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D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ganglioside GD3 synthase gene expression on VSMC proliferation via ERK1/2 pathway, cell cycle progression and MMP-9 expression

  • Lee, Young-Choon;Kim, Cheorl-Ho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년도 생명공학 실용화를 위한 비젼
    • /
    • pp.81-90
    • /
    • 2004
  • Sialic acid containing glycosphingolipids (gangliosid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various biological phenomena such as atherosclerosis. Recent report suggeststhat exogenously supplied disialoganglioside (GD3) serves a dual role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 proliferation and apoptosis. However, the role of the GD3 synthase gene in VSMC response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o determine whether a ganglioside is able to modulate VSMC growth. the effect of overexpression of the GD3 synthase gene on DNA synthesis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expression of this gene has a potent inhibitory effect on DNA synthesis and ERK phosphorylation in cultured VSMC in the presence of PDGF. The suppression of the GD3 synthase gene was correl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cyclinE/CDK2. the up-regulation of the CDK inhibitor p21 and blocking of the p27 inhibition,whereas up-regulation of p53 as the result of GD3 synthase gene expression was not observed. Consistently, blockade of GD3 function with anti-GD3 antibody reversed VSMC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proteins. The expression of the CD3 synthase gene also led to the inhibition of TNF--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in VSMC as determined by zymography and immunoblot. Furthermore, GD3 synthase gene expression strongly decreased MMP-9 promoteractivlty in response to TNF-. This inhibi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down-regulation of MMP-9,which was Iranscriptionally regulated at NF-B and activation protein-1 (AP-1) sites in the MMP-9promoter Finally, the overexpression of MMP-9 in GD3 synthase transfectant cells rescued VSMC proliferation. However MMP-2 overexpression was not affected the cell prolife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l13 synthase gene represents a physiological modulator of VSMC responses that may contribute to plaque instability in atherosclerosis.

  • PDF

Hepatic Gene Expression Analysis of Gadolinium Chloride Treated Mice

  • Jeong, Sun-Young;Lim, Jung-Sun;Hwang, Ji-Yoon;Kim, Yong-Bum;Kim, Chul-Tae;Lee, Nam-Seob;Yoon, Seok-Jo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1호
    • /
    • pp.21-28
    • /
    • 2006
  • Gadolinium chloride ($GdCl_{3}$) was known to block Kupffer cells and generally its toxicity study based on blocking these cells. Therefore, $GdCl_{3}$ frequently used to study toxic mechanisms of hepatotoxicants inducing injury through Kupffer cells. We also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dCl_{3}\;on\;CCl_{4}$ toxicity, typical hepatotoxicants. Administration of $GdCl_{3}$ to mice significantly suppressed AST (asparatate amino transferase), ALT (alanine amino transferase) levels which were increased by $CCl_{4}$ treatment. However, $GdCl_{3}$ didn't inhibit the phagocytotic activity of Kupffer cells. Malondialdehyde (MDA) is a good indicator of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this study, MDA increased by $GdCl_{3}$ administration not by $CCl_{4}$. To understand the toxicity of $GdCl_{3}$, we analyzed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 of mice liver after acute $GdCl_{3}$ injection. Four hundred fifty two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more than 2-fold in at least one time point among 3 hr, 6 hr, and 24 hr. Several genes involved in fibrogenesis regulation. Several types of pro-collagens (Col1a2, Col5a2, Col6a3, and Col13a1)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up regulated during all the time points. Genes related to growth factors, chemokines, and oxidative stress, which were known to control fibrogenesi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addition, $GdCl_{3}$ induced abnormal regulation between lipid synthesis and degradation related genes. These data will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influence of $GdCl_{3}$ to hepatotoxicity.

Anti-oxidative effects of exogenous ganglioside GD1a and GT1b on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in pigs

  • Kim, Jin-Woo;Park, Hyo-Jin;Yang, Seul-Gi;Koo, Deog-Bon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7-356
    • /
    • 2020
  • Gangliosides are glycolipids in which oligosaccharide is combined with sialic acids. Our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interplay between ganglioside GD1a/GT1b and meiotic maturation capacity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Furthermore, ganglioside GD1a and GT1b are known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but it is still unclear whether possible antioxidant role of GD1a and GT1b is involved in porcine embryos development competence during in vitro culture (IVC). Here, the effects of ganglioside GD1a and GT1b on the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during in vitro culture of porcine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anglioside GD1a and GT1b on the expression of ST3GAL2 were confirmed during embryos development (2-cell, 4-cell, 8-cell and blastocyst) using immunofluorescent staining (IF). As a result, the fluorescent expression of ST3GAl2 was higher in embryos at 4-8 cells stage than blastocysts. Blastocyst development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nly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cellular apoptosis, we analyzed TUNEL assay. In case of only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blastocys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apoptotic cells. We identified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using DCF-DA st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 ROS pro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lastocysts derived from the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nglioside GD1a and GT1b improve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orcine embryos via reduction of intracellular ROS during preimplantation stage.

Effects of Powder Property and Sintering Atmosphere on the Properties of Burnable Absorber Fuel : I. $UO_2-Gd_2O_3$ Fuel

  • K. W. Song;Kim, K. S.;H. S. Yoo;Kim, J. H.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171-176
    • /
    • 1997
  • UO$_2$-Gd$_2$O$_3$fuel has been sintered to study the effect of powder property and sintering atmospheres on densification and microstructure. Three types of powders have been used; AUC-UO$_2$ powder and ADU-UO$_2$ powder were mixed with Gd$_2$O$_3$ Powder, and co-milled AUC-UO$_2$ and Gd$_2$O$_3$ powder. UO$_2$-(2, 5, 10)wt% Gd$_2$O$_3$pellets have been sintered at 168$0^{\circ}C$ for 4 hours in the mixture of H$_2$ and $CO_2$ gases, of which oxygen potential has been controlled by the ratio of $CO_2$ to H$_2$ gas. Densities of UO$_2$-Gd$_2$O$_3$ fuel pellets are quite dependent on powder types, and UO$_2$-Gd$_2$O$_3$ fuel using co-milled UO$_2$ powder yields the highest density. A long range homogeneity of Gd is determined by powder mixing. As the oxygen potential of sintered atmosphere increases, the sintered densities of UO$_2$-Gd$_2$O$_3$ pellets decrease but grain size increases. In addition, (U, Gd)O$_2$ solid solution becomes more homogeneous. The UO$_2$-Gd$_2$O$_3$fuel having adequate density and homogeneous microstructure can be fabricated by co-milling powder and by high oxygen potential.

  • PDF

$Tb^{3+}$ 와 Eu^{3+}$로 활성화시킨${Al_3}{GdB_4}{O_{12}}$ 형광체의 발광 특성 (Photoluminance Properties of ${Al_3}{GdB_4}{O_{12}}$ Phosphors Activated by $Tb^{3+} and Eu^{3+}$)

  • 김기운;강세선;이임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54
    • /
    • 2000
  • PDP용의 새로운 녹색 $Al_3GdB_4O_{12}:Tb^{3+} 형광체와 Al_3GdB_4O_{12}:Eu_{3+}$ 적색형광체를 제조한 후 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형광체의 발광특성을 상용품인 $Zn_2SiO_4:Mn^{2+}$ 녹색 형광체와 $(Y,Gd)BO_3: Eu^{3+}$ 적색의 PDP 형광체와 상호 비교하였다. 형광체는 $1150^{\circ}C$에서 4시간 동안 공상 반응으로 제조하였다. 147nm의 진공자외선 조사시 $Al_3GdB_4O_{12}:Tb^{3+}$(15mol%) 녹색 형광체의 발광휘도는 상용품 $Zn_2SiO_4: Mn^{2+}$ 보다 증가하였으나 색좌표는 상대적으로 저하되었다. 한편 $Al_3GdB_4O_{12}:Eu^{3+}$(15mol%) 적색 형광체의 발광 휘도는 상용품$(Y,Gd)BO_3: Eu^{3+}$ 보다 작았으나 CIE 색좌표는 일부 개선되었다. $Al_3GdB_4O_{12}$ 형광체는 $\lambda=160nm$에서 모체 흡수에 의한 강한 여기밴드가 있으며, 진공자외선 영역에서 $Al_3GdB_4O_{12}:Tb^{3+}$ 녹색형광체의 여기강도는 $Zn_2SiO_4: Mn^{2+}$ 보다 컸으나 $Al_3GdB_4O_{12}:Eu^{3+}$ 적색 형광체의 여기강도는 $(Y,Gd)BO_3: Eu^{3+}$ 보다는 작았다.

  • PDF

Gd-Ti-O계 및 Gd-Zr-O 계에서의 파이로클로어 합성연구 (Study on Synthesis of Pyrochlore in Gd-Ti-O and Gd-Zr-O Systems)

  • 채수천;배인국;장영남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3호
    • /
    • pp.303-309
    • /
    • 2004
  • Gd-Ti-O 및 Gd-Zr-O계에서의 파이로클로어 (Gd$_2$Ti$_2$$O_7$및 Gd$_2$Zr$_2$$O_7$)는 장주기 방사성 폐기물인 악티나이드 원소들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써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결법에 의해 이들을 합성하여, 상평형 관계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상온에서 200-400kgf/$cm^2$의 압력으로 성형한 후, 1000-1$600^{\circ}C$ 범위에서 소결온도 및 분위기를 변화시키면서 소결하였다. 합성된 시료는 XRD 및 SEM/EDS를 사용하여 상분석 및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Gd$_2$Ti$_2$$O_7$의 최적 합성조건은 140$0^{\circ}C$/0.5 hrs, 130$0^{\circ}C$/3 hrs 및 120$0^{\circ}C$/20 hrs였고, 이때의 화학조성은 $Gd_{2.0-2.1}$$Ti_{1.9-2.0}$$O_7$으로 소결온도 및 분위기와 무관하게 화학양론적 조성에 근접하였다. $Gd_{2}$$Zr_{2}$$O_7$의 최적 합성조건은 155$0^{\circ}C$/40 hrs 및 1$600^{\circ}C$/30 hrs였으나 화학조성은 $Gd_{1.5-2.4}$$Zr_{1.7-2.4}$$O_7$로 매우 불균질 하였다. 이 같은 불균질성은 본 연구의 최장 소결시간이었던 40시간에서 조차 평형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Gd$_2$Zr$_2$$O_7$의 생성속도가 매우 낮음을 지시하고 있다.

$^{17}O$ NMR 기법을 이용한 상자성 자기공명조영제의 물분자 교환에 관한 연구 ($^{17}O$ NMR Study On Water Excharge Rate of Paramagnetic Contrast Agents)

  • Yongmin Chang;Sung Wook Hong;Moon Jung Hwang;Il Soo Rhee;Duk-Sik Ka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33-37
    • /
    • 2001
  • 목적 : 자성 자기공명조명제의 효율을 결정하는데는 상자성물질의 물분자 결합위치에 구속되어 있는 물분자와 자유 물분자사이의 물분자 교환율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7}O-NMR$기법을 사용하여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Gd 자기공명조영제 및 최근 간특이성 자기공명조영제로 제안되고 있는 Gd-EOB-DTPA의 물분자 교율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조영제는 Gd-DTPA, Gd-DTPA-BMA, Gd-DOTA, Gd-EOB-DTPA 이며 여기에 Isotech 사의 5% $^{17}O$로 치환된 증류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결과적인 시료의 pH는 buffer용액을 사용하여 pH=7로 고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Bruker-600 (14.1 T, 81.3 MHz)모델의 NMR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에코열 24개의 Carr-Purcell-Meiboom-Gill (CPMG) 펄스 시권스를 사용하여 $^{17}O$의 스핀-스핀 이완시간(T2)을 측정하고 이렇게 얻어진 T2 데이터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Solomon-Bloembergen방정식에 fitting시켜서 최종적으로 각 조명제의 물분자 교환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 측정된 각 조영제의 물분자 교환시간은 300k의 온도에서는 Gd-DTPA의 경우 0.427, Gd-DTPA-BMA의 경우 $1.99{\;}{\mu}s$, Gd-DOTA의 경우 $0.27{\;}{\mu}s$, Gd-EOB-DTPA의 경우 $0.11{\;}{\mu}s$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물분자 교환시간은 온도에 따라 변화함을 알았다. 물분자 교환시간의 온도 의존성은 모든 조영제에서 지수함수의 형태로 나타났으나 조영제에 따라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물분자 교환시간이 감소하는 감소율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상자성 조영제의 relaxation enhancement 기전을 이해하는데는 물분자 교환율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물분자 교환율을 정확히 측정하는데는 $^{17}O-NMR$기법이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PR을 통한 상자성 자기공명 조영제의 전자스핀 이완시간의 결정 (Determination of Electron Spin Relaxation Time of the Gadolinium-Chealted MRI Contrast Agents by Using an X-band EPR Technique)

  • Sung-wook Hong;Yongmin Chang;Moon-jung Hwang;Il-su Rhee;Duk-Sik Ka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4권1호
    • /
    • pp.27-33
    • /
    • 2000
  • 목적: 전자상자성 공명(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을 사용하여, 현재 상용되고 있는 세가지 상자성 자기공명 조영제, Gd-DTPA, Gd-DTPA-BMA, Gd-DOTA의 전자스핀 이완시간 $T_{le}$를 결정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상자성 자기공명 조영제는 Gd-DTPA(Magnevist), Gd-DTPA-BMA(OMNISCAN), Gd-DOTA(Dotarem)이다. 이들 자기공명 조영제들은 2:1 부피 비율의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에 희석하여 저온의 glassy상태에서 EPR스펙트럼을 얻었으며, 또한 주어진 영 자기장 갈라지기 (zero-field splitting, ZFS)변수를 $3{\times}3$ 텐서량으로 계산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GEN'을 사용하여, 이들 조영제들에 대한 각각 다른 ZFS변수를 가지는 시뮬레이션 스펙트럼을 만들었다. 이 결과들과 McLachlan의 평균이완율 이론을 적용하여 전자스핀 이완시간이 결정되었다. 결과: 상자성 자기공명 조영제 Gd-DTPA, Gd-DTPA-BMA, Gd-DOTA의 전자 횡축 스핀이완시간($T_{2e}$)은 각각 0.113ns, 0.147ns, 1.81ns, g-value는 1,9737, 1.9735, 1.9830, 전자스핀 이완시간($T_{le}$)는 18.70ns, 33.40ns, $1.66{\mu}s$로 결정되었다. 결론: 실험 결과로부터 상자성 자기공명 조영제의 ZFS변수가 클수록 짧은 전자스핀 이완시간 $T_{le}$를 가진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3가지 자기 공명 조영제들 중에는 화학적으로 환상구조 배위자를 갖는 Gd-DOTA가 가장 긴 전자스핀 이완시간 $T_{le}$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적으로 환상구조 배위자를 갖는 조영제들이 선상구조 배위자를 갖는 조영제에 비해 전자적인 성질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결론적으로 상자성 조명제가 물분자의 자기이완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고효율 상자성 자기 공명 조영제 개발에는 정확한 ZFS변수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bWO4 : Gd 단결정 내의 Gd3+ 상자성 이온에 대한 바닥 상태 에너지 (Ground State Energy of Gd3+ Paramagnetic Ion in PbWO4 : Gd Single Crystal)

  • 염태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5-49
    • /
    • 2016
  • 분광학적 분리인자 $g_{ij}$와 영자기장 갈라지기 상수 값 $B_k^q$ 값을 유효 스핀 하밀토니안에 사용하여, $PbWO_4$ : Gd 단결정 내의 정방정계 대칭성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Gd^{3+}$ 상자성 불순물 이온(유효전자 스핀 S = 7/2)의 바닥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외부 자기장이 영일 경우의 $Gd^{3+}$ 이온의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은 $PbWO_4$ : Gd 단결정의 방향에 관계없이 모두 같았고, 이때 ${\mid{\pm}7/2}$ > ${\leftrightarrow}{\mid{\pm}5/2}$ >, ${\mid{\pm}5/2}$ > ${\leftrightarrow}{\mid{\pm}3/2}$ >, ${\mid{\pm}3/2}$ > ${\leftrightarrow}{\mid{\pm}1/2}$ > 전이 사이에서 계산된 에너지 간격은 각각, 6.9574 GHz, 6.9219 GHz, 15.8704 GHz이다. 결정학적 축에 대하여 외부 자기장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 값을 나타내었다. 이중 외부자기장이 결정학적 주축 a- 및 c-축에 나란할 경우에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여 논의하였다.

Gd-doped UO2의 상분리 및 UO2에 고용된 Gd 함량 측정 (Phase Separation of Gd-doped UO2 and Measurement of Gd Content Dissolved in Uranium Oxide)

  • 김건식;양재호;송근우;김길무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916-920
    • /
    • 2003
  • 무게 비로 6%의 Gd가 치환된 이산화 우라늄, ( $U_{0.913}$G $d_{0.087}$) $O_2$를 475$^{\circ}C$ 공기 분위기에서 산화시키고 130$0^{\circ}C$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시킬 때 변화하는 결정 구조, 형상 등을 XRD, SEM 및 EPMA 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입방계 구조의 ( $U_{0.913}$G $d_{0.087}$) $O_2$는 475$^{\circ}C$ 공기 분위기에서 사방정게 구조의 ( $U_{0.913}$G $d_{0.087}$)$_3$ $O_{8}$로 산화되었다. 저온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사방정계 130$0^{\circ}C$의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동안 사방정계 상과 압방정계 상으로 다시 분리되었다. XRD와 EPMA 관찰결과, 분리된 사방정계 상과 입방정계 상은 각각 $U_3$ $O_{8}$과 ( $U_{0.67}$G $d_{0.33}$) $O_{2+}$x/인 것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동안 일어나는 일련의 산화와 상 분리 과정은 상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열처리 단계에서의 무게 변화비를 측정하고 상 반응식을 이용하면 (U,Gd) $O_2$에 고용되어 있는 초기 Gd 함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