transaminase and ALP activities of Paralichthys oIivaceus were investigal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holistic view of the toxic responses, and compensations of fish exposed to waterborne phenanthrene. Fish were exposed to 0, 0.5, 1, 2$\mu$M of phenanthrene for 4 weeks. The most noticeable changes were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levels of blood GOT and GPT activities. At concentrations 1.0 and 2.0 $\mu$M of phenanthrene GOT, GPT and ALP enzyme activities in plasma were increased. Plasma albumin concentration was stable in phenanthrene-exposed fish, however, plasma total protein level was reduced significantly at the 4-week sampling points (2.0$\mu$M). Plasma glucose levels were found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cootrol throughout duration of the experiment with phenanthrene.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phenanthrene has the potential to alter some physiological functions in olive flounder.

롱테일 질의 확장을 위한 추출 및 생성 기반 모델 (Long-tail Query Expansion using Extractive and Generative Methods)

  • 김래선;김성순;장헌석;박석원;강인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67-273
    • /
    • 2020
  • 검색 엔진에 입력되는 질의 중 입력 빈도는 낮지만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질의를 롱테일 질의라고 일컫는다. 롱테일 질의가 전체 검색 로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은 반면,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검색 의도가 상세하며 개별 질의의 양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질의에 대한 적절한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다. 본 논문에서는 롱테일 질의 입력 시 적절한 검색어 추천을 제공하기 위하여 질의-문서 클릭 정보를 활용한 추출기반 모델 및 Seq2seq와 GPT-2 기반 생성모델을 활용한 질의 확장 방법론을 제안한다. 실험 및 결과 분석을 통하여 제안 방법이 기존에 대응하지 못했던 롱테일 질의를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실제 서비스에 접목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편리성을 증대하는 동시에, 언어 모델링 기반 질의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관동화 및 관동화 가미방이 흰쥐의 간독성 및 신독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patic and Renal Toxicities Possibly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Farfarae Flos in Rats)

  • 김은진;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9-7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al administration of Farfarae flos, JCT (Jeong-cheon-tang), CPT (Cheong-pye-tang) and CPK (Cheong-pye-tang- ga-kwandonghwa) will affect both the levels of serum GOT, GPT,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in SD rats or not, and will change body weight of the rats. Materials and Methods 18 SD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 including a control group (vehicle 2 ml/rat), Farfarae flos water extract (extract 2 ml/rat), Farfarae flos fine powder (emulsion 2 ml/rat), JCT (extract 2 ml/rat), CPT (extract 2 ml/rat) and CPK (extract 2 ml/rat) group. The drugs were administered to rats for 2 weeks or 30 days (for control and Farfarae flos fine powder group only) and serum GOT/GPT activities and BUN/creatin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lso, the changes of body weights of each rat was measured. Results (1) Farfarae flos water extract, Farfarae flos fine powder emulsion, JCT and CPT and CPK did not cause any changes in serum GOT/GPT activities and BUN/creatinin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ones in control group. (2)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in rats' body weigh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onclusions Contrary to the reports on human data, 2 weeks or 30 days of oral administrations of Farfarae flos itself and decoctions containing Farfarae flos did not provoke hepa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박하의 in vivo 생리활성 (In vivo Physiological Activity of Mentha viridis L. and Mentha piperita L.)

  • 이승은;한희선;장인복;김금숙;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61-267
    • /
    • 2005
  • M. viridis와 M. piperita의 흰쥐에서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DH 활성은 M. viridis ext. 1g/kg body weight of rat/day 투여군 (이하 M. viridis ex. 1 g 투여군)과 M. piperita ext. 0.2g/kg body weight of rat/day 투여군 (이하 M. piperita ext. 0.2g 투여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147% 및 144% 증가하여 양성대조물질인 Silymarin 투여군 (95%)보다 매우 효과적으로 알콜의 빠른 분해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ALDH활성은 M. viridis ext. 1g 투여군과 M. piperita ext. 0.2g 투여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154%, 158%의 활성증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Silymarin 투여군 (153%)보다 높은 활성으로 2종의 박하가 모두 효과적으로 알콜을 분해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CAT 활성은 M. viridis ext. 투여군이 M. piperita ext. 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M. viridis ext. 투여군은 정상군이나 음성대조군 및 Silymarin 투여군보다도 활성이 높아 M. viridis ext. 투여군이 CAT에 의한 알콜분해에 있어서 M. piperita ext. 투여군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 Mn-SOD 활성은 M. viridis ext. 0.2g 및 1g 투여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69% 및 75%를, M. piperita ext. 0.2g 및 1g 투여군은 각각 94% 및 86%를 나타내어 M. viridis ext. 투여군이 M. piperita ext. 투여군보다도 알콜투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M. viridis ext. 투여군은 SiIymarin 투여군(84%)보다도 MN-SOD의 활성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5. GSH-px의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M. viridis ext. 0.2g 및 1g 투여군이 각각 81% 및 88%를, M. piperia ext. 0.2g 및 1g 투여군이 88% 및 67%를 나타내 알콜에 의해 유도된 GSH-px의 활성증가를 2종의 박하 모두 효과적으로 회복시켜주었다. 6. 혈청 GPT의 활성은 음성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 (126%)하였으나 M. viridis와 M. piperita 투여군은 음성대조군이 나타낸 활성에 대해 $69%{\sim}72%$의 활성을 나타내 우수한 GPT활성 회복력을 가졌으며 이는 Silymarin(93%) 보다도 우수하였다. 2종의 박하 추출물 투여군들 사이에는 혈청 GPT 활성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과산화물질 (TBARS)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에서 약간의 함량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으며 대부분의 박하 추출물 투여군과 Silymarin 투여군에서 과산화지질이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박하는 알콜에 의한 과간화지질생성에 대한 저해효과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8. 상대간장중량은 각 실험군별로 상대간장중량에서의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