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C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32초

적색육어류의 고도불포화지질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정제정어리유의 제조 (Utilization of Polyunsaturated Lipids in Red Muscled Fishes 3. The Conditions of Refining, Decoloring, and Deodorization for Processing of Refined Sardine Oil)

  • 이강호;정인학;서재수;정우진;육지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5-231
    • /
    • 1988
  • 정어리유의 고도불포화지질을 일상식생활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정제정어리건의 제조를 위한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어리유의 탄산은 알칼리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2M NaOH용액을 $0.5\%$ 과잉첨가하고 $30^{\circ}C$, 30분처리가 적조건이었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인산처리는 탈검에 효과가 없었다. 2. 탈색은 산성백토만을 기름의 $5\%$정도로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60^{\circ}C$ 20분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락적이었다. 3. 탈취는 수증기증류가 효과적이었으며 4torr 이하로 감압하면서 $18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200^{\circ}C$ 이상에서는 현저한 요오드가의 감소와 지방산조성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 PDF

Poly-N-acetyl-glucosamine이 당뇨병 쥐에서 창상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N-acetyl Glucosamine(pGlcNAc) Patch on Wound Healing in db/db Mouse)

  • 양호직;윤치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21-126
    • /
    • 2008
  • Purpose: Poly-N-acetyl glucosamine(PGlcNAc) nanofiber-based materials, produced by a marine microalga, have been characterized as effective hemostatic and angiogenic agents. The similarity between PGlcNAc patch and the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allows it to support new healthy tissue growth in an injured area and to encourage fluid absorption.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a poly-N-acetyl glucosamine fiber patch(PGlcNAc patch) may enhance wound healing in the db/db mouse. Methods: PGlcNAc patches were applied on one square centimeter, full-thickness, skin wounds in the db/db mouse model. Wounds(n=15 per group) were dressed with a PGlcNAc nanofiber patch for 1 hour(1 h), 24 hours(24 h) or left untreated(NT). After the application time, patches were removed and wounds were allowed to heal spontaneously. The rate of wound closure was evaluated by digital analysis of unclosed wound area in course of time. At day 10, wounds(n=7 per group) were harvested and quantif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arkers of proliferation(Ki-67) and vascularization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PECAM-1). Results: Wounds dressed with PGlcNAc patches for 1 hour closed faster than control wounds, reaching 90% closure in 16.6 days, nine days faster than untreated wounds. Granulation tissue showed higher levels of proliferation and vascularization following 1 h treatment than the 24 h and NT groups. In addition to its hemostatic properties, the PGlcNAc material also appears to accelerate wound closure in healing-impaired genetically diabetic mice. Conclusion: This material, with its combination of hemostatic and wound healing properties, has the potential to be effec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complicated wounds.

한국산(韓國産) 겨우살이류(類)의 당류(糖類)와 Triterpenoids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III) -한국산 참나무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Sieb.)의 수용성 다당류의 구조적 특성 - (Chemical Constituents of Saccharides and Triterpenoids in the Korean Native Mistletoes (III) - Structural Featur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Korean Oak Mistletoe(Loranthus yadoriki Sieb.) -)

  • 이수희;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28-36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sugar composition of polysaccharides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WSP) isolated from Korean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Sieb. The 48-hours ball-milled meals of extractive-free dried mistletoe sawdust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hrs{\times}2$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s poured into 95% ethyl alcohol to precipitate. The separated precipitate of WSP, in form of yellowish white powder by lyophilization, was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of WSP-1, WSP-2, WSP-3 and WSP-4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column. The sugar composition of WSPs was analyzed by GLC in form of their glycitol acetates, and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s WSP-1 and WSP-2 was determined by FT-IR and GC-MS after methylation through and acetylation. The sugars of WSPs from Korean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are majorly arabinose and galactose in stem, galactose in leaves very high in content and showed difference in composition and monomeric units between stems and leaves. D-galactose, D-glucose and L-arabinose are the simple sugars consisting of polysaccharides in WSP-1. ($1{\rightarrow}3$)-Linked galactan is the bakcbone with side chain of ($1{\rightarrow}5$)- -L-arabinofuranosyl residues and ($1{\rightarrow}6$)- -D-galactopyranosyl residues, and ($1{\rightarrow}4$)-linked glucan also presents. ($1{\rightarrow}4$)-Linked rhamnogalacturonan and ($1{\rightarrow}4$)- and ($1{\rightarrow}3$)-linked galactan present in WSP-2.

  • PDF

국산(國産) 마아가린중의 트란스산(酸) 함량 (Content of trans Fatty Acids in Korean Margarine)

  • 조영자;관야도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9-222
    • /
    • 1985
  • 한국산 가정용 마아가린을 1983년과 1984년 및 대만산을 각기 11종, 19종과 4종을 시정에서 구입하여 GLC로 분석하였다. 1983년 제품은 trans-octadenoic arid가 $6.2{\sim}35.5%$(평균 18%)이었고 t,t-octadecadienoic acid는 없었다. 트란스-지방산은 linoleic acid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1984년도의 마아가린은 1983년 제품에 비하여 트란스지방산 함량이 감소하는 대신에 linoleic acid는 증가하였다. P/S ratio는 1984년도의 연질형(軟質型)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한국산 마아가린은 일본산 마아가린보다 linoleic acid함량이 다소 작게 나타났다.

  • PDF

국내 및 국외 가정용 마아가린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대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Margarine for Home Use)

  • 최춘언;김혜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1-305
    • /
    • 1986
  • 국내(여름제품12종, 겨울제품12종) 및 국외(미국4종, 일본8종, 덴마크2종)외 가정용 마아가린의 지방산 조성(賠紡酸 組成)을 GLC에 의해 분석비교(分析比較)하여 보았다. 국내산 마아가린의 주요구성지방산(主要構成脂肪酸)은 palmitic acid(16 : 0). stearic acid(18 : 0). oleic acid(18 : 1). linoleic acid(18 : 2), linolenic acid(18 : 3)로 외국산과 같았으며, P/S비는 겨울제품이 $0.40{\sim}1.74$, 여름제품이 $0.21{\sim}1.82$로 겨울제품의 부포화도(不胞和度)가 여름제품보다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한편, 외국산 마아가린의 P/S비는 $0.82{\sim}2.91$ 이었고, 이 중(中) stick 형(型)과 soft형(型)의 P/S비는 각각 $0.82{\sim}2.59,\;0.90{\sim}2.67$로 비슷하였다. 특히, P/S비가 높은 마아가린은 PUFA형(型) 마아가린이었으며, 그 값은 2.91이었다. 국내마아가린이 외국산 마아가린에 비하여 P/S비가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외국산 마이가린의 P/S비에 상당하는 제품도 다수 있었다.

  • PDF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저장중의 변화 (Changes in Sugars Composition of Dried Lavers during Storage)

  • 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5-239
    • /
    • 1973
  •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이것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를 GLC 및 GC-MS에 의(依)하여 조사검토(調査檢討)하였다. 1. 마른김의 당류(糖類)로서 glucose, galactose, inositol 및 floridoside의 4종(種)을 동정(同定)하였으며, 이중(中) inositol만은 peak의 불안정(不安定)으로 정량(定量)을 보유(保留)하였다. 2. Gluc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나 저장중(中)에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galact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저장전(前)의 10배량이상(倍量以上)에 달(達)하였다가 다시 감소(減少)하는 변화(變化)를 보였다. 3. Floridosid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서서(徐徐)히 감소(減少)하는데 비(比)하여,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여 galactose와는 극히 대조적(對照的)인 변화(變化)를 보였다. 4. 미동정성분중(未同定成分中) mass spectrum으로 보아 isofloridoside라고 추정(推定)되는 성분(成分)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는 floridoside의 변화(變化)와 극히 유사(類似)하였다.

  • PDF

남해안 해조류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 최강주;최선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8-63
    • /
    • 2002
  • 우리나라 남해안 완도지역에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9종, 홍조류 5종, 녹조류 2종의 지질함량을을 조사하고 지방산조성을 GLC로 분석하였다. 총지질 함량을 볼 때 갈조류 9종은 0.58∼3.00%, 홍조류 5종은 0.47∼2.16%, 녹조류 2종은 0.55∼2.00%로 매우 낮았다. 지방산 성분중 생리적으로 의의가 큰 n-3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3), stearidonic (18:4), eicosapentaenoic(20:5) 및 docosahexaenoic (22:6), n-6계열 지방산은 linoleic(18:2), linolenic(18:3), eicosadienoic (20:2),eicosatrienoic(20:3) 및 arachidonic acid(20:4) 등이 각각 정량되었다. 총 n-3 및 n-6 지방산 조성을 보면 갈조류는 1.46∼25.67% 및 0∼48.51%, 홍조류는 1.17∼21.91% 및 0.28%∼29.35%, 녹조류는 3.67∼ 10.61% 및 4.1 ∼8.66%였다. 해조류는 갈조류, 홍조류 및 녹조류의 종류에 따라 n-3계열 불포화지방산과 n-6계열 지방산 함량 조성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영양학적긴 측면에서 볼 때 지충이, 톳유엽 및 실풀 외에도 광생이모자반, 뜸부기, 톱니모자반, 꼬불꼬시래기 등은 n-3 polyenes의 조성비율이 높은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ase from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 JUNG WOO JIN;KUK JU HEE;KIM KIL YONG;KIM TAE HWAN;PARK RO 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74-280
    • /
    • 2005
  • A chitinase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by protein precipitation, DEAE-Sephadex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chitinase was 54 kDa on SDS-PAGE and activity staining.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pH 5.0 and 60$^{circ}$C, the presence of 10 ruM Ag$^{+}$ and Hg$^{2+}$ inhibited the activity by $92.1/%$ and $97.7/%$, and the K$_{m}$ and V$_{max}$ values were 1.12 mg chitin mrl and 1.48$\mu$mol GlcNAc min$^{-1}$, respectively. The enzyme hydrolyzed tetramer to dimer, pentamer to dimer and trimer, and hexamer to dimer, trimer and tetramer, indicating an endo-splitting mechanism. The chitinase had no hydrolytic activity toward dimer and trimer. The chitinase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Rhizoctonia solani, suggesting an antifungal property.

은행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Ginkgo biloba L.)

  • 남상진;김길웅;신동현;황선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1-430
    • /
    • 1997
  • 채취시기(採取時期)를 달리한 초록과 노란은행잎으로부터의 수용추출물(水溶抽出物)에 대한 벼, 피, 바랭이 및 상추의 제초활성검정(除草活性檢定)과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과 페놀성 물질(物質)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은행잎 수용(水溶) 추출물(抽出物)은 벼, 피, 바랭이, 상추의 발아(發芽)와 생육(生育)을 크게 억제(抑制)시켰으며, 특히 20% 수용추출액(水溶抽出液)인 경우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뛰어났다. 초록과 노란은행잎 수요 추출물간의 생리활성정도는 별 차이가 없었다. 2. 은행잎의 지방산(脂肪酸)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지방산(脂肪酸)이 검정(檢定)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Linolenic acid, Palmitic acid가 많이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또한 계절에 따라 은행잎에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이 다소 변화(變化)함을 알 수 있었다. 3. GLC로 phenolic acids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모든 fraction에서 Salicylic acid의 높은 비율(比率)을 관찰(觀察)할 수 있었으며, 또한 p-coumaric acid, phloroglucinol 등도 검정(檢定)되었다.

  • PDF

고추의 지질(脂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고추종자(種子)의 중성지질(中性脂質) (Investigation of Lipids in Hot Pepper I. Neutral Lipids of Hot Pepper Seeds)

  • 이강자;한재숙;이성우;박춘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95
    • /
    • 1975
  • 고추종자(種子)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TG 가 약(約) 75. 81%로서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으며 다음으로 Mg, DG 그리고 SE, FFA, S 가 존재(存在)하고 있음을 알았다. 또 TG 와 SE 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로는 TG 의 경우 linolenic acid 가 37. 6% 로서 주산(主酸)을 이루며 그 다음이 linoleic acid(27. 0%), palmitic acid (19. 5%)의 차례이고, SE 의 경우도 주산(主酸)인 linolenic acid 가 38. 1%로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almitic acid (22. 0%)와 linoleic acid (20. 9%)의 차례이며 그밖의 것은 매우 미량(微量) 존재(存在)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