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T

검색결과 1,270건 처리시간 0.024초

The Effect of ChatGPT Factors & Innovativeness on Switching Intention : Using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 Hee-Young CHO;Hoe-Chang YANG;Byoung-Jo HW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8호
    • /
    • pp.83-9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Credibility, Usability) and user Innovativeness of the ChatGPT on 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Switching Intention. TRA and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DT) were us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rom April 26 to 27, 2023, an online panel survey agency was commissioned to conduct a survey of GhatGPT users in their 20s and 40s in Korea, and a total of 210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Results: First, ChatGPT factors (Credibility, Usabili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RA (Subjective Norm, Attitude). Second, ChatGPT user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RA (Subjective Norm, Attitude). Third, ChatGPT users' TRA (Subjective Norm, Attitud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witching Inten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superior Usability and Credibility of ChatGPT and the Innovativeness of us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witching Intention from existing Portal Service (Naver, Google, Daum, etc.) to ChatGPT.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should strive to develop various services such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functions so that innovative users can use them easily and conveniently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hat meet expectations.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Use of ChatGPT in Public Design Policy Decision-Making)

  • 손동주;윤명한
    • 서비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72-189
    • /
    • 2023
  •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인 ChatGPT가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공공디자인 가진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의 원리와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한다. 공공디자인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일반 현황, 인구 현황, 인프라 현황, 자원 현황, 안전 현황, 정책 현황, 법규 현황, 경관 현황, 공간 현황, 공공디자인 현황, 지역 이슈 등 방대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은 방대한 자료와 더불어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연구 분야다.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고려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이 공공디자인 정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원칙, 그리고 정책 개발과 실행에 대한 역할을 검토하고, ChatGPT의 개요 및 특징, 적용 사례나 ChatGPT의 선행 연구를 살펴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ChatGPT는 공공디자인 정책 수립과정에서 방대한 언어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의 지원 역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ChatGPT는 정책 수립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데 유용함이 있었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 개발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추세라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하지만, ChatGPT의 활용에는 윤리적, 법적, 개인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 또한 발견되었다. 무엇보다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편향성과 공정성 관련 문제 또한 나타났다. ChatGPT를 공공디자인의 정책 결정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려면, 첫째, 정책 개발자와 공공디자인 전문가의 역량을 일정부분 키워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가칭 '인공지능 정책 활용에 관한 조례'라는 법령(法令)을 마련해 법률(法律)적 정비가 이뤄지기 전까지 지속해서 보완해가면서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방안을 적용해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의 활용은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분야에서는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Reddit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ChatGPT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Sentiments and Needs for ChatGPT through Social Media on Reddit)

  • 나혜인;이병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79-92
    • /
    • 2024
  • ChatGPT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챗봇으로서 과학기술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산업, 문화 등 당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소셜미디어 레딧(Reddit)을 활용해 ChatGPT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과 요구에 대한 탐색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2022년 12월부터 2023년 8월까지의 댓글 10,796건을 수집하여 키워드 분석, 감성 분석, 니드마이닝(Needmining)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ChatGPT에 대한 댓글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는 "time"으로 답변의 신속성, 시간 효율성, 생산성 향상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은 ChatGPT에 대해 신뢰와 기대의 감정과 동시에 사회적 영향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잠재적 니즈(Needs)를 포함한 1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고, 사용자들이 특히 ChatGPT에 대한 교육적 활용과 사회적 영향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ChatGPT와 관련된 언어모델, 직업, 정보, 의료, 서비스, 게임, 규제, 에너지,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향후 실행계획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ChatGPT를 이용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고, 새로운 서비스 플랫폼 기획 단계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외인성 Estrogen에 노출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혈장 VTG과 GPT의 변화 (Changes of Plasma Vitellogenin (VTG)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the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Exposed to Exogenous Estrogen)

  • 황운기;강주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3호
    • /
    • pp.239-243
    • /
    • 2002
  • Changes of plasma vitellogenin (VTG)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were examined for determining whether hepatocyte was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VTG induction in the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exposed to exogenous estrogen (estradiol-l7$\beta$, E$_2$). Rockfishe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E$_2$(5 mg/kg B.W.) in 70% ethanol and plasma sampling were extracted at 0, 1, 3, 6, 9, 12, 15 days af-ter E$_2$administration. VTG and GPT were then analyzed by SDS -PAGE and Reitman -Frankel method, respectively. VTG band was detected at a molecular weight position of 175 kDa on Day 3 after E$_2$administration. This band became more distinct at 6 days, but its was gradually thinned with time -course, and not detected at 15 days. GPT was suddenly increased at 1 days after 22 administration and highest GPT was detected at 3 days. However. GPT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course as the change of VT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cess of VTG induction by exogenous E$_2$damage to hepatocyte, and plasma GPT was temporarily increased in the juvenile rockfish.

사용자 신뢰와 의인화가 ChatGPT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ser Trust and Anthropomorphism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ChatGPT)

  • 장지영;서창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3권1호
    • /
    • pp.91-114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continuous intention to use ChatGPT based on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ECM). Drawing from the literature, this study identifies anthropomorphism and trust as key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AI and ChatGP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CM and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nthropomorphism and trust on continuous intention of using ChatGPT.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 a total of 1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rtPLS 4.0. Findings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all proposed hypotheses were supported, suggesting that the ECM is a valid framework for examining continuous intention of using ChatGPT. Moreover, the study stressed the crucial role of anthropomorphism in the model, showing the positive impact on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trust in ChatGPT. Also, trust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serving as a foundation for development strategies for ChatGPT and similar AI-based systems.

ChatGPT의 수학적 성능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Analyzing Mathematical Performances of ChatGPT: Focusing on the Solution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권오남;오세준;윤정은;이경원;신병철;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233-256
    • /
    • 2023
  • 이 연구는 수학교육에서의 ChatGPT의 활용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에 대한 ChatGPT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ChatGPT는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로서 여러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으며, 교육계에서도 ChatGPT 활용 방안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3개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에 대한 ChatGPT 3.5의 응답에 대해서 정답률, 풀이 과정의 정확도, 오류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ChatGPT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제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의 정답률은 각각 37.1%, 15.97%로 나타났다. ChatGPT의 풀이 과정의 정확도는 5점 만점으로 산출하였을 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3.44점,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49점으로 산출되었다. ChatGPT의 수학 문제를 풀이하는 데 나타나는 오류 유형은 절차적 오류와 기능적 오류로 나뉘었다. 절차적 오류는 다음 단계로의 식을 연결 짓는 과정이나 계산상의 오류를 가리키며, 기능적 오류는 ChatGPT가 텍스트를 인식, 판단, 출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였다. 이러한 분석은 정답률만이 ChatGPT의 수학적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되며, 풀이 과정의 정확도나 오류유형까지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ChatGPT는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까? (Can ChatGPT Pass the National Korean Occupational Therapy Licensure Examination?)

  • 홍준화;김나연;민혜민;양하민;이시현;최서진;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65-74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에 기반한 인공지능인 ChatGPT가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통과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제공하는 2018년부터 2022년도까지의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 문항 중 공개되지 않은 작업치료실기 문항을 제외하고 작업치료학기초, 의료관계법규, 작업치료학 문항을 활용하였다. 시험문항과 함께 가장 적절한 정답을 제시하도록 프롬프트를 영어로 구성하였고 이를 입력한 후 ChatGPT가 제시하는 답을 채점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전체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2명의 연구자 채점한 정확도를 평균으로 5개년도의 시험에 대한 합격 여부를 확인하였고 연구자 간 ChatGPT 답에 대한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ChatGPT는 2020년에서만 합격하였고 나머지 4개년도 시험은 탈락권 점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의료관계법규 문항의 정확도는 25~57% 범위를 보였고 다른 문항의 정확도는 모두 60% 이상을 기록하였다. 또한 의료관계법규 문항을 제외한 연구자 간 ChatGPT는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이는 정확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언어나 문화권에 영향을 받는 문항의 경우 아직 ChatGPT를 적용하는 데 제한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프롬프트의 최적화 작업과 함께 지속적인 데이터의 학습에 따라 작업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학습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hatGPT, 생성형 AI 시대 도서관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Literacy Education in the Library of the Chat GPT, Generative AI Era)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03-32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시대를 맞아 이와 같은 언어모델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도서관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구성요소를 고민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ChatGPT 유사 언어모델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적합한, 정확한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이용자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마지막으로 ChatGPT 시대 도서관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이해, 데이터 생성,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증, 데이터 관리, 데이터 이용 및 공유, 데이터 윤리와 같은 7개 구성항목을 포함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이용자의 정보 활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예상되는 만큼 도서관은 이러한 기술의 장단점, 문제점 등에 대해 한발 먼저 고민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한층 개선할 수 있는 토대로 삼아야 할 것을 강조하며 마무리했다.

Structure-Based Insight on the Mechanism of N-Glycosylation Inhibition by Tunicamycin

  • Danbi Yoon;Ju Heun Moon;Anna Cho;Hyejoon Boo;Jeong Seok Cha;Yoonji Lee;Jiho Y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6호
    • /
    • pp.337-344
    • /
    • 2023
  • N-glycosylation, a common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is widely acknowledg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tein stability and folding. N-glycosylation is a complex process that occur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multiple enzymes. GlcNAc-1-P-transferase (GPT) is essential for initiating N-glycosylation in the ER. Tunicamycin is a natural product that inhibits N-glycosylation and produces ER stress, and thus it is utilized in research.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GPT triggers N-glycosylation is discussed in this review based on the GPT structur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GPT-tunicamycin complex, we also discuss how tunicamycin reduces GPT activity, which prevents N-glycosylation. This review will be highl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GPT in the N-glycosylation of proteins, as well as presents a potential for considering tunicamycin as an antibiotic treatment.

ChatGPT 를 이용한 독해 튜터링 대화 데이터 확장 (Data Augmentation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utoring Dialogs using ChatGPT)

  • 권현유;최승권;황금하;권오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44
    • /
    • 2023
  • 대화형 독해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학생주도 대화 데이터셋 생성 및 확장에 ChatGPT 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단순히 수동으로만 구축한 기존의 데이터셋과 ChatGPT 에 의해 반자동으로 확장된 데이터셋을 비교한 결과, 구축량, 소요 시간, 비용 및 반복 작업 측면에서 ChatGPT 가 가진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형별 배분의 편중과, 부적절한 데이터 생성 등의 한계도 나타났다. Chat GPT 의 빠른 발전이 예상됨에 따라 대화형 튜터링 분야에 ChatGPT 에 의한 반자동 데이터 확장 방법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