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

검색결과 3,890건 처리시간 0.034초

KONG-DB: 웹 상의 어휘 사전을 활용한 한국 소설 지명 DB, 검색 및 시각화 시스템 (KONG-DB: Korean Novel Geo-name DB & Search and Visualization System Using Dictionary from the Web)

  • 박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21-34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1) 소설 속 지명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2) 확장 가능한 지명 DB를 위해 자동으로 지명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3) 데이터베이스 내의 소설지명과 용례를 검색하고 시각화하는 파일럿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다. 특히, 학습자료(training)에 해당하는 말뭉치(corpus)를 확보하기 어려운, 소설지명과 같이 현재 잘 쓰이지 않는 개체명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효과적인 지명 정보 추출용 학습자료 말뭉치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 수작업으로 구축된 웹 지식(어휘사전)을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학습말뭉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확보된 학습용 코퍼스와 학습된 자동추출 모듈을 가지고, 새로운 지명 용례를 찾아 추가하는 지명 데이터베이스 확장 도구를 만들었으며, 소설지명을 지도 위에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시범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끝으로, 현재 시스템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소유역에서의 토사유출 산정을 위한 GeoWEPP model과 USLE의 비교.적용 연구 - 이천시 단월동 유역을 사례로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GeoWEPP model and USLE model to Natural Small Catchment - A Case Study in Danwol-dong, Icheon-si)

  • 김민석;김진관;양동윤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1호
    • /
    • pp.103-113
    • /
    • 2007
  • GIS와 연계시켜 만든 분산형 모델의 대표적인 경험식인 USLE model과 물리학기반의 GeoWEPP model을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소유역에 적용하여 2004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년간의 토사유출량을 비교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유출된 토사량은 실제관측결과 270.54 ton, USLE 모델 적용 시 358.1 ton, 그리고 GeoWEPP 모델 적용 시 283.30 ton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각각의 모델을 적용한 산출량은 실제 산출량보다 과대하게 산출되었으며, 산출결과만을 볼 때, GeoWEPP 모델을 적용한 토사유출량이 USLE 적용 산출량 보다 관측량에 더 근사한 산출량을 보였다. 모델 적용 산출량이 과대산출 된 원인으로는 실험웨어를 월류하여 빠져나간 부유물에 대한 양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 김문기;윤동현;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59-68
    • /
    • 2015
  • 1995년 이후 수행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사업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많은 공간정보를 축적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데이터와 민간의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부재, 지자체에서의 활용 및 홍보 부족 그리고 민간협력 미흡 등의 난제로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으로써의 확실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서비스 된지 3년이 지난 현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면, 주로 해외진출, 연계, 서비스개선, 활용, 향후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해외의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동향과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신기술과 비즈니스 플랫폼의 개념, 서울시 공간정보 플랫폼 등을 종합하여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GeoVideo: A First Step to MediaGIS

  • Kim, Kyong-Ho;Kim, Sung-Soo;Lee, Sung-Ho;Kim, Kyoung-Ok;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27-831
    • /
    • 2002
  • MediaGIS is a concept of tightly integrated multimedia with spatial information. VideoGIS is an example of MediaGIS focused on the interaction or interaction of video and spatial information. Our suggested GeoVideo, a new concept of VideoGIS has its key feature in interactiveness. In GeoVideo, the geographic tasks such as browsing, searching, querying, spati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ased on video itself. GeoVideo can have the meaning of paradigm shift from artificial, static, abstracted and graphical paradigm to natural, dynamic, real, and image-based paradigm. We discuss about the integration of video and geography and also suggest the GeoVideo system design. Several considerations on expanding the functionalities of GeoVideo are explained for the future works.

  • PDF

영상의 위치 정보를 위한 임베디드 지오코딩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mbedded Geo-coding System for Image's Geo-Location)

  • 이용환;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9-63
    • /
    • 2008
  • Geo-coding refers to the process of associating data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ystem deals with geographic identifiers expressed as latitude and longitude or street addresses. Although many services have been launched,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for users to create geo-coded photo with manually label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 or synchronizing with separate devic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geo-coding system which utilizes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embedded in digital photographs in order to automatically categorize a personal photo collection. An included GPS receiver labels a photograph with its corresponding GPS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automatically recorded into the photo image header at the moment of capture. The place and time where the photo was taken allows us to provide context metadata on the management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 PDF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설계 (Design of GeoVideo Making Tool and Viewer)

  • 조대수;김창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2-1155
    • /
    • 2013
  •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양한 영상제작도구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콘텐츠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위치정보가 포함된 GeoContents의 경우 위치기반의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진 등의 이미지 콘텐츠는 사용자 위치정보와 주변 POI 정보를 활용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영상 콘텐츠의 경우 프레임별로 위치정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표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별 위치정보가 포함된 영상 콘텐츠를 GeoVideo라 정의하고, GeoVideo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GeoVideo 제작 도구 및 뷰어 소프트웨어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GeoVideo는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영상 콘텐츠 검색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지진방재·대응 시스템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우리나라 지진 R&D 전략 제언 (Suggestions for an Effective Earthquake R&D Strategy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apan's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System)

  • 김성용;이재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3호
    • /
    • pp.321-336
    • /
    • 2020
  • 일본 지진방재 컨트롤타워는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이며, 산하의 정책위원회는 국가 종합기본시책과 조사관측계획을 수립하고 지진조사위원회는 각 지진방재 전문기관의 조사관측데이터와 연구성과를 취합하여 종합 검토평가를 한다. 일본의 지진방재·대응 시스템의 벤치마킹을 통한 우리나라에의 바람직한 시사점으로는 지진관련 지오-리질리언스 연구전략 구축이다. 지오-리질리언스 개념은 연구성과 실용화와 지질자원분야의 타 과학기술·인문사회분야와의 융합에 의한 재해복원능력 향상 역량을 의미하며, 주요 범위로는 국가 중장기 로드맵 전략연구, 지진예측연구, 지진재해 예측·경감기술개발, Geo-ICT 융합기술개발, Geo-사이버물리시스템 구현, 지구모방 기술개발 등과 지진발생지역 주민의 물리적, 심리적 치유관련 지질자원기술 관점 연구개발 등이다. 이를 통해, 국책전문연구기관은 재해발생 예측기술개발과 선제적 대응능력 강화, 지오데이터와 연구결과에 대한 지역사회의 신뢰도 제고와 차세대 인력양성, 관련 지진방재 인프라 확충 등이 가능할 것이다.

Open Source Cloud Computing: An Experience Case of Geo-based Image Handling in Amazon Web Services

  • 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7-346
    • /
    • 2012
  • In the view from most application system developers and users, cloud computing becomes popular in recent years and is still evolving. But in fact it is not easy to reach at the level of actual operations. Despite, it is known that the cloud in the practical stage provides a new pattern for deploying a geo-spatial application. However, domestically geo-spatial application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based on this concept or scheme is on the beginning stage. It is the motivation of this works. Although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level, a simple and practical processed result was presen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mazon web services platform, 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n the geo-spatial areas. Under this environment, cloud instance, a web and mobile system being previously implemented in the multi-layered structure for geo-spatial open sources of database and application server, was generated. Judging from this example, it is highly possible that cloud services with the functions of geo-processing service and large volume data handling are the crucial point, leading a new business model for civilian remote sensing application and geo-spatial enterprise industry. The further works to extend geo-spatial applications in cloud computing paradigm are left.

GeoRSS 분할기법 기반의 지도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Map Service based on Splitting Method of GeoRSS)

  • 이범석;황병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7호
    • /
    • pp.728-732
    • /
    • 2008
  • GeoRSS는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RSS로 구글맵과 같은 지도 서비스와의 매쉬업(Mash-up)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간단한 자바스 크립트로 효율적인 웹서비스 구축이 가능하지만,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다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페이지 로딩 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과도한 트래픽 발생을 유발시켜 시스템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빠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분할된 GeoRSS의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구현된 구글맵 웹서비스는 일반 GeoRSS를 사용하는 것보다 원하는 지리정보를 빠르게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좋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