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NSS

검색결과 964건 처리시간 0.033초

위성항법 기반 AGV의 안전성 향상 시험 (Safety Improvement Test of a GNSS-based AGV)

  • 강우용;이은성;한지애;허문범;남기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48-65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성항법 기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AGV(Autonomous Guided Vehicle)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항법 시스템을 구성하고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항법 신호에 급격한 오차를 감지하고 위성항법 신호가 단절된 경우에도 연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DR(Dead Reckoning) 항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주행 시험 결과 0.15m이상의 위성항법 오차를 감지할 수 있었으며 8초의 위성항법 신호 단절에서 약 1.5m 이내의 오차로 안정적인 주행을 확인할 수 있었다.

GNSS 신호 설계 동향조사 (Survey of Signal Design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 전종현;이정행;강정완;김선우;주정민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24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ignal design of six (USA, EU, Russia, China, Japan, and India) countries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Recently,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at is capable of high-precision and reliable 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PNT) services has been developed. Prior to system design, a survey of the signal design for other GNSS systems should precede to ensure compatibility and interoperability with other GNSS. The signal design includes carrier frequency, Pseudorandom Noise (PRN) code, modulation, navigation service, etc. Specifically, GNSS is allocated L1, L2, and L5 bands, with recent additions of the L6 and S bands. GNSS uses PRN code (such as Gold, Weil, etc) to distinguish satellites that transmit signals simultaneously on the same frequency band. For modulation, both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and Binary Offset Carrier (BOC) have been widely used to avoid collision in the frequency spectrum, and alternating BOCs are adopted to distinguish pilot and data components. Through the survey of other GNSS' signal designs, we provide insights for guiding the design of new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GNSS/INS 통합항법 시스템을 위한 범용 PC와 Off-The-Shelf 인터페이스 보드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설계 (Simulator Design Using a General Purpose PC and Off-The-Shelf Interface Boards for GNS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 손재훈;오상헌;황동환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3권1호
    • /
    • pp.93-102
    • /
    • 2024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provide highly accurate and reliable navigation solutions and are widely used as civil and military navigation systems. In order to facilitate the GNS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development task, a simulator can be used to provide inputs for the GNS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In this paper, a simulator design using general-purpose Personal Computer (PC) and Off-The-Shelf (OTS) interface boards for a GNS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is proposed and implementation results are presented. Requirements of the GNS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simulator are presented and a design method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is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design method, a simulator using a general-purpose PC and OTS interface boards for the GPS/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are implemented and verified. The implementation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or designed by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the GPS L1 C/A signal and IMU data without any problems.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 기술의 활용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GNSS/Geoid Technology in Determining Orthometric Height in Mountain)

  • 이석배;이근상;이민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7-65
    • /
    • 2017
  • 본 연구는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기술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지리산 일원에 테스트베드를 설정하고 GNSS관측을 실시하였으며 EGM2008, KNGeoid13,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여 39개의 수준점의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GNSS/Geoid기술에 의한 표고결정 정확도는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pm}7.1cm$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항공사진측량의 항공삼각측량에 필요한 지상의 표고기준점을 구할 때 도화축척 1/1000이하의 축척에는 사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NSS 자료처리 S/W에 따른 정확도 분석 (The GNSS Accuracy Analysis according to Data Processing S/W)

  • 이용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28-633
    • /
    • 2018
  • GNSS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장비에서부터 자료처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그 정확도가 달라진다. 이것은 GNSS에 의한 위치결정이 요구되는 정확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기준점 측량의 경우는 상대측위 방식으로 측량을 수행하게 되며, 기준점의 등급에 따라 관측시간과 자료처리 s/w가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술용 s/w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정확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어 기선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상업용 s/w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선 더 나을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NSS측량 데이터에 대해 학술용 s/w와 상업용 s/w를 이용 자료처리를 수행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평위치에서는 2cm 미만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높이 성과에 있어서는 5cm 미만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통합기준점 측량 규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오차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장기선이 아닌 중단기선에서는 상업용 s/w를 활용하여 GNSS 자료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지역항법 신호에 의한 위성항법수신기 간섭상쇄 성능영향 (Effect of Regional Navigation Signals upon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Capable GNSS Receiver Performance)

  • 이장용;장재규;안우근;서승우;이상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58-26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간섭상쇄 기능을 갖춘 지역전파항법 수신기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항법신호 획득성능을 분석하였다. GNSS 항법신호와 동일 주파수영역에 지역전파항법 신호를 사용하여 통합 항법을 수행할 경우 혼신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나, 이는 순차적 간섭신호상쇄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간섭상쇄 기술을 통해 어느 정도 극복 가능하다. 하지만 J/S(jamming-to-signal ratio)가 클 경우 잔여 신호와 GNSS신호와의 교차상관 특성에 의해 신호획득 시 잘못 된 검출결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논문은 Kasami코드를 사용할 경우 GNSS신호와의 혼신에 의한 신호획득 성능저하를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해 보았으며, 비교를 위해 GNSS Gold 코드의 신호획득 성능과 비교하였다.

효과적인 측량 성과물 작성 및 사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한 GNSS 현장 측량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NSS Field Survey System for Effective Creation of Survey Result and Enhancement of User Convenience)

  • 박준규;김민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0
    • /
    • 2017
  • 우리나라는 국가 위성기준점 망, 가상기준점 서비스 운영 등 실시간 정밀위치결정을 위한 선진화된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국가적 인프라 활용에 있어 취득된 공간정보를 가공하여 최종 성과물 도출까지는 많은 과정을 거쳐야하며, 이 과정에서 외산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GNSS 측위 데이터 및 현장 측량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실시간 정밀위치 결정과 효과적인 성과물 작성이 가능한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과 활용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현황측량을 수행하고 성과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측량시스템과 성과를 비교하여 개발된 GNSS 현장 측량시스템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실시간 측량에서 성과물의 생성까지 일련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외산 소프트웨어의 대체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측량업무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도심환경에서의 GNSS 기반 육상 이동체를 위한 짧은 지연 다중경로 감쇄 기법 (A Novel Short Delay Multipath Mitigation Algorithm for a GNSS based Land Vehicle in Urban Environment)

  • 임덕원;천세범;허문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57-565
    • /
    • 2018
  • 도심환경에서의 GNSS 항법을 위하여 짧은 지연 다중경로 감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GNSS 수신기가 육상 교통 이동체에 탑재되어 있다는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어느 위성에서 다중경로 신호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위성의 측정치를 제거하여 새로운 항법결과를 도출한다. 이때 검출 조건은 GNSS 수신기의 성능 등급과 이동체의 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다중경로 환경에서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GNSS 수신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다중경로 감쇄 기법과 제안한 기법을 함께 적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 가시위성이 5개 미만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측위 결과가 5 m 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울특별시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NTRIP 데이터 전송 및 Virtual RINEX의 활용 (A Study on Utilization of NTRIP Data Delivery and Virtual RINEX from Seoul Metro Government Network-RTK System)

  • 곽인선;남대현;권재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1-11
    • /
    • 2010
  • 서울특별시는 2009년 초 4개의 GNSS 고정 기준국을 설치하고 네트워크 RTK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운영 중에 있다. 현재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VRS 측위 서비스와 후처리를 위한 고정 기준국 RINEX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활용성 증대 방안을 검토하고, Virtual RINEX 실용성 검토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활용 다양화를 위한 검토는 1) GNSS 고정 기준국의 관측 데이터를 NTRIP을 통하여 타기관의 사용자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수신측 기관에서는 이를 RINEX 데이터로 변환 생성하는 방법, 2) GNSS를 이용하여 주요 장대 시설물의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또한 3) NTRIP을 이용한 GNSS Internet Radio로 VRS 보정 데이터를 네트워크 RTK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무선모뎀을 이용, 소규모 작업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하여 RTK측위를 실시하는 방법을 소개 하였다. Virtual RINEX 실용성검토를 위한 실험은 1) GNSS고정 기준국에서 관측한 기준국 데이터와 특정 지점에서 실제로 관측한 GNSS 관측 데이터로 후처리한 성과와 그 지점의 Virtual RINEX 데이터를 이동국 데이터로 한 후처리 성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2) 특정 지점에 대한 VRS RTK 측위 결과와 이동국 측위 지점에 대한 Virtual RINEX 데이터의 후처리 성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Virtual RINEX와 GPS 관측 성과는 거의 동일하여 향후 Virtual RINEX도 후처리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VRS RTK 측위 성과는 Virtual RINEX 후처리 성과와 수 mm 이내 차이를 보여 산출된 성과가 거의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럽의 Galileo 시스템을 이용한 GNSS 측위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GNSS Positioning using European Galileo System)

  • 배경호;허민;이용욱;이재원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7
    • /
    • 2006
  • After USA removed the Selective Availability(SA),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has monopolized tile world market and other countries have been depended on GPS, absolutely So the other countries, Russia, European Community(EC) and Japan, which apprehend to monopolize in technical and strategic parts, are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GNSS including GLONASS Galileo and JRANS. And the countries are planning to provide the another GNSS.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next generation GNSS system based on GPS and Galileo system with developing a GNSS simulation software, named as GIMS2005, which generates and analyzes satellite constellation and measurements. Based on the software, a variety of simulation tests have been carried out to recognize limits of GPS-only system and potential benefits of integrated GPS/Galileo positioning In terms of satellite geometry strength and solution accur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