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NSS COR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동아시아지역의 GNSS CORS 지구관측 네트워크(EAREF) 구성에 관한 연구 (Configuration of GNSS CORS Network(EAREF) for Earth Observations in the East-Asia Region)

  • 이영진;정광호;이명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9-21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지역의 지각변동 경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GNSS CORS 기반의 최적 관측네트워크 구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태평양지역 IGS점을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GNSS CORS관측망을 시험적으로 구성하고 테스트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바, 최소 5점 또는 10점 이상의 기지점을 사용하여 기하학적으로 균등하게 배치하고 2,500km 이내의 기선장으로 구성하는 동아시아지역 관측네트워크(EAREF)가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시된 동아시아지역 관측네트워크를 적용하여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의 발생에 따른 위치변동을 해석한 결과 일본과 한국에서는 명백한 좌표이동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명백한 이동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 품질 및 관리규정 표준화에 관한 연구 (Standardization of Data Quality and Management Regulation for Korean CORS)

  • 황진상;김혁길;윤홍식;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5-25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 GNSS 상시관측소의 올바른 구축과 운영을 위해 결정되어야 할 다양한 규격들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NSS 상시관측소를 구성하는 구조와 장비 및 데이터 품질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 GNSS 상시관측소의 표준화 항목 중 데이터 품질평가 기준을 경험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경험적이고 통계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품질평가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 지구상에 분포된 다수의 GNSS 상시관측소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대한 품질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GNSS 데이터가 갖추어야 하는 품질기준을 시범적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각 품질평가 지수에 대한 방대한 크기의 표본을 형성하고, 각 표본의 분포를 고려하여 GNSS 상시관측소의 데이터 품질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기준과 권고기준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GNSS 상시관측소의 표준적이고 정밀한 데이터의 취득과 서비스 운영을 위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NSS 상시관측소 운영 현황 분석을 통한 위성측량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atellite Surveying Infrastructure through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of GNSS CORS)

  • 박준규;엄대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933-940
    • /
    • 2017
  • 현대 사회는 4차 산업혁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서 사람과 사물의 융합과 연결을 선도하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GNSS 상시관측소는 국가적인 인프라로써 공간정보의 기초가 되는 측량기준점, 지도제작 등과 이와 관련된 산업분야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위성측량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위성측량 인프라에 대한 고도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상시관측소 운영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위성측량 인프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와 IGS 상시관측소의 수신기, 제조사, 이용가능 위성군 등이 파악되었으며, 현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다중 위성군 이용 가능 상시관측소 비율이 IGS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중 위성군의 활용은 측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중 위성군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시관측소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위성측량 인프라의 고도화는 위성측량 서비스 및 관련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선된 측위성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측위 관련 기술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정밀 위치결정 서비스에 연계한 국가 GNSS 인프라 활용현황 분석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bout National GNSS Infrastructure Linked to Precise Positioning Service)

  • 박준규;정갑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01-408
    • /
    • 2017
  •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 및 항법 체계로 인공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말 GPS를 도입하였으며 항법 및 측량, GIS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및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995년부터 GNSS 측량의 실용화를 위해 위성기준점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RINEX 데이터 다운로드, VRS 등 위치결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측량 관련 분야에서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원활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위치결정 서비스에 연계한 국가 GNSS 인프라 활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위성기준점 관련 서비스 현황의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VRS 서비스의 이용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안정적인 위치결정 서비스 제공 및 측량 선진화를 위해 다양한 GNSS 위성군에 대한 서비스 제공, 데이터 센터의 서버 이중화를 통한 안정성 확보 등 서비스의 지속적인 고도화가 필요하다.

동아시아지역의 GNSS CORS 지구관측 네트워크(EAREF 2012.0) 좌표산정 연구 (Coordinates Computation of the EAREF 2012.0 for Earth Observations in the East-Asia Region)

  • 이영진;정광호;유인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2
    • /
    • 2013
  • EAREF(East-Asia Reference Frame)는 지각판이 비교적 안정된 유라시아 플레이트를 기초로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포괄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GNSS CORS 지구관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특정한 기준시점에서 좌표기준계를 관리하여 공간정보의 통합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인 2012년 1월 1일(2012.0) 기준시점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의 EAREF의 정밀좌표 산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데이터셋 구축에 대한 1차 연구에 이어 데이터 처리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실험을 거쳐 데이터 처리 방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GNSS 상시관측망 EAREF의 2012.0 기준시점에 대한 정밀좌표의 초기결과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EAREF의 2012.0 시점의 정밀좌표는 IGS해석센터의 주간해와 X, Y, Z방향에서 평균적으로 각각 0.004 m, 0.007 m, 0.009 m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향후 진행해야 할 EAREF 네트워크의 구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Determination of Algerian Weighted Mean Temperature Model for forthcoming GNSS Meteorology Application in Algeria

  • Song, Dong-Seob;Boutiouta, Seddi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2호
    • /
    • pp.615-622
    • /
    • 2012
  • Since the accuracy of precipitable/integrated water vapor estimates from GNSS measurements is proportional to the accuracy of water vapor Weighted Mean Temperature Model (WMTM), the WMTM is a significant formulation in the retrieval of precipitable water vapor from zenith wet delay of GNSS sign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vailable the WMTM to apply for GNSS meteorology in the region of Algeria, by using the Algerian radiosonde network in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vailable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which is retrieved by the developed Algerian Weighted Mean Temperature Equation (AWMTE) can be useful technique for sensing of water vapor in the Algeria, after Algerian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ystem (CORS) will be constructed.

다중 위성항법시스템 이용조건에 따른 위성측위 성능 분석 (Analysis of Positio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Multi-constellation GNSS)

  • 박준규;엄대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67-572
    • /
    • 2016
  • GPS의 도입과 함께 위성항법시스템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결정의 활용성이 충분히 제시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정확도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과 관련 국가 인프라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중 위성항법 시스템과 국토지리정보원의 위성기준점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험을 통해 측위성능 향상을 위한 위성측량 인프라 고도화의 방향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GPS, GLONASS 뿐만 아니라 Galileo, COMPASS, QZSS 등 다중 위성항법시스템이 측량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GPS와 GLONASS만을 이용한 VRS 서비스와 다중 위성항법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의 비교를 통해 가용 위성 수, 정밀도, PDOP 등 다중 위성항법시스템 활용에 대한 정량적인 개선점을 제시하고, 위성측량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향후 VRS에서 다중 위성항법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면 도심에서 GNSS 측량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 대민서비스 만족도를 크게 재고할 것이며, 측량 인프라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Design of the Realtime GNSS Surveying Software for Advanc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 Park, Joon Kyu;Jung, Kap Y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25-430
    • /
    • 2016
  • Currently, start of the operation US GPS, the Russian Glonass, European Galileo, the Chinese Compass satellites for positioning are celebrating a tru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eneration. Korea is building advanced infrastructure such as a national network consisting of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VRS service for real-time precise positioning and perform continuous upgrading. Howeve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requires many steps and high dependence on foreign software part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design of realtime GNSS surveying system. As a results, it has designed the surveying software that can effectively positioning realtime. Designed realtime surveying software can utilized in various fields.

GNSS 안테나 위상중심변동에 레이돔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adome Types on GNSS Antenna Phase Center Variation)

  • 윤성현;이흥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1
    • /
    • 2020
  • 본 연구는 위성기준점 안테나 보호를 위해 설치한 레이돔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 위상중심변동과 정밀 기선해석으로 추정한 동적 좌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위성기준점에 설치된 Trimble과 Leica 계열 안테나를 대상으로 레이돔 미설치(NONE)를 포함해 SCIS, SCIT, TZGD에 대한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s) 변동모형으로부터 위성 신호 입사 방향에 따른 위상중심 변동 보정량을 계산해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NONE을 기준으로 레이돔을 적용한 변동 보정량 차이는 수평 방향에서는 1mm 내외로 제한적이었지만 높이 방향은 수 밀리미터에서부터 최대 7mm까지 나타났다. 비교 대상 레이돔 중 SCIT가 높이 방향 위상중심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레이돔 미설치와 비교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1과 L2 신호의 보정량 차이 방향이 반대되는 특징을 보였다. 위성기준점 7개소 관측데이터의 기선해석에 각기 다른 레이돔 변동모형 적용으로 동적 좌표를 추정·비교한 결과 최근 위성기준점에 설치한 SCIS가 비교 대상 레이돔 중 가장 큰 영향인 평균 3.4mm 편의를 나타내었다. 반면, IGS 모형 비교에서 레이돔 미설치 대비 높이 방향에 가장 큰 보정량 차이를 나타낸 SCIT 모형은 타원체고 추정에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1.4mm 편의 경향을 보였다.

SmartBase를 활용한 Direct Georeferencing 기반의 외부표정요소 결정 (Decision Of EO Parameters Based On Direct Georeferencing Using SmartBase)

  • 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5-142
    • /
    • 2013
  • 최근 상시관측소와 네트워크 기반 RTK를 활용하여 GPS/INS를 해석하고 이를 통해 항공사진측량에 필요한 외부표정요소를 획득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함에 있어 지상기준국을 활용하는 방법과 상시관측소과 방송력 및 IGS 정밀력을 결합해 SmartBase를 이용하는 방법, 각각의 상시관측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지상기준국으로 계산한 성과를 기준으로 외부표정요소의 잔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SmartBase를 활용하여 외부표정요소를 획득한 경우는 상시관측소만을 활용한 경우보다 X, Y, K에서 더 높은 정확도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지상기준국을 중심으로 상시관측소의 거리와 방향이 외부표정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항공사진 코스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잔차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