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DF15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혈청과 난포액 및 성선자극호르몬 첨가가 염소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ood serum,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 on in vitro maturation for goat oocytes)

  • 이상훈;전다연;이진욱;이성수;김승창;김찬란;김관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33-340
    • /
    • 2019
  • 본 연구는 염소 난자의 체외배양 시 혈청과 호르몬 첨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외성숙 효율, 유전자발현 및 체외수정 후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기본 체외성숙 배양액에 10% gBS, 10% gFF를 첨가하여 혈청유무에 따른 효과와 FSH를 조합하여 체외성숙 효율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률을 보였다. 특히 gBS와 FSH를 조합하였을 때 처리구 중에서도 77.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체외성숙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각 처리구로부터 얻은 성숙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 배발달 효율을 조사한 결과 모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gBS와 gFF에 FSH를 혼합 처리한 두 그룹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난자의 성숙과 관련된 BMP15와 GDF9의 mRNA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특이점이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염소 난자의 체외성숙에 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gBS, gFF 및 FSH 첨가가 성숙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transactivates ErbB family receptors via the activation of Src i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s

  • Park, Yun-Jung;Lee, Han-Soo;Lee, Jeong-Hyung
    • BMB Reports
    • /
    • 제43권2호
    • /
    • pp.91-96
    • /
    • 2010
  • The function of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MIC-1) in cancer remains controversial, and its signaling pathways remain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MIC-1 induces the transactivation of EGFR, ErbB2, and ErbB3 through the activation of c-Src in SK-BR-3 breast cells. MIC-1 induced significant phosphorylation of EGFR at Tyr845, ErbB2 at Tyr877, and ErbB3 at Tyr1289 as well as Akt and p38, Erk1/2, and JN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Treatment of SK-BR-3 cells with MIC-1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Src at Tyr416, and induced invasiveness of those cells. Inhibition of c-Src activity resulted in the complete abolition of MIC-1-induced phosphorylation of the EGFR, ErbB2, and ErbB3, as well as invasivenes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expression in SK-BR-3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MIC-1 may participate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certain cancer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c-Src, which in turn may transactivate ErbB-family receptors.

두개골 및 두개봉합부 초기발육과정에서의 전사조절인자인 Msx2와 Dlx5의 역할 (THE ROLE OF TRANSCRIPTION FACTOR MSX2 AND DLX5 IN CALVARIAL BONE AND SUTURE DEVELOPMENT)

  • 송민호;박미현;남순현;김영진;류현모;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1-405
    • /
    • 2003
  •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일컬어지는 craniosynostosis는 두개봉합부에서의 골아세포의 조기분화 및 석회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선천성 발육이상이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 의하면 homeobox gene인 Msx2의 변이에 의해 Boston-type craniosynostosis가 야기되며, 또한 Dlx5 homozygote mutant mouse의 표현형에서 두개골의 골화지연을 포함한 다양한 두개안면부위의 이상을 발견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게다가 Msx2와 Dlx5 homeodomain protein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숙골아세포의 표지자인 osteocalcin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Msx2 Dlx5 및 osteocalcin 유전자들이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두개골의 성장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시 이러한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mouse의 태생기 (E15-E18) 동안 osteocalcin, Msx2, 및 Dlx5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Osteocalcin은 E15부터 두정골의 골막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생시기가 후기일수록 강한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Msx2는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과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경막과 hair follicle에서도 관찰되었다. Dlx5는 osteogenic front를 포함한 두정골의 골막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 에서는 발현되지 않아, Msx2와는 발현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발육과정에서의 Msx2와 Dlx5의 기능을 좀더 심도깊게 분석하기위해, 여러 가지 signaling molecule들의 protein을 사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Msx2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인 $TGF{\beta}1$, GDF-6, -7 bead들 주위로는 Msx2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FGF, Shh protein 역시 bead주위로 Msx2의 발현을 유도하지않았다. 흥미롭게도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Dlx5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 FGF, Shh bead주위로는 Dlx5를 관찰할 수 없어, Msx2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Msx2와 Dlx5 유전자는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성장발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MP signaling은 이 두 전사조절인자들을 조절하므로써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BMP signaling에 specific downstream gene인 Msx2 및 Dlx5의 발현양상의 차이는 골아세포의 분화시 이들 유전자가 각각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돼지 미성숙 난자 모계 유전자 발현이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gene expression on porcine oocytes in vitro maturation)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32-3536
    • /
    • 2012
  • 난자 세포의 정상적인 성숙과정을 이해하려면 모계유래 유전자 발현 증가의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밝혀내야 한다. 이것은 모계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 연구결과에 의하면 돼지 난자 체외 성숙과정에서의 모계 유전자 mRNA 발현은 통상적으로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 중합반응에 의하여 검증된다. 하지만 포유동물 체외성숙 과정에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것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성숙단계 난모세포에서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해명하고자, 4개의 중요한 모계유전자발현을 real-time PCR기법으로 확인하여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중합반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접합체 유전자 활성화 단계에서 모계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이것에 상응하는 단백질 수준의 억제는 일부 혹은 대부분 유전자 손실에 의하여 초래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적인 모계 유전자 발현은 난자 세포의 성숙 및 더 나가서 초기 배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확인 하였다.

계속비 사업 확대로 인한 공공건설사업 파급효과 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Construction Industry by Expansion of New Budget System)

  • 김상범;이정대;조지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53-163
    • /
    • 2008
  • 건설산업은 국내 총생산(GDF)기준의 약 15%를 차지하는 국가기간산업이며, 공공부분에 매년 약 50조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경제, 사회발전의 기반이 되는 사회시설물의 건설과 정비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공공 건설산업의 경우 사업이 대규모로 이루어지므로 효율적 관리를 통한 공사비 절감은 정부의 재정상태 및 사회발전에 크게 기여한다. 국내에서 공공공사의 지배적인 예산제도의 하나로서 활용되어온 장기계약제도는 공사연장 빈도도 높고, 그에 따른 손실비용 또한 막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999년 수립된 '공공건설효율화종합대책'에서는 계속비 사업의 확대를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예산제도의 체계와 공공공사의 계약방식 비교/분석을 통하여 장기계속계약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고, 계속비 사업이 공공공사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계속비 사업 확대가 건설사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5개 기관, 72개의 개별사업의 데이터를 분석한 성과 측정결과, 계속비 사업이 장기계속공사 사업에 비하여 사업기간 단축에 따른 평균사업비의 0.13%,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연부액 증가로 인한 사업기간 단축, 공사효율화를 통하여 약 9.83%의 공사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공공공사 수행에 있어 예산상황에 알맞은 공사우선순위선정 및 계속비 사업 확대의 당위성을 입증하였다.

Rapamycin Rescues the Poor Developmental Capacity of Aged Porcine Oocytes

  • Lee, Seung Eun;Kim, Eun Young;Choi, Hyun Yong;Moon, Jeremiah Jiman;Park, Min Jee;Lee, Jun Beom;Jeong, Chang Jin;Park, Se Pil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635-647
    • /
    • 2014
  • Unfertilized oocytes age inevitably after ovulation, which limits their fertilizable life span and embryonic development. Rapamycin affects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expression and cytoskeleton reorganization during oocyte meiotic matur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apamycin treatment on aged porcine oocytes and their in vitro development. Rapamycin treatment of aged oocytes for 24 h (68 h in vitro maturation [IVM]; $44h+10{\mu}M$ rapamycin/24 h, $47.52{\pm}5.68$) or control oocytes (44 h IVM; $42.14{\pm}4.40$)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velopment rate and total cell number compared with untreated aged oocytes (68 h IVM, $22.04{\pm}5.68$) (p<0.05). Rapamycin treatment of aged IVM oocytes for 24 h also rescued aberrant spindle organization and chromosomal misalignment, blocked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phosphorylated-p44/4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cytoplasmic maturation factor genes (MOS, BMP15, GDF9, and CCNB1) compared with untreated, 24 h-aged IVM oocytes (p<0.05). Furthermore, rapamycin treatment of aged oocytes de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tivity and DNA fragmentation (p<0.05), and down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mTOR compared with control or untreated aged oocytes. By contrast, rapamycin treatment of aged oocytes increased mitochondrial localization (p<0.05) and up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autophagy (BECN1, ATG7, MAP1LC3B, ATG12, GABARAP, and GABARAPL1), anti-apoptosis (BCL2L1 and BIRC5; p<0.05), and development (NANOG and SOX2; p<0.05) genes, but it did not affect the mRNA expression of pro-apoptosis genes (FAS and CASP3) compared with the contro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apamycin treatment can rescue the poor developmental capacity of aged porcine oocytes.

Diethylnitrosamine 처리 후 병리학적 결과를 기초로 한 마우스 간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Diethylnitrosamine Treated Mouse Liver: From Pathological Data to Microarray Analysis)

  • 김지영;윤석주;박한진;김용범;조재우;고우석;이미가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55-63
    • /
    • 2007
  • Diethylnitrosamine (DEN) is a nitrosamine compound that can induce a variety of liver lesions including hepatic carcinoma, forming DNA-carcinogen adducts. In the present study, microarray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Affymetrix Murine Genome 430A Array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expression profiles for DEN an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potential hepatotoxicity. C57BL/6NCrj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with DEN at doses of 0, 3, 7 and 20 mg/kg. Liver from each animal was removed 2, 4, 8 and 24 hr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histopathological analysis and serum biochemical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N-trea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vers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rofiles demonstrated that a specific normal gene expression profile in control groups differed clearly from the expression profiles of DEN-treated groups. Within groups, a little variance was found between individuals. Student's t-test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riplicate hybridization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ose gen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ression.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11 gene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and 28 genes were upregulated in all three animals after 2 h treatment at 20 mg/kg. The upregulated group included genes encoding Gdf15, JunD1, and Mdm2, while the genes including Sox6, Shmt2, and SIc6a6 were largely down regulated. Hierarchical clustering of gene expression also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functionally related clusters that encode proteins related to metabolism, and MAPK signaling pathway.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match with a toxicant signature can assign a putative mechanism of action to the test compound if is established a database containing response patterns to various toxic compounds.

Microarray를 이용한 작약(芍藥)의 인간치은섬유모세포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Gene expression microarray analysis of Paeoniae radix on IL-$1{\beta}$-stimulated primary human gingival fibroblast)

  • 김경호;최영곤;홍연미;여수정;최지훈;김영홍;이제현;임사비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1-108
    • /
    • 2010
  • Background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 radix on the inflammatory related gene expression in IL-$1{\beta}$-stimulated primary human gingival fibroblast using Whole Transcript Sense Target (WT-ST). Method: Human gingival fibroblast was incubated with P. radix [100 or $200\;{\mu}g/ml$], and IL-$1{\beta}$ [$1ng/m{\ell}$] added an hour later. After 24h, total RNA was extracted using RNeasy Mini Kit and the whole gene expression patterns were performed using WT-ST Labeling $Assay^{(R)}$. Result: In the DEG results, 782 genes were up-regulated in the IL-$1{\beta}$-treat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and among those, 43 genes we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981 genes were down-regulated after treatment with IL-$1{\beta}$ and of those 7 genes we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1439 genes were up-regulated after treatment with P. radix plus IL-$1{\beta}$-treated when compared to IL-$1{\beta}$-treated alone group and 1225 genes were down-regulated in the same condition. Among the down-regulated genes, 5 we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inhibitor genes such as GDF15 and LIF. In the analysis of the P. radix plus IL-$1{\beta}$-treated group, the most significant pathways were the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 toll-like receptor signaling, JAK-STAT signaling and tyrosine metabolism.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 P. radix $200{\mu}g/m{\ell}$ plus IL-$1{\beta}$-treated group appear to be more involved in the metabolism-related pathways than in the $100{\mu}g/m{\ell}$ plus IL-$1{\beta}$-treated group. Conclusion & Discussion: By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data, we are able to identify gene expression patterns associated with not only anti-inflammation effect but also transcription function of P. ra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