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모듈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QAPEX Module using Open Source GIS (오픈 소스 기반의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QAPEX 모듈 개발)

  • Koo, Ja Young;Lee, Seo Ro;Choi, Soon Kun;Lim, Kyo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5-175
    • /
    • 2017
  •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 Model(APEX)는 전 농장 또는 소규모 유역 관리에 활용하고자 개발된 모형이다. APEX는 사용자들을 고려하고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윈도우 인터페이스 형태의 Win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으며, ArcGIS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다양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Arc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WinAPEX 모듈은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ArcGIS 프로그램은 유료의 라이센스라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APEX 모형을 GNU General Public License 기반의 Open Sour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인 Quantum GIS(QGIS)와 연계하여 QAPEX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QAPEX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의 QGIS 프로그램과 APEX 모형을 이용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QGIS는 사용자간의 정보 및 자료 공유에 용이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QAPEX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로 인해 원활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evelopment of HVF (Hnagul Vector Format) for Internet GIS (인터넷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HVF (Hnagul Vector Format)의 개발)

  • Moon, Jin-Yong;Koo, Yong-Wa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2
    • /
    • pp.321-327
    • /
    • 2000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is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data, and methods. Among the components, data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IS. In this paper, we describes HVF, the most recent technology pioneered by GIS researchers. HVF is a format for efficient usage of spatial object in order to express, save and transform in Internet GIS. Fist, we describe the definition of HVF syntax, then the implementation of Header Section Generation Module and Main Section Generation Module through the API. Second, we develop a spatial object converter for HVF to transform figures into data structures, which are compatible among different GIS ap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design and implement three units of modules, which are File Manipulation, HVF Import and HVF Export Module. Since the issues of network traffic and Hangul processing in Internet GIS are important, we expecially consider development of HVF in terms of spatial data size.

  • PDF

Development of a GIS Model for Projecting Eco-Friendly Forest Roads (GIS를 이용(利用)한 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 임도(林道) 노선(路線) 선정(選定)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 Lee, Byungdoo;Chung, J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9 no.3
    • /
    • pp.431-439
    • /
    • 2000
  • In this study, a GIS-application model to determine the optimal route of eco-friendly forest roads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features of the route was developed. The model consists of five modules for managing spatial and attribute data, determining the optimal route for forest road projection, evaluating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efficiency of forest road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mountain terrains and report-writing. Using the pull-down menu system, these modules were integrated to be user-friendly for forest field practitioners. Visual Basic 6.0 and Avenue were used as the programming tool and the commercial GIS softwares, ArcView 3.1, Spatial Analyst and 3-D Analyst were used as the basic engine of the model for GIS analysis. In this paper, discussed are the principles for forest road projection and evaluation and structures and application features of the model.

  • PDF

Development of drought inventory map service module for GIS based drought analysis (GIS 기반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 개발)

  • Lee, Sangmin;Shin, Yonghyeo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4-484
    • /
    • 2021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웹기반 가뭄아틀라스에 탑재되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은 GIS기반 가뭄상황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가공이 필요한 다양한 GIS 가뭄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가뭄 대응 업무 담당자가 공간에 기반한 가뭄분석 업무에 사용함을 주목적으로 해당 서비스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서비스 모듈은 JAVA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Geosever와 Openlayer를 적용하여 167개 시군을 대상으로 가뭄 관련 분석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이다. 지도 레이어별 가시화를 통한 중첩분석이 가능하며, 사용자 필요 시 해당 분석지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였다. 상세 제공 정보로는 가뭄 분석을 위한 면적정보와 통계정보로 이원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별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지역별 차트정보와 속성DB 테이블을 같이 지도화면에 표출한다. 주요기능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창을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체크하면 가뭄아틀라스 지도화면에 가시화된다. 체크된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테이블정보 표출과 자료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 모듈의 관리 및 사용 방법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데이터를 GIS 데이터셋화하여 Geoserver에 로딩하며, 로딩된 지도데이터는 WMS(web tilemap service) 포맷으로 변환한 뒤, 각각의 분석지도가 가지고 있는 속성DB정보를 고려해 지도 스타일을 적용하였다. 웹 브라우저 표출방법으로는 Openlayer 기반으로 GeoWebCache를 생성해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웹기반 가뭄아틀라스 상에 표출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rface Modules Between NGIS Map and TRANPLAN Based on GIS (GIS를 활용한 국가수치기본도와 TRANPLAN간의 연계시스템 개발)

  • Kim, Si-Gon;Kim, Hwang-Ba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221-227
    • /
    • 2000
  • 국가지리 정보체계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기본계획 하에서 국가수치기본도가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부문에 GIS의 활용이 미흡하다. 그 이유는 기존 교통관련 S/W가 교통GIS DB를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NGIS에 기초한 교통GIS DB의 이용활성화의 일환으로 교통GIS DB와 기존 교통계획S/W와 상호 Interface할 수 있는 전환 모듈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GIS S/W를 활용하여 교통GIS DB와 기존 교통계획 S/W인 TRANPLAN간의 연계모듈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개발한 연계모듈을 서울시 강남구,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 용인시에 걸친 일대를 시범지역으로 적용해보았다.

  • PDF

Test of Fault Detection to Solar-Light Module Using UAV Based Thermal Infrared Camera (UAV 기반 열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고장진단 실험)

  • LEE, Geun-Sang;LEE, Jong-J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106-117
    • /
    • 2016
  • Recently, solar power plants have spread widely as part of the transition to greate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newable energy. Therefore, regular solar plant inspection is necessary to efficiently manage solar-light modules. This study implemented a test that can detect solar-light module faults using an UAV based thermal infrared camera and GIS spatial analysis. First, images were taken using fixed UAV and an RGB camera, then orthomosaic images were created using Pix4D SW. We constructed solar-light module layers from the orthomosaic images and inputted the module layer code. Rubber covers were installed in the solar-light module to detect solar-light module faults. The mean temperature of each solar-light modul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Zonalmean function based on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UAV thermal camera and solar-light module layer. Finally, locations of solar-light modules of more than $37^{\circ}C$ and those with rubber covers can be extracted automatically using GIS spatial analysis and analyzed specifically using the solar-light module's identifying code.

Pilot Building for a Participation System on the Basis of WebGIS by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도시계획과정에 있어서 웹기반 GIS를 이용한 주민참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Dae-Wuk;Ryu, Ji-Won;Jung, Eung-Ho;Kim, Soob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1
    • /
    • pp.66-77
    • /
    • 2006
  • Considering constantly increasing number of internet users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ith high speed internet network,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in urban planning. Particularly, sin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expected to be the best method to convey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rban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system by using GIS and Internet. The system consists of Basic Module, Disposal Module and Decision Support Module. Each module is designed for expressing plann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database, opinion statement and convenience of citizens, and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process and decision making. These are connected each other in a basic and simple form, i.e. Java Script and HTML, and the system was realized through data process, Map date and PostGIS for Mapping, and PHP. Last but not least, this system has been tested on the internet and the result indicated its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in actual use concluding that participation system has enough application value on urban planning proces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Object Format for Providing Mobile Map Services (모바일 지도 서비스를 위한 공간 객체 포맷의 설계 및 구현)

  • Moon, Jin-Y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1
    • /
    • pp.77-83
    • /
    • 2011
  • Providing services in a wireless environment with existing wired-based GIS solutions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slow communication, processing rates, and screen size. Among the components, data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IS. In this paper, I describe MVF, the most recent technology pioneered by GIS researchers. MVF is a format for efficient usage of spatial object in order to express, save and transform in mobile GIS. First, I describe the definition of MVF syntax, then the implementation of Header Section Generation Module and Main Section Generation Module through the API. Since the issues of network traffic and Hangul processing in mobile GIS are important, I especially consider development of MVF in terms of spatial data size.

Total Maximum Daily Loads Management System for Saemangeum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이용한 새만금 유역 오염총량 관리시스템)

  • Cho, Young-Kyoung;Kim, Hak-Kwan;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93-9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보다 세부적인 수계의 분포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오염총량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1) GIS 기반의 배출부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배출부하량 및 세부적인 수계별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검색 모듈과 (2) 자정계수와 유달거리로 구성된 유달함수를 통하여 유달부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모듈, 그리고 (3) 저류형, 침투형, 식생형, 장치/하수처리형 등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유역 말단에 설치하였을 경우, 소유역 및 새만금 유역전체를 대상으로 부하량 저감효과 및 삭감률이 계산 가능한 모듈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결과의 판독이 가능하며, 대상유역의 부하량 분석 및 저감시설에 따른 부하량 예측을 통하여 수질정책 수립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도록 하였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본 시스템과 수문/수질모델링시스템을 연계하여 종합적인 수질정보 및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Optimal Flood Protection Plan (통합홍수방어대책 선정 시스템 구축)

  • Lim, Kwang-Suop;Kang, Shin-Uk;Hwang, Man-Ha;Choi, S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22-826
    • /
    • 2010
  • 홍수피해저감 대책의 우선순위 결정은 시스템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홍수피해저감 사업을 분야별로 분리하여 분석하면 숲을 보지 못하고 산을 판단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여러 전문 분야별 대안 분석도 중요하지만, 시스템 차원에서 홍수피해 저감 방안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개발 목적은 최적의 홍수피해저감 대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각각의 개별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결정 지원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방어 대책 통합평가시스템은 수문학적 홍수분석 모형을 비롯하여 수리학적 홍수분석 모형,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이 통합되어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되며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용자 요구파악과 관련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 설계가 중요하다. 홍수방어 대책 통합평가시스템의 핵심 요소는 1) GIS입력 모듈, 2) Fuzzy 알고리즘 모듈, 3) MCDA 알고리즘 모듈, 4) 결과표출 모듈 등 네 가지이다. 여기서 첫 번째 모듈은 GIS 입력 모듈로써 최적 방안 도출을 위한 빈도별 홍수터, 홍수심, 토지이용도 등과 같은 일련의 GIS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두 번째 단계는 퍼지화된 MCDA 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퍼지 알고리즘 및 퍼지 연산을 위한 내부 코딩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른 연산이 가능하다. 세 번째 단계는 최적 방안을 모색하는 MCDA 알고리즘과 연산 수행을 위한 세부 모듈로 구성됐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모형과 DB간의 연계절차로써 사용자가 직접 운영하는 GUI 부분으로써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비롯하여 모형의 특징을 Matlab 프로그램으로 각각의 화면을 디자인한다. 이 단계에서는 모형을 수행하기 위한 DB가 구축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맞춤형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통합시스템을 통한 의사결정과정의 합리성은 선택된 최적의 홍수저감대책의 사회 경제적 수용성은 물론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