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인력수요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Policy Direction of GIS Education (GIS 전문인력 양성실태 및 정책방향 연구)

  • Sakong, Ho-Sang;Im, J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4
    • /
    • pp.35-44
    • /
    • 2002
  • Although GIS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rapidly, the education system for GIS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has not been well facilitated in our society. Consequently, the economic value in GIS application system is not estimated properly in the public sector. On the other hand, industries currently suffer lack of technocrats or researchers to develop GIS. In addition, the demand for GIS education on its concept and know-how has increased drastically as GIS analytic technology has come to be applied to more varified field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GIS education in the public, private and academic sectors in Korea. Furthermore, it recommende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GIS experts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Most of all, the national investment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public, private and academic sectors.

  • PDF

A Demand Analysis of Locational, Morphological Information for Informative Construction Technology Based on u-GIS (u-GIS기반 건설정보화를 위한 위치, 형상 정보 수요 분석)

  • Jeong, Tae-Ung;Park, Jae-Seon;Kim, Jong-Hwa;Kim, Nam-Gyun;Gang, Nam-Gi;Pyeon, Mu-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78-282
    • /
    • 2008
  • U-국토 및 U-도시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해 정밀 국토공간정보의 수요가 점증하고 있고 보다 신속한 갱신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유비쿼터스 기술들과 융복합된 u-GIS기술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건설 분야에 있어서의 이러한 수요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건설공사 표준품셈 등을 이용하여 건설공사 공종/공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수요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u-GIS 기술을 필요로 하는 건설 현장에 위치/형상 정보 수요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건설 인력, 자재, 장비의 u-GIS 기술의 적용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 PDF

A Demand Analysis, Education and Training Strategic Plan for U-City Manpower (U-City 인력양성 수요분석 및 전략계획)

  • Jeong, Tae-Ung;Kim, Bok-Hwan;Gwak, In-Yeong;Gu, Ji-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72-27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의 인력양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자체의 개략적인 U-City의 사업비 규모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소요 인력을 예측하였으며.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의 증가율을 고려하여 개략적인 소요인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U-City 인력양성 정책의 방향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현재 국내의 U-City 사업관련 인력양성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u-City 건설을 위한 인력양성방안 수립연구)

  • Ahn, Jong-Wook;Lee, Jae-Yong;Shin, Dong-Bin;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89-2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인력수급 전망을 토대로 국토해양부의 u-City 관련 인력양성에 대한 실천계획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u-City를 추진하는 지자체, 개발사업자마다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문제점은 u-City 관련 고급 및 기능 인력의 절대적인 부족이다. 그러나 u-City 전문인력은 u-City건설의 특성상 도시계획 개발, 정보통신망, IT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하나 이러한 고급인력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력양성방안의 목표를 'u-City의 성공적인 추진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양성'으로 설정하였으며, 수요자 중심의 교육, 지역 균형적인 전문인력양성, u-City 관련 분야의 융 복합교육, u-City 관련 교육인프라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수립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의 추진목표 및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중점추진과제로는 'u-City건설 전문인력교육 관련 수요전망', '지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 'u-City 인력양성센터 건립추진', '교육포탈을 통한 온라인 교육', '교육인프라 구축' 등 5개를 선정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중점 추진과제들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수적이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Programs Using GIS -For Maintenance of Traffic Safety Devices- (GIS를 이용한 교통안전 프로그램 개발 -교통안전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 장덕명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52-360
    • /
    • 1998
  • 교통소통과 안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도 획일적인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 및 관리가 요구된다. 앞으로 교통안전시설물에 많은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며, 계속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등 여러 가지 교통여건을 감안하면, 교통안전시설물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갛살 것으로 예상된다. 지리정보시스템 (GIS)을 활용하게되면 급증하는 교통안전시설물의 조사 및 유지·관리업무를 제한된 인력과 예산으로 수행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선 GIS의 활용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또한 신설 및 교체수량의 정확한 예측 등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어 효율적인 예산을 집행할 수 있게된다.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 (GIS)을 이용하여 교통안전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특히 개발된 시스템은 실무담당자 활용에 편의를 도모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PDF

A Study on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을 위한 인력양성방안 현황 및 정책방향 연구)

  • Lee, Jae-Yong;Ahn, Jong-Wook;Shin, Dong-Bin;Kim, Jung-H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4
    • /
    • pp.67-75
    • /
    • 2008
  • This study is for the effectiv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to support the u-C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One of the biggest problems concerning u-City is the shortage of advanced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s. The characteristic of u-City makes u-City related human resources had knowledge of various fields including IT, GIS, construction engineering, urban planning and so on. But, there are only a few programs to train u-City related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objective of the training strategy for u-C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successful u-City constructions". To achieve this objective, four different core strategies are established like followings: (1) demander-oriented education, (2) regional balanced education, (3) integration education of u-City related subjects, (4) u-City related educ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se 4 different core strategies can be achieved from 5 sub projects like followings: (1) demand estimation of u-City human resources, (2) u-City education from selected regional core universities, (3) u-City education from u-City human resource education centers, (4) online education and (5) construction of education infrastructures. These 5 interrelated sub projects can be preconditions of the successful human resource strategy development.

  • PDF

Development of the software transforming a transportation analysis network from GIS (GIS로부터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 성낙문;조범철;이창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69-76
    • /
    • 2002
  • In conducting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base networks,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a simulation network. This research provides an algorithm to construct the simulation network from the digital transportation map which is constructed based on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The algorithm consists of three functions(extraction of networks from transportation digital map, transform of the derived network into one suitable to transportation simulation model, and inspection of errors in the network). The direct derivation of a simulation network from GIS enabl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an analysis related to a transportation facility investment as well as to reduce cost and time. In this research, Emme/2 which is generally accepted transportation planning fields is adapted for the target system. However, this algorithm will be extended to other simulation models such as Satong-Paldal which is the only transportation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Korea, and Tranplan in the nea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s of Geospatial Information Studies for the Cyber University (공간정보 분야의 원격대학 교육과정 개발)

  • Seo, Dong-Jo;Lee, Sung-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912-922
    • /
    • 2009
  • By 'National GIS Plan',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fields of geospatial information. The e-learning can make it possible to develop and manage the adaptable curriculum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practical exercises, and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systems with the industries. In this study, curriculums of the geospatial fields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for the cyber universities. These curriculum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advances, and into three tracks, syste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apping and geospatial data construction, and practice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current demands in geospatial industries. Owing to be the modularized structure, proposed curriculums would be easily adapted and updated to the change of the new demands.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Land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토지관련 업무의 정보화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 고준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1
    • /
    • pp.93-101
    • /
    • 2002
  • By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the more efficient use of land-related information, Land-related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spectively. The problems of the storage, maintenance and exchange of land-related data will be anticip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et the demands of governments and prevent the duplicate investment for the information system. The data sharing and standardization should be achieved for the more efficient land management. The theme of UN's sustainable land management and the future vision of cadastre according to Cadastre 2014 are thoroughly reviewed. The advanced foreign cases of LIS development are studied, too. Linkage among land-related data,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institution and the training for GIS specialists are suggested as the strategies for the more efficient land-related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Development of Rubber Sheeting System Considering the Change of Base Map (기초도면 변경에 따른 시설물 위치 자동보정 시스템 개발)

  • Lee, Bong-Jae;Geum, Bok-Hui;Jo, Seon-Gu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5 no.2
    • /
    • pp.273-282
    • /
    • 1999
  • 범국가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작업이 활성화되고 있는가운데 정부에서는 국가정보화 기반조성 차원에서 전국에 걸친 국가기본도 수치지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기본도는 설비관리용 GIS를 구축하려는 국내 각 수요기관에서 활용되어져 GIS DB구축작업이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가기본도에서는 각 기관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모든 설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세부적인 관리대상설비의 추가 입력작업이 필요하다. 설비정보 입력은 대체적으로 각 기관에서 자체 보유하고 있는 설비도면을 기준으로 수행되지만 국가기본도와 설비도 간에는 기초 도면에 다름에 따른 설비위치 상대오차가 발생된다. 국가기본도 사용을 전제할 때 이러한 문제점은 피할수 없는 현상이며, 상대위치를 보정시키면서 관리대상 설비를 입력하려면 많은 예산과 인력이 소요될것으로 예상된다. 배전설비관리 GIS를 구축하고자 하는 한전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기초도면 변경에 따른 설비위치 자동보정기법을 연구하여 이를 기반으로한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도 및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비위치의 기준이 되는 전력주를 대상으로 샘플지역을 선정하여 자동보정을 실시하였으며, 현장실사를 통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약 94.6%에 달하는 보정 결과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