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Accessibility Analysi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Research on the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Space Based on Road Network- A Case Study of the Park Green Space in City Proper of Nanjing

  • Fan, Yong;Zhao, Ming-yuan;Ma, Lin;Zhao, Lan-y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6
  •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space, as an important index of evaluating the service level of urban green space, not only shows the resident's access to green space, but also reflects the environment quality of urban living. Since the quantity, area and space distribution of the patches in urban green space directly affect the function of urban green space an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the research on the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space holds great significance to improve the service of urban green space and the living environment quality. Based on GIS software, this research uses the road network an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data of Nanjing's city proper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park green space and the convenience for residents to travel under different forms of transportation. After the case analysis, the author tests the application of road network in studying the accessibility of urban park green space and proposes a GIS-based method to study the accessibility and the rational layout of urban green space.

도로망 그래프의 우회도와 접근도 분석을 위한 GIS 응용 프로그램 개발 (Implementation of GIS-based Application Program for Circuity and Accessibility Analysis in Road Network Graph)

  • 이기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4-93
    • /
    • 2004
  • 최근 여러 전문 분야에서 GIS기반으로 구축된 다양한 공간주제정보의 활용 및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도로 관련 레이어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지리학적 분석이 가능한 GIS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행정 구역단위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분석 구역의 도로망으로부터 그래프 형의 망 구조에 대한 특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우회도(circuity)와 접근도(accessibility)의 산정이 가능하다. 우회도는 분석 구역으로 설정된 구역에 존재하는 노드의 지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하나의 바람직한 교통망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 도로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이 어느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며, 접근도는 우회도의 분석에 이용되는 같은 레이어 데이터인 그래프 망 구조에 대하여 망 구조에 포함된 모든 노드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노드 들간의 접근의 용이성을 나타내고자 하는 개념이다. ArcView 3.2a의 개발언어인 AvenueTM를 이용하여,AVX 형식의 extension으로 구현된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는 교통 데이터 모델에 기반하는 전문적인 교통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치지도로부터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도로 중심선 레이어와 행정 경계 레이어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처리 결과로 얻어진 우회도와 접근도는 교통 분야에서 GIS 적용을 위한 공간 분석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실내공간을 위한 기반 Syntax 접근성 분석 알고리즘 (Syntax-based Accessibility Analysis Algorithm for Indoor Spaces)

  • 김혜영;전철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6
    • /
    • 2007
  • 접근성은 주로2차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도시나 교통문제 등에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대규모 복합 건물들이 생겨나면서 접근성과 같은 계량적인 측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Space Syntax에서의 접근성 산출방법과 이를 3차원 공간 내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래 Space syntax는 거리나 시간과 같은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토폴로지 기반의 이론이지만,본 연구에서는 공간간 거리,층간 이동 등의 부하를 고려함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캠퍼스 건물모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Quantitative Indices for Urban Environment Analysis in the Consideration of Remote Sensed Imager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 Lee, Ki-Won;Oh, Se-K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28-230
    • /
    • 2003
  • In this study, uses of remote sensed imagery in urban environment analysis are represented with the actual processed results with newly implemented programs running under ESRI ArcView-GIS to extract secondary information about mainly urban transportation environment. Implemented programs are about Accessibility index and Connectivity index. Accessibility index and Connectivity index are composed of four types of different algorithms and three types of algorithms such as alpha, gamma, and shimmel index. As show applied examples, tried to find out how remotely sensed imageri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t actual processing in the direct or indirect ways in these algorithms.

  • PDF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PPLICATION OF GIS FOR EFFECTIVE DISTRIBU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

  • Yang Byung-Yun;Hwang Chul-Su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1-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an area having shorted emergence facilities and to determine optional candidate sites instead of vulnerable area by using GIS spatial analysis. Newly determined new candidate is performed by concern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for a public service. It was determined through using the analyzing of the physical accessibility measure, the Location-Allocation, sort of classic model in spatial statistics and general network analysis. The area of this research has been used in administrative boundary of Young-Dong in Gangneung including 13 emergency, medical hospitals, 46 fire-stations and sub-fire stations. In general terms, what all this show is that the way we are approached for geographical view from using GIS spatial analyzing technique of determined location and allocation problem by the social, economical, political factor and simple administrative discrimination at the meantime. At the same time, with problem occurred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ake an Effective proposal or means, policy, decision for new candidate location-allocation suggesting optimum model.

  • PDF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분포의 특성과 공급 불균형 양상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Disparities in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89-208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도서관 건립 시 지역 주민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과 지역 간 격차 완화,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IS 분석을 통해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공급 불균형 지역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산 지역 내 공공도서관 서비스 사각지역을 파악하고, 도서관 공급 양호 및 부족 지역 분석, 인구밀도에 근거한 공공도서관 공급 불균형 지역을 확인하여 도서관 건립을 위한 최우선 고려 지역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 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신규 입지 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Measuring Accessibility of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Seoul Using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 손정렬;오수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76-594
    • /
    • 2007
  • 본 연구는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서울특별시의 각 동별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지수를 산출, 비교 분석하여 향후 시설의 신설 또는 확장을 할 경우에 운영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지 후보지는 어디인지를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분포가 시설을 이용하리라 추정되는 노인인구의 분포를 반영하고 있지 못했고, 특히 강서구와 송파구 등 서울의 외곽경계지역에 해당하는 동들의 접근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운영정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들의 복지시설에의 접근성 향상이라는 대전제 하에서는 현재 노인주간보호시설로 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지역에서의 시설 설치가 요구된다. 둘째, 예산의 제약 등으로 추가적인 시설의 설치 없이 기존시설의 정원을 늘리는 정책을 전개할 경우 근접성이 높게 나타난 시설들의 규모를 우선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노인들이 좀 더 용이하고 빈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접근성이 중시되는 다른 노인재가시설들과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와 확대, 평가에 있어서도 본 접근성 분석 기법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이동에 제약이 많은 복지시설 이용자들의 복지권을 보장하는 한편 사회복지 자원 투자의 당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PDF

강원도 지역 가임기 여성의 분만서비스 접근성 분석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for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 최소영;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40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to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HCOs) providing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Methods: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road travel distance. Travel time and travel distance were measured between the location of HCOs and the centroid of the smallest administrative areas, eup, myeon, and dong in Gangwon-do. Korean Transport Database Center provided road network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in 2015 and it was used to build the network dataset. Two types of network analysis, service area analysis and origin-destination (OD)-cost matrix analysis, applied to the created network dataset. Service area analysis defined all-accessible areas that are within a specified time, and OD-cost matrix analysis measured the least-cost paths from the HCOs to the centroids. The visualization of the number of the HCOs and the number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on the Ganwon-do map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rcGIS ver. 10.0 (ESRI, Redlands, CA, USA). Results: Twenty HCOs were providing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in 2016. Over 50% of the women in childbearing age were aged more than 35 years. Service area analysis found that 89.56% of Gangwon-do area took less than 60 minutes to reach any types of HCOs. For tertiary hospitals, about 74.37% of Gangwon-do area took more than 60 minutes. Except Wonju-si and Hoengseong-gun, other regions took more than 60 minutes to reach the tertiary hospital. Especially, Goseong-gun, Donghae-si, Samcheok-si, Sokcho-si, Yanggu-gun, Cheorwon-gun, and Taebaek-si took more than 100 minutes to the tertiary hospital.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the accessibility toward the tertiary hospital was limited and it may cause problems in high-risk delivery patients such as over 35 years.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handle the obstetric accessibility issues in Gangwon-do.

GIS를 이용한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 - 강원도지역을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Using GIS in Gangwon-Do)

  • 박주현;박영용;이광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4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won-Do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Methodology: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To perform the network analysis, network data set was built using administrative district map, road network, address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After building network data set, Two network analysis methods, 1) Service area analysis, 2) Origin Destination cost matrix were applied. Service area analysis calculated accessive areas that were within specified time. And using Origin Destination cost matrix, travel time and road travel distance were calculated between centroids of Eup, Myeon, Dong and the nearest mental health institutions. Result: After the service area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19.63% of the total areas in Gangwon-Do takes more than 60 minutes to get to clinic institutions. For hospital institutions, 23.08% of the total areas takes more than 60 minutes to get there. And 59.96% of Gangwon-do takes more than 30 minutes to get to general hospitals. The result of Origin-Destination cost matrix showed that most Eup Myeon Dong in Gangwon-Do was connected to the institutions in Wonju-si, Chuncheon-si, Gangneung-si. And it showed that there were large regional variation in time and distance to reach the institutions. Impl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regional variation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Do.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policy interventions could be applied such as mental health resources allocation plan, telemedicine, providing more closely coordinated services between mental health institution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