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DP Per Capita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2초

Visualization, Economic Complexity Index, and Forecasting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Trade Profile: A Time Series Approach

  • Dar, Qaiser Farooq;Dar, Gulbadin Farooq;Ma, Jin-Hee;Ahn, Young-Hy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1호
    • /
    • pp.131-145
    • /
    • 2020
  • Purpose - The recent growth of South Korean product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s the benchmark for both developed as well as develop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ndex, the role of international trade is indeed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However, the visua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trade profile of the country is the prerequisite of governmental policy decision-makers and guidance for forecasting of foreign trade. Design/methodology - We have utilized data visualization techniques in order to visualize the import & export product space and trade partners of South Korea. Economic Complexity Index (ECI)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were used to identify the Korean international trade diversification, whereas the time series approach is used to forecast the economy and foreign trade variables. Findings - Our results show that Chine, U.S, Vietnam, Hong Kong, and Japan are the leading trade partners of Korea. Overall, the ECI of South Korea is growing significantly as compared to China, Hong Kong,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The expected values of total import and export volume of South Korea are approximately US$535.21 and US$ 781.23B, with the balance of trade US$ 254.02B in 2025. It was also observed from our analysis that imports & exports are equally substantial to the GDP of Korea and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DP, GDP per capita, and ECI. Originality/value - To maintain the growth rate of international trade and efficient competitor for the trade partners, we have visualized the South Korea trade profile,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of significant export and import products as well as main trade partners and forecasting.

GVC(글로벌가치사슬) 관점에서 본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정책방향 (Global Value Chains Perspective of Korea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and Policy Direction)

  • 정무섭;양영수;김대영
    • 무역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5-267
    • /
    • 2016
  • 본 연구는 GVC(글로벌가치사슬) 관점에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FDI)의 현황을 실증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전 세계 50개국의 자료를 활용한 회귀분석과 독일, 스위스, 싱가포르 등 주요국과의 국제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대 이후 동시에 늘어나는 전 세계 FDI와 수출입을 동시에 설명하는 GVC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국제화 수준은 지나치게 무역위주로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1인당 GDP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석에 포함된 주요국에 비해 20~30여년 뒤쳐져 있는 해외직접투자(OFDI)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즉, 무역의 이익과 투자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여 1인당 GDP 수준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Efficiency and Influencing Factors of Fiscal Expenditure on Compulsory Education

  • Yanan Sun;Qingsong Pang;Sangwoo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41-249
    • /
    • 2024
  • 본 연구는 의무교육에 대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의무교육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주로 재정지출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2006-2021년 기간 동안 중국의 31개 지역을 대상으로 의무교육에 대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추계한다. 의무교육에 대한 재정지출의 효율성은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 오히려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효율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1인당 GDP, 재정자립도, 연령구조, 재정지출의 비중, 교사의 수준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Tobit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1인당 GDP와 재정자립도는 효율성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연령구조, 재정지출의 비중 그리고 교사의 수준은 정(+)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고 있다.

Post-Kyoto 협상의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 : 연산일반균형(CGE)모형을 활용한 경제적 분석 (Major Issues of Post-Kyoto Negotiation and Their Implications : An Economic Analysis by Using a CGE Model)

  • 임재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7-493
    • /
    • 2009
  • 본 연구는 기후변화 관련 Post-Kyoto 협상의 주요 쟁점사항들을 정리하고, 연산일반균형모형인 GTEM-KOR를 활용하여 경제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협상에서 해결해야 될 쟁점사항으로서 미국의 감축의무 참여, 개도국의 감축의무 참여, 광범위한 감축의무 참여 유도를 위한 감축의무 방식 개발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도국간 차별화와 감축의무의 형태 및 강도 등이 중요한 협상 이슈가 될 것임을 지적하였다. GTEM-KOR를 활용한 분석에서는 일인당 GDP, 일인당 배출량 등 일인당 지수에 기초한 개도국간 차별화는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효과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한국을 타 개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감축의무 참여 압력에 노출시킬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등 주요 개도국의 감축의무 참여가 Post-Kyoto 체제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감축의무 참여범위가 확대될수록 감축효과는 커지고 한계저감비용은 절감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감축의무의 형태보다는 감축의무의 상대적 강도와 국가들의 참여범위가 Post-Kyoto 체제의 경제 및 환경적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Spatiotemporal Trends of Malaria in Relation to Economic Development and Cross-Border Movement along the China-Myanmar Border in Yunnan Province

  • Zhao, Xiaotao;Thanapongtharm, Weerapong;Lawawirojwong, Siam;Wei, Chun;Tang, Yerong;Zhou, Yaowu;Sun, Xiaodong;Sattabongkot, Jestumon;Kaewkungwal, Jarani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67-278
    • /
    • 2020
  • The heterogeneity and complexity of malaria involves political and natural environments, socioeconomic development, cross-border movement, and vector biology; factors that cannot be changed in a short tim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and cross-border movement, toward elimination of malaria in Yunnan Province during its pre-elimination phase. Malaria data during 2011-2016 were extracted from 18 counties of Yunnan and from 7 villages, 11 displaced person camps of the Kachin Special Region II of Myanmar. Data of per-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GDP) were obtained from Yunnan Bureau of Statistics. Data were analyzed and mapped to determin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at county and village levels. There were a total 2,117 malaria cases with 85.2% imported cases; most imported cases came from Myanmar (78.5%). Along the demarcation line, malaria incidence rates in villages/camps in Myanm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eighboring villages in China. The spatial and temporal trends suggested that increasing per-capita GDP may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reduction of malaria cases when observed at macro level; however, malaria persists owing to complex, multi-faceted factors including poverty at individual level and cross-border movement of the workforce. In moving toward malaria elimination, despite economic growth, cooperative effor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re critical to interrupt local transmission and prevent reintroduction of malaria via imported cases. Cross-border workers should be educated in preventive measures through effective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and investment is needed in active surveillance systems and novel diagnostic and treatment services during the elimination phase.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 결정요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ants of Air Pollution in China)

  • 리 드미트리;왕웬;배정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1호
    • /
    • pp.23-45
    • /
    • 2020
  •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환경에 커다란 부하를 초래하였고, 이를 통해 대기오염 문제도 심각해졌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기오염 원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표준오차 패널수정 추정기법(PCSE)을 이용하여 중국의 30개 성을 대상으로 아황산가스 및 질소산화물의 배출요인을 분석하였다. 아황산가스의 경우 일인당 실질소득이 증가할수록 배출 수준이 감소하고, 질소산화물은 일인당 실질소득과 역N자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 이외의 배출 요인으로 우선 전기소비량은 아황산가스나 질소산화물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고, 석탄소비량은 아황산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천연가스 소비량은 아황산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와 폐가스 처리에 대한 투자는 아황산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결정요인이지만 질소산화물 배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젤 소비량, 트럭 비율 및 차량 수는 질소산화물 배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의 증가도 아황산가스와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감소시킨 요인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 분석 (Development Discourse and Its Representation in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4-472
    • /
    • 2014
  • 이 연구는 개발 담론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및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개발 담론은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신자유주의, 풀뿌리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탈식민주의 탈구조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담론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조작적 정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의 척도는 주로 1인당 국내총생산 또는 1인당 국민총소득과 같은 평균적인 경제적 척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교육수준과 평균수명을 포함한 인간개발지수는 일부 교과서에서만 언급되고, 젠더 지수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특정 교과서는 개발도상국 대신에 편견적인 저개발국, 최저개발국이라는 용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경제적 불평등 및 지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에서는 국제적, 국가적, 비정부조직의 차원에 대한 강조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있어서 세대 간 공정만 언급할 뿐 세대 내 공정은 간과하고 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접근은 주로 생태중심적 접근보다는 기술중심적 접근에 토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지리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개발 담론에 대한 더욱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중력모형을 이용한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의 무역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CC Countries' Exports: A Gravity Approach)

  • ;고종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2호
    • /
    • pp.19-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 수출의 결정요인이무엇인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GCC 회원국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연합아랍에머리트 및 오만의 55개 주요 무역국과의 수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출국의 GDP와 수입국의 GDP의 곱이 카타르를 제외한 GCC 5개국의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리는 아랍에메리에트(UAE), 사우디아라이바 및 오만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바레인과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국의 1인당 GDP는 바레인, UAE와 오만의 수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국의 인구는 GCC 6개국 모든 나라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입국의 인구는 쿠웨이트, 바레인과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경은 GCC 회원국 중 어느 나라의 수출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언어의 경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및 오만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유무역협정(FTA)는 바레인의 수출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카타르와 오만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GCC회원국자격은 쿠웨이트, 바레인 및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Major Adult Chronic Disease in Korean Employees between 2001 and 2010

  • Lee, Gyu-Jang;Kim, Soon-Ki;Kim, Hye-Young;Lee, Chang-Kyou;Lee, Seung-Gwan;Cho, Kyung-Ji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16
    • /
    • 2012
  • The Korean GDP per capita doubled during the last 10 years. As the GDP increases, Korean health behaviors such as, eating,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habits changed as well. Compared to the remarkably advanced diagnostic technologies and therapeutics during the last decade,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scarcely changed. Among the leading causes of death, cerebr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diabetes, liver disease and hypertension are closely related to health behaviors. Using the database of medical check-up between 2001 and 2010, the authors performed a longitudinal study for the prevalence rates and the trends of major chronic adult diseases among the 2,721 workers along with their health behavior. Among the diagnostic test items, fasting blood sugar, cholesterol and BMI levels showed steady increase and these three test items all showed linear trends (p<0.001). The average blood sugar and cholesterol levels were near worrying levels. Moreover, the average BMI of males was found to be at the overweight level, intimating the possibility reaching thee Obese Class I level soon if there are no aggressive counter measures. Fasting blood sugar and 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in a drinking group as compared to a non-drinking group, and the BMI levels were also higher in the drinking group and the smoking group as compared to the non-drinking and the non-smoking group (p<0.001). Finally,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fasting blood sugar, cholesterol and BMI levels should be designated as target monitoring test items in the medical check-up for Korean employees.

  • PDF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nd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2003-2010

  • Han, Kimyoung;Cho, Minho;Chun, Kih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6호
    • /
    • pp.300-30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determinants of cost increases into two categories, negotiable factors and non-negotiable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 increases and to clarify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sele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data in this analysis was from the statistical yearbook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Economic Index from Statistics Korea and regional statistical yearbooks.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annual growth rate of variables of 16 cities and provinces from 2003 to 2010. First,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We then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calculate the contribution of associated factors. The changes of coefficients ($R^2$) of predictors, which were entered into this analysis step by step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investigator could explain the contribution of predictors to increased medical cost. Results: Health spending was main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but the Medicare Economic Index (MEI)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The contribution of predictors was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lderly in the population (22.4%), gross domestic product (GDP) per capita (4.5%), MEI (-12%), and other predictors (less than 1%). Conclusions: As Baby Boomers enter retirement, an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and the GDP will continue to increase, thus accelerating the inflation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nd precipitating a crisis i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providing comprehensive health services by an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to achieve cost savings while ensuring high-quality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