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C 함량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김치의 저장중 향미 성분의 변화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허우덕;하재호;석호문;남영중;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517
    • /
    • 1988
  •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향기 원인 물질을 분석 하고 맛 성분의 원인 물질인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서는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a, dipropyl disulfida, 1-isothiocyanato butane, diallyl disulfide등을 들 수 있었고.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보면 저장초기에는 젖산이 1.2mg/100g 구연산이 5.4mg/100g이던 것이 33.3mg/100g 및 44.4mg/100g으로 증가하였고 말산은 19.9mg/100g에서 4.8mg/100g으로 감소하였다. pH는 초기에 5.65이던 것이 저장 62일경에 4.25로 감소하였고 김치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보면 저장초기에 316.3mg/100g이던 것이 저장 후기에 627.6mg/100g으로 증가하였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 알라닌, 발린, 로이신, 리진, 아르기닌 등 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휘발성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pH는 김치의 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 PDF

시판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Free Amino Acids and Volatile-Flavor Compounds in the Commercial Brown-Rice Vinegar Prepared via Static Acetic-Acid Fermentation)

  • 김귀란;윤성란;이수원;정미선;곽지영;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03-810
    • /
    • 2011
  • 본 연구는 정치발효에 의한 국산 및 일본산 현미식초의 품질비교를 실시하였다. 국내산 현미식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와 phenylalanine인 반면, 일본산 현미식초는 proline, valine, phenylalanine, lysine, ${\gamma}$-aminobutyric acid, alanine과 isoleucine이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와 총아미노산 함량(3686.37~4212.27 mg%)은 국내산 정치배양 현미식초에 비해 일본산 정치배양 현미식초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GC-MS에 의한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식초의 주된 휘발성 향기성분인 acetic acid 이외에 국내에서 제조된 현미식초는 ethyl acetate, benzaldehyde, phenethyl alcohol와 phenethyl acetate 이었으나, 일본에서 제조된 현미식초는 ethyl acetate, phenethyl alcohol, ethyl alcohol, isoamyl acetate, phenethyl acetate와 benzaldehyde이었다. 전자코에 의한 향미패턴 분석결과, 국내 및 일본산 정치배양 현미식초 간의 향미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자코에 의해 효과적인 구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일본산 현미식초는 제품 간 유사한 향기성분을 나타내었으나, 국산 현미식초는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감초 경엽(莖葉)의 포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Stems and Leaves by Processing Methods)

  • 박정섭;박선희;오일수;장영남;방극수;변은주;이정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9-547
    • /
    • 2013
  • 포제 방법에 따른 감초경엽의 성분변화 및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였다. 성분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GC-Mass의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서 공통으로 분석된 성분은 19.7분에서 cis-1,3-dimethyl-2-methylene-cyclohexane과 21.5에서 n-hexadecanoic acid이 모두 분석되었으며, 17.8분에서는 3-O-methyl-D-Fructose가 끓는 물에 데친 감초경엽에서 19.8분에서는 aminopyrazine이 4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만 분석되지 않고 4가지 모두에서 분석되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_{50}$$2.66{\pm}0.09{\mu}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4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_{50}$$0.57{\pm}0.22{\mu}g$으로 가장 높았다. 환원력 측정에서는 3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3.38{\pm}0.12g/100g$으로 가장 높았다. 항돌연변이원성 평가에 있어서 직접변이원인 1-NP에 대해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간접변이원인인 Trp-P-1, Trp-P-2, $AFB_1$, 2-AA에 대해서는 3번 볶은 감초경엽(GU-1)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용매별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Korean Fermented Tea)

  • 손미예;김성희;남상해;조영숙;박석규;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44-549
    • /
    • 2004
  • 자연 유래의 미생물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후발효차의 주요성분과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에서 각각 ethanol 추출물($481.4\;{\mu}g/g$, 33.5 g/100g)이 가장 높았으나, 1년 저장한 시료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495.2\;{\mu}g/g$, 39.5 g/100g)이 다른 모든 추출물보다 가장 높았다. 후발효차의 catechin류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으며, 열수 추출물에서는 EGCG가 검출되지 않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그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저장하지 않은 후발효차와 1년간 저장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서는 각각 $72.4\%$$80.9\%$였다. 금속 화합물 형성에 대한 환원력의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0.78과 0.88(1년 저장)의 환원력을 나타났고, ${\beta}$-carotene-linoleate system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 $3000\;{\mu}g/mL$의 항산화능은 $86.6\%$$73.7\%$(1년 저장)를 나타내었다.

Fusarium prolifertum KGL0401의 지베렐린 생산 최적조건과 waito-c 생장에 미치는 영향 (Optimization of gibberellin production by Fusarium prolifertum KGL0401 and its involvement in waito-c rice growth)

  • 임순옥;이진형;이인중;이인구;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0-124
    • /
    • 2007
  • 본 연구는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곰팡이로 알려진 야생균주 Gibberella fujikuroi보다 더 많은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균인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를 꽈리 뿌리에서 분리하였으며[13], 지베렐린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 C:N ratio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베렐린 중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높은 $GA_3$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탄소원은 sucrose(7.02 ng/ml)이었으며, 질소원은 $NH_4Cl$(187.63 ng/ml)이었다. 그리고 최적 C:N ratio를 찾기 위해 탄소원(0 - 1.5 M)과 질소원(0 - 0.47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ratio가 0.5 M : 0.17 M일 때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GA_3$를 140.0 ng/ml로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oassay 결과 $GA_1,\;GA_3\;GA_4$$GA_7$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C:N ratio가 0.5 M : 0.17 M 일 때의 배양액 10 ul을 처리한 waito-c 볍씨의 길이가 평균 11.1 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 닭고기에서의 휘발성 조사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 차용준;김훈;박승영;조우진;윤성숙;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50-1056
    • /
    • 2000
  • 방사선 조사된 닭고기에서 방사선 조사선량에 대해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을 구명함으로서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닭고기를 시료로 하여 LLCE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GC/MS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29종의 휘발성성 분이 방사선조사된 닭고기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 (62종), 방향족화합물류(44종), 알데히드류(9종), 케톤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비조사된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으면서 방사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대해 그 함량의 변화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휘발성 조사물질로서 2-methylpentanal, 4-methylcy clohexne 및 cyclotetradecene 등 3종의 화합물이 선정되었으나 방사선 조사선량 증가와의 상관성을 고려한 결과 cyclotetradecene만이 닭고기의 방사선 조사판별을 위한 표지 물질로 선정되었다.

  • PDF

상용하는 식물성 기름에서 지질과산화의 독성물질 4-hydroxy-2-alkenals 정량 (Quantification of 4-Hydroxyalkenals in Oils Consumed in Korea)

  • 서정희;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05-910
    • /
    • 2002
  • 한국인이 상용하는 식물성 유지로부터 n-3 지방산과 n-6 지방산 산화의 독성 산물인 4-hydroxy-2-hexenal(HHE)과 4-hydroxy-2-nonenal(HNE)를 높은 감도로 동시 정량 하기 위하여 GC/MS/SIM(m/z = 157)을 이용하여 정량 하고 노출량을 추정하였다.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물성 유지의 98%를 차지하는 4종류의 유지로부터 4-hydroxy-2-alkenals의 총 노출량은 $2.7\;{\mu}g/day$로 나타났고, 시장에서 수거한 튀김 기름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보관한 유지류에 비해 높은 양의 HHE와 HNE가 검출되었다. 튀김 과정 중에 형성된 4-hydroxy-2-alkenals는 튀김 음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튀김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집단은 4-hydroxy-2-alkenals에 대한 노출량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n-3와 n-6 지방산의 생리 활성에 대한 보고로 인하여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부터 n-3와 n-6 지방산의 특이적 산화 지표인 4-hydroxy-2-hexenal과 4-hydroxy-2-nonenal을 동시 정량 하여 식품 품질 및 안전성 평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 보여 준, 상용 식물성 유지의 4-hydroxy-2-alkenals 함량에 관한 데이터는 식품을 통해 노출된 4-hydroxy-2-alkenals가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옥수수 배의 중성 지질의 추출을 위한 7종 용매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Seven Solvents for the Extraction of Neutral Lipid in Corn Embryo)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6-602
    • /
    • 1991
  • 옥수수 배를 benzene(BZ), n-hexane(HX), petether(PE), tricholoroethhylene(TE), chloroform-methanol(2:1, v/v) (CM), dichloromethane-methanol(2:1, v/v) (DM), hexane-diethyiether(5:1, v/v) (HD)의 7종 용매로 조지질을 추출하여 SACC법으로 비극성과 극성지질을 분리한 후 각각의 지질 조성을 TLC scanner로 측정하고 GC로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조지질 추출양은 DM에서 가장 많고 다음은 CM이며 중성지질은 HX, BZ, HD에서 높은 반면 PE, DM에서 낮았으며 함량비에서는 DM과 CM에서 높으며, 당지질은 DM을 사용했을 때, CM, PE, HX 등보다 높고 HD에서 가장 낮았고 인지질은 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성지질의 분별정량에서 triglyceride는 DM에서 높고 PM에서 낮은 편이며 1, 3-diglyceride는 CM 에서 높고 DM에서는 낮았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가 주요 성분이며 이는 CM에서 높은 편이며 oleic acid는 PE, HD등을 사용했을 때 CM보다 높고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linoleic acid가 가장 많고 BZ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E, CM, HD 등에서 낮고 oleic acid는 비슷하나 DM, BZ에서는 낮다. Palmitic acid는 CM, PE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방사선조사 고추가루로부터 휘발성 표지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 -induced Volatile Marker Compounds in Irradiated Red Pepper Powder)

  • 김훈;안준석;신영민;이영자;이경혜;변명우;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6-242
    • /
    • 2005
  • 방사선 조사된 고춧가루의 휘발성 화합물로부터 방사선 조사 표지물질의 선정에 의한 새로운 검지방법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시료로 하여 SPME법 및 P&T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PME법 및 P&T법에 의해 각각 51종과 34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 중 방사선 조사선량과 유의 적 상관성 (p<0.05 또는 p<0.01)을 가지는 총 25종의 화합물이 SPME법 및 P&T법에 선별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4종, dodecane, tridecane, tetradecene, pentadecane), 알데히드류(7종: propanal, 2-methylpropanal, 2-propenal, hexanal, (E)-2-octenal, benzaldehyde, (E)-2-noneal), 케톤류(1종: 2,2,6-trimethyl-cyclohexanone), 알콜류(3종: 1-ponton-3-ol, hexanol, 1-octen-3-ol), 방향족화합물류(4종: toluene, ethyl benzene, o-xylene,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에스테르 화합물류(2종,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및 기타 화합물(4종: p-cymene, tetra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beta$-ocimene)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방사선 조사선량과 화합물의 함량 간의 회귀분석에 의한 결정계수($R^2$) 0.80 이상을 나타내며, 방사선 조사된 시료에서만 검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화합물은 1,3-bis(1,1-dimethylethyl)benzene 1종 뿐이었으며, 1,3-bis(1,1-dimethylethyl)benzene이 SPME법 과 P&T법에 의한 고춧가루의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휘발성 표지물질로 선정되었다.

Olefin Metathesis를 이용한 황칠 Essential Oil의 경화 반응에 관한 연구 (Olefin Metathesis Curing Reaction of Essential Oils in Korean Dendropanax Lacquer)

  • 김미리;이원휘;유혜진;김종상;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4호
    • /
    • pp.146-151
    • /
    • 2015
  • 황칠원액을 에탄올로 추출한 황칠의 essential oil을 올레핀 메타테시스(olefin metathesis) 반응의 하나인 ROMP(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법을 이용하여 경화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자연 경화 및 UV 광경화법의 경화 특성 및 경화된 필름의 물성에 대해서 비교 연구하였다. 경화 전후의 황칠의 조성 변화에 대해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GC-M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ROMP법에 의해 경화된 필름의 겔 함량(gel contents, 40%)은 자연 경화(8%)나 UV 광경화법(25%)에 비해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100^{\circ}C$의 온도 및 2 wt%의 Grubbs' catalyst 조건에서 ROMP 경화반응은 2 h 이내의 경화 반응이 완료되어 자연 경화에 비해 비교적 빠른 경화 속도를 보여주었으며, UV 광경화법에 비해 주름이 없으며 외관상 균일한 도막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경화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아세틸렌계 성분 이외에 sesquiterpene류인 ${\alpha}$-selinene, ${\beta}$-selinene, ${\delta}$-cadinene 등도 ROMP 경화 반응에 참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