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34초

신제품 개발을 위한 GAN 기반 생성모델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s of GAN-Based Generative Model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 이동훈;이세훈;강재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67-871
    • /
    • 2022
  • 최근 빠른 유행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의 변화는 패션기업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들은 신제품디자인 선택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의 발달에 따라 패션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우리는 선호도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수치화함으로써 신제품 개발에 신뢰성을 높이는 부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가지 적대적 생성 신경망(Generative adversial netwrok, GAN)을 통하여 기존에 없는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고, 미리 훈련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m, CNN)을 이용하여 선호도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수치화시켜 비교하였다. 심층 컨볼루션 적대적 생성 신경망(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DCGAN), 점진적 성장 적대적 생성 신경망(Progressive growing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PGGAN), 이중 판별기 적대적 생성 신경망(Dual Discriminator generative adversial netwrok, D2GAN)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였고, 판매량이 높았던 제품으로 훈련된 합성곱 신경망으로 유사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사도의 정도를 선호도로 간주하였으며 실험 결과 D2GAN이 DCGAN, PGGAN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사도를 보여주었다.

LSTM-GAN 기반 이상탐지 모델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의 동적 보정기법 (A Dynamic Correction Technique of Time-Series Data using Anomaly Detection Model based on LSTM-GAN)

  • 정한석;김한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3-111
    • /
    • 2023
  • 본 논문은 시계열 데이터에 존재하는 이상값을 정상값으로 변환하는 새로운 데이터 보정기법을 제안한다. 최근 IT기술의 발전으로 센서를 통해 방대한 시계열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하지만 센서의 고장, 비정상적 환경으로 인해, 대부분의 시계열 데이터는 다수의 이상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값이 포함된 원천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예측모델을 구축하는 경우, 고신뢰도의 예측 서비스가 실현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LSTM-GAN 모델을 활용하여 원천 시계열 데이터에 존재하는 이상값을 탐지하고, DTW(Dynamic Time Warping) 및 GAN 기법을 결합하여 분할된 윈도우 단위로 이상값을 정상값으로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탐지된 이상값이 포함된 윈도우에 인접한 정상 분포 데이터의 통계정보를 DTW에 적용하여 연쇄적으로 GAN 모델을 구축하여 정상적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오픈 NAB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우리는 제안 기법이 기존 2개의 보정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Dog-Species Classification through CycleGAN and Standard Data Augmentation

  • Chan, Park;Nammee, M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1호
    • /
    • pp.67-79
    • /
    • 2023
  • In the image field, data augmentation refers to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through an editing method such as rotating or cropping a photo. In this study,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image was created using CycleGAN, and various colors of dogs were reflected through data augmentation. In particular, dog data from the Stanford Dogs Dataset and Oxford-IIIT Pet Dataset were used, and 10 breeds of dog, corresponding to 300 images each, were selected. Subsequently, a GAN image was generated using CycleGAN, and four learning groups were established: 2,000 original photos (group I); 2,000 original photos + 1,000 GAN images (group II); 3,000 original photos (group III); and 3,000 original photos + 1,000 GAN images (group IV). The amount of data in each learning group was augmented using existing data augmentation methods such as rotating, cropping, erasing, and distorting. The augmented photo data were used to train the MobileNet_v3_Large, ResNet-152, InceptionResNet_v2, and NASNet_Large framework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and loss. The top-3 accuracy for each deep neural network model was as follows: MobileNet_v3_Large of 86.4% (group I), 85.4% (group II), 90.4% (group III), and 89.2% (group IV); ResNet-152 of 82.4% (group I), 83.7% (group II), 84.7% (group III), and 84.9% (group IV); InceptionResNet_v2 of 90.7% (group I), 88.4% (group II), 93.3% (group III), and 93.1% (group IV); and NASNet_Large of 85% (group I), 88.1% (group II), 91.8% (group III), and 92% (group IV). The InceptionResNet_v2 model exhibited the highest image classification accuracy, and the NASNet_Large model exhibited the highest increase in the accuracy owing to data augmentation.

An Experiment on Image Restoration Applying the Cycl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o Partial Occlusion Kompsat-3A Image

  • Won, Taeyeon;Eo, Yang Da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3-43
    • /
    • 2022
  •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restore an optical satellite image with distortion and occlusion due to fog, haze, and clouds to one that minimizes degradation factors by referring to the same type of peripheral image. Specifically, the time and cost of re-photographing were reduced by partially occluding a region. To maintain the original image's pixel value as much as possible and to maintain restored and unrestored area continuity, a simulation restoration technique modified with the Cycl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CycleGAN) method was developed. The accuracy of the simulated image was analyzed by comparing CycleGAN and histogram matching, as well as the pixel value distribution, with the original image. The results show that for Site 1 (out of three sites), the root mean square error and R2 of CycleGAN were 169.36 and 0.9917, respectively, showing lower errors than those for histogram matching (170.43 and 0.9896, respectively). Further, comparison of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images simulated by CycleGAN and histogram matching with the ground truth pixel values confirmed the CycleGAN methodology as being closer to the ground truth value. Even for the histogram distribution of the simulated images, CycleGAN was closer to the ground truth than histogram matching.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강우예측모델 개발 (Developing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model with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최수연;손소영;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5-185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돌발 강우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강우예측의 중요성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강우예측의 경우 기상수치모델 또는 외삽법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강우예측 기법을 이용하며, 최근 머신러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활용한 레이더 자료기반 강우예측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우예측 모델의 경우 주로 시계열 이미지 예측에 적합한 2차원 순환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Long Short-Term Memory, ConvLSTM) 또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Encoder-Decoder)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기법(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이용해 미래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GAN 방법론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자와 이를 실제 이미지와 구분하는 구별자가 경쟁하며 학습되어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AN 기반 모델은 기상청에서 제공된 2016년~2019년까지의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학습시키고, 2020년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해 단기강우예측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존 머신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델들의 강우예측결과와 GAN 기반 모델의 강우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강우예측모델이 단기강우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히스토그램 분석 기반 파손 영상 선별 알고리즘 (Broken Image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Histogram Analysis)

  • 조진환;장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4
    • /
    • 2021
  • 최근 딥러닝 환경의 확산으로 인하여 데이터셋 생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셋 생성을 위하여 GAN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증강시키고 있다. 그러나 GAN을 활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에는 학습 초기 발생하는 문제점 및 생성되는 영상 내에 픽셀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GAN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손 영상 데이터 선별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파손 영상 선별 알고리즘은 영상 내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고 해당 결과값이 지정한 임곗값에 만족하는지에 따라 생성된 영상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Multi Cycle Consistent Adversarial Networks for Multi Attribute Image to Image Translation

  • Jo, Seok Hee;Cho, Kyu Ch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63-69
    • /
    • 2020
  • 이미지-이미지 변환은 입력 이미지를 통해서 목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최근 비지도 학습 구조인 GAN을 활용하여 더 실제와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에 따라 GAN을 활용한 이미지-이미지 변환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이미지-이미지 변환은 하나의 속성 변환을 목표한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고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은 한 가지 특징으로 설명하기 힘든 다양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다양한 속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속성별로 이미지 생성 과정을 나누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속성 변화를 목표로 한다면 더 이미지-이미지 변환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AN을 활용한 이미지-이미지 변환 구조 중 높은 성과를 보인 CycleGAN을 활용해 이중 속성 변환 구조인 Multi CycleGAN을 제안한다. 이 구조는 입력 도메인을 두 가지의 속성에 대하여 학습하기 위하여 3개의 도메인이 양방향 학습을 진행하는 이중 변환 구조를 구현하였다. 새로운 구조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 기존 이미지-이미지 변환 구조들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새로운 구조를 통한 이미지는 입력 도메인의 속성을 유지하며 목표한 속성이 적용되는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 구조를 활용한다면 앞으로 더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이 가능지기 때문에 더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미지 생성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의 응용 현황 (Applications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김동욱;김세송;정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7-809
    • /
    • 2017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에 대한 간략하게 설명하고, MNIST (숫자 손 글씨 데이터 셋)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을 통해 GAN 구조 구조의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GAN이 어떻게 응용이 되고있는지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살펴본다. 본 고에서는 GAN 논문들을 크게 이미지 스타일 변경, 3D 오브젝트 추정, 손상된 이미지 복원, 언어의 시각화,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실내 재난시 재실자 위치 추적을 위한 GAN 기반의 FMCW 레이더 신호 보간법에 관한 연구 (FMCW Signal Interpolation Scheme based on GAN for Indoor Location System in Indoor Disaster Situations)

  • 이정표;양상의;김영억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실내 재난 상황에서 재실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FMCW) 레이더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GAN) 기반의 신호 보간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실내 위치 추정 시스템은 딥러닝 학습 생성 모델을 활용하게 되는데,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이 용이하지 않아 부족하게 되는 학습데이터를 GAN 기법을 통해 확보하고자한다.

  • PDF

콜라주 기법으로 해석한 비디오 생성 (Video-to-Video Generated by Collage Technique)

  • 조형래;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9-60
    • /
    • 2021
  • 딥러닝 분야 중 생성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GAN 이후에 많은 알고리즘이 있는데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미술과는 다른 점이 있다. 공학적 측면에서의 생성이 주로 정량적 지표나 정답과 오답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라면 미술적 측면에서의 생성이란 다양한 관점에서 정답과 오답을 교차검증하고 의심하여 세상과 인간의 삶을 해석하는 생성을 만들어낸다. 본 논문은 딥러닝의 비디오 생성능력을 콜라주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미술작가가 만든 결과물과 비교하였다. 실험의 특징은 콜라주 기법으로 만든 창작자의 결과물을 GAN이 얼마만큼 재현하는지와 창작적인 부분과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것이고, GAN의 재현력에 대한 성능 평가항목을 만들어 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창작자의 스테이트먼트와 표현목적을 얼마나 재현했는지에 관한 실험을 위해서는 스테이트먼트 키워드에 해당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찾아 그 유사성을 비교하였으며, 실험결과 GAN은 콜라주 기법을 표현하기에는 기대에 많이 못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연상에서는 인간의 능력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GAN의 추상화 생성 측면에서 인간과 비견할만한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발견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