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S Data

검색결과 1,974건 처리시간 0.031초

데이터 사전처리에 의한 GPS 성능 개선 알고리즘 (Algorithm for Improving GPS Performance by Data Pre-processing)

  • 이재훈;홍원철;김현수;전창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752-758
    • /
    • 2006
  • A GPS receiver provides much information such as calculated position, speed, heading, status of satellites, current time errors, etc. It is well-known that GPS signals from GPS receiver mounted on moving vehicle are often distorted, contaminated by various noises, and blocked by tunnel or tall buildings. The phenomenon often obstructs correct navigation especially when a vehicle keeps stopping or is moving in low speed. Therefore it is needed to pre-process the signals to adapt it to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an algorithm to pre-process the signals is proposed. For this, GPS data obtaining from uNAV GPS receiver are analyzed and classified based on dynamic characteristic. Then,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the data and some test results are shown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algorithm.

CORS를 이용한 Single RTK-GPS 정확도 검증 (The Verification of Precision of Single RTK-GPS using CORS)

  • 박운용;이동락;이인수;배경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9-35
    • /
    • 2004
  • GPS 측량에서 GPS 상시관측소의 폭넓은 이용성과 높은 정확도로 인해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RINEX FORMAT 형태로 인터넷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GPS 상시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삼각점과 GPS 상시관측소를 이용해 관측망(network)을 형성하여 임의 기준점의 성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기준점을 고정국으로 하여 RTK GPS 측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향후, 이 방식을 이용하여 측량 작업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VRS-GPS측량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웹 기반 GPS 자료처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b-Based GPS Data Processing System)

  • 최우영;권재현;염재홍;이용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92
    • /
    • 2003
  • 웹 기반 GPS 자료처리 시스템의 프로토콜을 개발 하였다. 다양한 사용자가 획득한 GPS 자료를 웹을 통하여 전송하고 또한 결과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이기종(different operating system)의 클라이언트를 보유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GPS 자료를 수신 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 처리 컴포넌트로 자료를 처리하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전형적인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새로운 알고리즘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비 동기 방식의 자료 처리로 인하여 효과적인 다중 접속의 운용과 높은 사용자의 유연성을 구현하였다. 효율적인 GPS 자료의 관리 및 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도 함께 개발 되어 향후 상시 관측소등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자료처리 모듈은 코드를 이용한 절대 및 상대측위가 완성되었으며, 향후 사용자 자료의 질적조정, 반송파를 이용한 자료 처리 등의 다양한 자료처리 모듈이 포함될 예정이다.

  • PDF

Long-term variation of total electron contents over Daejeon measured from Global Positioning System between 2000 and 2010

  • Lee, Chi-Na;Chung, Jong-Kyun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0권1호
    • /
    • pp.27.1-27.1
    • /
    • 2011
  • This study is about the ionospheric var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GPS TEC data from Daejeon IGS GPS site. It has accumulated the 11 years GPS data from 2000. In this work, the hourly and daily averaged TEC data are used. Data period covers a full solar cycle from 2000 to 2010 (11 years) which the total observed days are 98%. The mean TEC data shows the annual/semiannual variation, solar cycle and 27 days. GPS TEC has a good correlation with solar F10.7 index. We also compare with planetary Kp and AE indices. The maximum of the daily mean GPS TEC is around 50 TECU at 2000 and that value of 2009 is near 10 TECU. we confirms that the GPS TEC is a good indicator for ionospheric variation for the mid-latitudinal region to understand the ionospheric climatology over Korea Peninsula.

  • PDF

Design of a machine learning based mobile application with GPS, mobile sensors, public GIS: real time prediction on personal daily routes

  • Shin, Hyun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27-39
    • /
    • 2018
  • Sinc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has been included in mobile devices (e.g., for car navigation, in smartphones, and in smart watches), the impact of personal GPS log data on daily life has been unprecedented. For example, such log data have been used to solve public problems, such as mass transit traffic patterns, finding optimum travelers' routes, and determining prospective business zones. However, a real-time analysis technique for GPS log data has been unattainable due to theoretical limitations. We introduced a machine learning model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 In this paper presents a new, three-stage real-time prediction model for a person's daily route activity. In the first stage, a machine learning-based clustering algorithm is adopted for place detection. The training data set was a personal GPS tracking history. In the second stage, prediction of a new person's transient mode is studied. In the third stage, to represent the person's activity on those daily routes, inference rules are applied.

VLBI Type Experimental Observation of GPS

  • Kwak, Young-Hee;Kondo, Tetsuro;Amagai, Jun;Gotoh, Tadahiro;Sasao, Tetsuo;Cho, Jung-Ho;Kim, Tu-Hwa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173-180
    • /
    • 2010
  • As a preparatory study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GPS-VLBI) hybrid system, we examined if VLBI type observation of the GPS signal is realizable through a test experiment. The test experiment was performed between Kashima and Koganei, Japan, with 110 km baseline. The GPS L1 and L2 signals were received by commercial GPS antennas, down-converted to video-band signals by specially developed GPS down converters, and then sampled by VLBI samplers. The sampled GPS data were recorded as ordinary VLBI data by VLBI recorders. The sampling frequency was 64 MHz and the observation time was 1 minute. The recorded data were correlated by a VLBI correlator. From correlation results, we simultaneously obtained correlation fringes from all 8 satellites above a cut-off elevation which was set to 15 degree. 87.5% of L1 fringes and 12.5% of L2 fringes acquired the Signal to Noise Ratios which are sufficient to achieve the group delay precision of 0.1nsec that is typical in current geodetic VLBI. This result shows that VLBI type observation of GPS satellites will be readily realized in future GPS-VLBI hybrid system.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 표고좌표 결정 (Determination of Practical Orthometric Height for Permanent GPS Station)

  • 윤홍식;황학;송동섭;황진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9-307
    • /
    • 2007
  • 본 연구는 GPS 상시관측점을 이용한 간접수준측량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 작업인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표고 계산에 관한 것이다. 직접수준측량과 GPS 간접수준측량, 그리고 중력측량 결과들을 조합하여 GPS 상시관측점의 안테나 참조점에 대한 표고좌표를 정밀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수준점 성과의 정밀도와 측량작업의 정밀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기대오차를 예측하고, 실제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이용하여 검정함으로써,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DETERMINATION OF GPS HEIGHT WITH INCORPORATION OF USING SURFACE METEOROLOGICAL MEASUREMENTS

  • Wang, Chuan-Sheng;Liou, Yuei-An;Yeh, Ta-K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13-316
    • /
    • 2008
  • Although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and used widely, it is still limited due to errors from sources such as the ionospheric effect, orbital uncertainty, antenna phase center variation, signal multipath and tropospheric influence. This investigation addresses the tropospheric effect on GPS height determination. Data obtained from GPS receivers and co-located surface meteorological instruments in 2003 are adopted in this stud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MOl), Taiwan, established these GPS receivers as continuous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Two different approaches, parameter estimation and external correction, are utilized to correct the zenith tropospheric delay (ZTD) by applying the surface meteorological measurements (SMM) data. Yet, incorrect pressure measurement leads to very poor accuracy. The GPS height can be affected by a few meters, and the root-mean-square (rms) of the daily solution ranges from a few millimeters to centimeters, no matter what the approach adopted. The effect is least obvious when using SMM data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approach, but the constant corrections of the GPS height occur more often at higher altitudes. As for the external correction approach, the Saastamoinen model with SMM data makes the repeatability of the GPS height maintained at few centimeters, while the rms of the daily solution displays an improvement of about 2-3 mm.

  • PDF

RTK GPS 측량에 의한 3차원 지형 해석 (Analysis of 3 Dimension Topography by Real-Time Kinematic GPS Surveying)

  • 신상철;서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309-32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동적 GPS 측량의 응용을 위해 우선 전국에 분포된 상시관측점들의 공경기준계 성과를 도출하고, 후처리에 의한 연속 동적 GPS 방법과 실시간 동적 GPS 방법을 적용하여 육상과 해상지역에 대한 지형 해석을 시도하였다. 실시간 동적 GPS 측량을 위한 초기 조건과 관측 시간대를 고려한 다음, 후처리에 의한 연속 동적 GPS 측량과 실시간 동적 GPS 측량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의해 실시간으로 GPS 관측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결과값을 동시에 저장하고 controller를 통해 관측 당시의 위성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실시간으로 관측된 GPS관측값의 위치 정확도는 후처리에 의한 정확도와 같은 정도로 획득할 수 있었으며, 항만의 매립, 준설공사나 하천에서의 유사량 변화 탐지등에 매우 높은 정확도로 수치지형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고, 해안 지형의 특성해석에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ATLAB GUI 기반 GPS RINEX 관측 파일 생성 소프트웨어의 개발 (Development of MATLAB GUI Based Software for Generating GPS RINEX Observation File)

  • 김동욱;윤호;한덕화;장주영;기창돈;소형민;이기훈;장재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MATLAB GUI 기반으로 개발된 GPS RINEX 관측 파일 생성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소개한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두 가지 데이터 생성 모드를 기반으로 기준국 혹은 동적 사용자의 실제 GPS 측정치와 유사한 L1/L2 의사거리, L1/L2 반송파 위상, 도플러 측정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측정치 결과는 최종적으로 RINEX version 3.0 관측 파일로 출력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해 기준국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치 바이어스, 변화율, 잡음 수준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실제 GPS 측정치와 RMS 약 0.7 m 수준의 바이어스 오차를 갖는 GPS 측정치를 생성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