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P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28초

3GPP RLC 프로토콜의 검증 및 평가 테스트베드의 구축 (Implementation of 3GPP RLC Testbed for Protocol Verification and Evaluation)

  • 성정환;서효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8
    • /
    • 2013
  • 전송을 보장하는 연결 기반의 TCP 프로토콜은 비연결성의 UDP 프로토콜에 비하여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크다. 3GPP는 제한된 대역폭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통신 환경에서, 오버헤드가 적은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면서도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상위 계층인 RLC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단말 및 기지국을 개발하는 경우 3GPP 표준인 RLC 프로토콜을 구현하여야 하며, 상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검증 테스트를 통과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RLC 프로토콜을 시험하기 위한 검증 테스트 베드를 구현하였으며 하위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패킷 역전 및 손실을 모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구축한 테스트 베드를 RLC 프로토콜에 대한 시험 도구로 제안한다.

Can we estimate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on from leaf lifespan? A test in a young Fagus crenata forest

  • Koyama, Kohei;Kikuzawa, Kihachir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253-260
    • /
    • 2010
  •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that leaf longevity is linked to the carbon economy of plants. We used this relationship to predict leaf lifetime carbon gains from leaf lifespan, and estimated the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of a young deciduous forest of Japanese beech (Fagus crenata) located in central Japan. The light-saturated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eaves were measured repeatedly during the growing season. We used the leaf lifespan to calculate the conversion coefficient from the light-saturated photosynthetic rate into the realized leaf lifetime carbon gain under field conditions. The leaf turnover rate was estimated using litter traps. GPP was estimated as the product of lifetime carbon gain per unit of leaf mass, and the annual leaf turnover rate. The GPP of the forest in 2007 was estimated to be $1.2{\times}10^3gCm^{-2}y^{-1}$, which was within the range of previously reported GPP values of beech forests in Japan, and was close to the GPP of a European beech forest, as estimated by eddy flux measurements.

3GPP 시스템에서 OFDM 기술의 현황

  • 김학성;오민석;최진성
    • TTA 저널
    • /
    • 통권98호
    • /
    • pp.133-138
    • /
    • 2005
  • 3GPP WCDMA 시스템은 Rel-99 표준으로부터 시작하여 보완 개선 작업을 거쳐 현재 Rel-6 표준화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급변하는 통신시장환경에 적절히 대처하여 향후 제정되는 3GPP 표준 시스템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사업자들의 의견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를 만족시킬만한 표준을 얻기 위해 각 사업자 및 제조사 등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2004년 11월 토론토에서 3GPP Future Long-Term Evolution(LTE) Workshop을 개최하였다. 이 워크숍에서 여러 회사들로부터 물리계층에서 서비스 계층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안되었으며, 특히 물리계층에서는 OFDM 기반의 기술들이 큰 주목을 받았다. OFDM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3GPP에서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미 Rel6 표준화 작업과정에 OFDM 의 타당성 조사를 위한 작업(Feasibility Study)을 위해 OFDM Study Item(SI)가 존재하였었다[1]. 하지만 Rel6 시스템에 OFDM을 적용하려는 노력 중에 여러 사정으로 인해 표준화 실질 작업인 Work Item(WI)이 생성되지 못하고 현재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이다. 본 기고에서는 현재 중단된 OFDM 기술 연구에 대한 과거 진행 내역 및 현재 상황, 또한 향후 RAN LTE 표준화 과정에서 강력한 대안 기술로 지목 받는 이유와 각 회사의 제안 기술들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제1장은 OFDM 기술의 특징과 OFDM Study Item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들에 대해서 언급한다. 제2장은 향후 표준화가 진행될 LTE에 서 물리계층 후보 기술로서의 OFDM의 위치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3GPP 무결성 알고리즘 f9의 증명가능 안전성 (Provable Security of 3GPP Integrity Algorithm f9)

  • Hong, Do-won;Shin, Sang-Uk;Ryu, Heui-su;Chung, Kyo-Il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4호
    • /
    • pp.573-580
    • /
    • 2002
  • 3GPP의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의 보안 구조에는 표준 무결성 알고리즘 f9가 있다. f9는 비동기식(W-CDMA) IMT-2000의 무선 구간에서 데이터 무결성과 시그널링 데이터의 출처를 인증하기 위한 메시지 인증 코드(MAC)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블록 암호 KASUMI에 기반한 CBC-MAC의 변형이다. 이 논문은 f9의 증명 가능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기반이 되는 블록 암호가 유사 랜덤 순열이면 어떤 공격자에 대해서도 f9가 안전함을 증명한다.

광대역 부호분할다원접속(WCDMA) 이동통신 환경하에서 송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Open Loop Transmitter and Receiver Diversity in the Wide Band CDMA network)

  • 박상조;노용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01-211
    • /
    • 2006
  • 현재 이동통신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요구에 부합하고 한정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의 고속화가 가능하고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다루어지는 개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 중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기법 및 STTD를 기본으로 확장되어진 STTD-OTD, CL-STTD 그리고 4TX-STTD 들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그리고 각 기법에서 수신 다이버시티를 추가한 개루프 송신 및 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을 제안한다. 플랫 페이딩 채널 환경하에서 이들 기법들을 적용하여 모의 수치계산을 수행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PDF

Introducing the Latest 3GPP Specifications and their Potential for Future AMI Applications

  • Koumadi, Koudjo M.;Park, Byong-seok;Myoung, Nogil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2호
    • /
    • pp.245-251
    • /
    • 2016
  • Despite the exponential throughput improve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their ability to satisfy requirements of state-of-the-art and future applications of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is still under investigation. Challenges are mainly due to the inadequacy of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s to support large amounts of devices simultaneously, while the number of AMI end-devic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data transmission increase with new AMI-based applications. In this introductory survey, innovative and future AMI applications and their communication requirements are first reviewed. Then, we identify challenges of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in enabling future AMI applications. More importantly, the latest improvements to LTE-A standard release 12 and 13 a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regards to their pot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TE-enabled AMI. It is found that 3GPP enhancements o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standards will significantly enhance AMI communications. Beyond MTC specifications, non-MTC-specific enhancements such as carrier aggregation and multi-connectivity for user equipment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MI devices. The paper's focus is towards improved backhaul support for innovative and future AMI applications, beyond traditional automatic meter reading.

3GPP 규격 오류 정정 부호 기법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Analysis of Error Correction Codes for 3GPP Standard)

  • 신나나;이창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1-88
    • /
    • 2004
  • 3GPP 표준의 오류 정정 부호 기법 중의 하나로 채택된 turbo 부호는 그 성능이 Shannon이 제시하는 이론적 한계 값에 근사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계산상의 복잡함과 많은 메모리를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Log-MAP, Max-Log-MAP, SOVA, sliding window 알고리즘 등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turbo복호 알고리즘을 부동 소수점 연산과 고정 소수점 연산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을 때 성능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Log-MAP 알고리즘의 성능에 근사하는 효율적인 고정 소수점 구현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Log-MAP과 sliding window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3GPP 모뎀용 동기 추적회로의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 Noncoherent Code Tracking Loop for 3GPP MODEM)

  • 양연실;박형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2A호
    • /
    • pp.983-99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GPP 모뎀용 비동기식 동기추적회로(noncoherent code tracking loop)를 설계하고 설계된 회로의 정상상태 지터 분산(steady-state jitter variance)과 과도응답 특성(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itc)을 해석한다. 먼저, AWGN 환경에서의 지터 분산을 펄스성형 필터(pulse-shaping filter), 타이밍 오프셋(timing offset), 신호 대잡음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루우프 대역폭(loop bandwidth)에 대한 일반식으로 유도하고, 과도응답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한 가변 대역폭 동기추적회로를 설계하며 설계된 회로와 고정 대역폭 시스템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3GPP MTC 환경에서 그룹에 효율적인 보안 및 인증 기법 (An efficient security protocol for group in 3GPP MTC)

  • 홍성대;강성용;최대성;김승룡;최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03-606
    • /
    • 2013
  • Machine to Machine (M2M) 통신은 수 많은 장비들이 우리 주변환경의 정보를 감지하여 상호간에 주고받는 방법을 활용한다.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이러한 M2M 통신을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과 자가인식형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새로운 개념의 통신인 3GPP M2M 통신의 시스템 구조, 특징들과 이에 대한 3GPP의 연구방향 등에 대한 튜토리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M2M 통신에서의 특징들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의 보안상 위협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요구사항들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이러한 보안상 위협을 제거하는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룹 기반의 최적화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을 기반으로 bilinear pairing을 사용하여 인증을 진행하며, 통신 딜레이를 줄이고 네트워크의 중심 장비에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HSS(Home Subscriber Server)의 참여를 제한한 인증 및 키 동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연산 및 통신 오버헤드를 분석한다.

OFB 모드와 3GPP f8 암호화 모드의 안전성 (Security of OFB mode and 3GPP f8 encryption mode)

  • 신상욱;홍도원;강주성;이옥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6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블록 암호의 기본적인 동작 모드 중의 하나인 OFB 암호화 모드와 비동기식 IMT-2000의 무선 구간 메시지 암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3GPP f8 암호화 모드의 안전성을 분석한다. Left-or-right 안전성 개념을 적용하여 각각 랜덤 함수 모델과 랜덤 치환 모델에서의 안전성에 대한 하한과 상한을 증명하고, 또한 유사랜덤 함수 모델과 유사 랜덤 치환 모델에서의 안전성을 각각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