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PS/GLONASS 통합보정시스템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GPS/GLONASS 통합보정시스템의 측위정확도 성능분석

  • Seo, Gi-Yeol;Park, Sang-Hyeon;Jang, W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9-30
    • /
    • 2011
  • GNSS 시스템의 다원화에 따른 DGPS RSIM 기능도 DGNSS 체제로 기능적, 시스템적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세대 DGNSS RSIM 아키텍처를 미국 해양경비대(USCG) NAVCEN에서 제안하였는데, 이 차세대 DGPS RSIM 아키텍처의 기본 요구조건은 PC 플랫폼 기반의 신규 신호 및 기술에 대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 사용자 수신기와 기존 기준국 시스템과의 충분한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제시된 아키텍처는 DGPS RSIM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GNSS 다원화에 따른 DGNSS 기준국 기능 고도화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DGNSS RSIM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로서, 현재 운영 중인 GPS/GLONASS를 중심으로 보정정보 생성 및 그 측위정확도 성능분석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기 설계된 DGNSS 소프트웨어 RSIM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하고, 설계된 아키텍처와 통합보정정보 생성 및 처리 기법이 적용된 GPS/GLONASS 통합보정시스템을 구현하여, 향후 소프트웨어 DGNSS RSIM을 위한 측위정확도 측면에서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

  • Seo, Gi-Yeol;Jang, Won-Seok;Kim, Yeong-Gi;Seo,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41-342
    • /
    • 2012
  • 현재 운영 중인 DGPS RSIM은 서비스 측면에서 GPS 보정정보 만을 제공 하고 있으며, GLONASS 보정서비스는 아직까지 실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운영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국외 기술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DGPS 기준국 고도화와 기술적, 운영적 독립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으로서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에 대해 다룬다. DGNSS RSIM 국산화 기술개발 및 그 성능고도화를 위하여 GPS/GLONASS 보정서비스가 가능한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과 실제 기준국 환경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Ionospheric Delay Estimation for Multi-Constellation WA-DGN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ference Stations (기준국 수에 따른 다중 위성항법 광역보정시스템의 전리층 지연 추정 성능 분석)

  • Kim, Dong-Uk;Han, Deok-Hwa;Yun, Ho;Kee, Chang-Don;Seo, Seung-Woo;Park, Heung-W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8 no.4
    • /
    • pp.260-267
    • /
    • 2014
  •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Wide Area Differential GNSS (WA-DGNSS), estimation performance of ionospheric delay error which has a great impact on GPS error sources should be enhanced. This paper applied multi-constellation GNSS which represents GPS in USA, GLONASS in Russia, and Galileo in Europe to WA-DGNSS algorithm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of ionospheric delay estimation. Furthermore, we conducted simulation to analyze ionospheric delay estimation performance in Korean reg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ference stations. Consequently, using multi-constellation GNSS to improve performance of ionospheric delay estimation is more effective than increasing the number of reference stations in spite of similar number of measurements which are in use for estimation. We expect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for ionospheric delay estimation performance of single-frequency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user.

Conceptual Design of KASS Uplink Station (한국형 위성항법보강시스템(KASS) 위성통신국 기본 설계)

  • You, Moonhee;Sin, Cheon Si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4
    • /
    • pp.72-77
    • /
    • 2017
  • The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broadcasts to users integrity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uch as GPS and GLONASS using geostationary orbit (GEO) satellites.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ivilian Aeronautical Organization (ICAO) to introduce SBAS until 2025, a Korean SBAS system development / construction project is underway with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is a high precision GPS correction system which is composed of KASS Reference Station (KRS), KASS Processing Station (KPS), KASS Uplink Station (KUS), KASS Control Station (KCS) and GEO satellites. In this paper, we provided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KASS uplink station, which is composed of the Signal Generator Section (SGS) and the Radio-Frequency Section (RFS), and interface between the KASS ground sector and the GEO satell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