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BA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3초

Properties of β-Galactosidase from Lactobacillus zymae GU240, an Isolate from Kimchi, and Its Gene Cloning

  • Le, Huong Giang;Yao, Zhuang;Kim, Jeong A;Lee, Se Jin;Meng, Yu;Park, Ji Yeong;Kim, Jeong Hw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7-295
    • /
    • 2020
  • Lactobacillus zymae GU240 was previously isolated from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as a strong GABA producer. The strain showed β-galactosidase (β-Gal) activity on MRS agar plates with X-gal. When growth and β-Gal activities of GU240 were measured using MRS (glucose, 2%, w/v) and MRSL (lactose, 2%, w/v) broths, cells were found to grow slowly in MRSL, and the β-Gal activity (36 units at 4 h) was lower than that of cells grown in MRS (94 units at 16 h). The highest OD600 value of the culture in MRS was 1.6 at 24 h at 37℃, whereas that of the culture in MRSL was 0.6 at 16 h. β-Gal activity of the culture in MRS reached the maximum (95.6 u/ml) at 16 h, decreased thereafter, and was not detected at 48 h. β-Gal activity for culture in MRSL reached its highest (36 u/ml) at 4 h and decreased gradually, but some activity (11.05 u/ml) still remained at 72 h. The structural gene encoding β-Gal in L. zymae GU240 was cloned as a 3.1 kb fragment, and DNA sequencing confirmed the presence of complete lacLM genes. lacLM genes from L. zymae GU240 showed 98-99% homologies in nucleotide sequences with other lacLM genes from L. brevis. Reverse transcription (RT)-PCR confirmed the operon structure of lacLM. The results indicated that L. zymae GU240 might be in the process of losing the ability to grow rapidly on lactose-containing medium, such as milk, due to adaptations to plant environments, including kimchi.

Detection of Human Taurine Transporter and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 An, Hye-Suk;Han, Hee-Chang;Lee, Sun-Min;Park, Taesun;Park, Kun-Koo;Kim, Ha-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02-102
    • /
    • 2001
  • Taurine (2-ethaneaminosulfonic acid) is one of the major intracellular ${\beta}$ -amino acids in mammals and is required for a number of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membrane stabilization, osmoregulation, antioxidation, detoxification, modulation of calcium flux and neurornodulation. The taurine transporter (TAUT) which contains 12 hydrophobic membrane-spanning domains has been cloned from dog kidney, rat brain, mouse brain, human thyroid, placenta and retina. In this study, The TAUT cDNA from the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 HT-29 was cloned and sequenced.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erformed to amplify partial cDNA encoding human intestinal TAUT. The coding region of the PCR product was 732 bp long. The primers were designed to encode highly conserved amino acid sequences near the transmembrane domains III (IPYFIFLF) and Ⅵ (KYKYNSYR) both in human and mouse. The TAUT cDNA amplified was ligated into the pGEX 4T-1 expression vector. The resulting sequence of human intestinal TAUT cDNA (Accession number of NCBI Genebank is AF346763) was identical to the sequences of the TAUTs previously determined in the human placenta and retina except 3 base pairs from that of the reported human thyroid. TAUT specific antibodies were generated to use them as biological tools in the studies of the biological role of TAUT. Peptides of 149-162 amino acid residue (14 amino acids) of the TAUT were synthesized. The synthetic peptide used in this study was LFQSFQKELPWAHC. This region was chosen not only to avoid putative glycosylation sites but also to exclude regions of known homology with GABA transporters in the extracellular hydrophilic domains. The synthetic peptide, TAUT-1 was conjugated with carrier protein, kehole lympet hemocyanin (KLH) to use as an antigen. When used for immunization on a rabbit to produce polyclonal antiserum, the conjugates elicited high -titered specific anti-TAUT-1 antibodies, which reacted well with the ovalbumin (OVA) conjugated peptides in ELISA. The KLH-conjugated peptide was also used as immunizing antigen in BALB/c mice to produce TAUT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the hybridoma, the specificity of anti-TAUT-1 monoclonal antibodies was confirmed by ELISA. Further applications of more tools in TAUT expression analysis will be performed such as western blotting and flow cytometry.

  • PDF

Differences in Functional Materials between White and Black Rice Varieties

  • Lee, Chae Young;Park, Jae Seong;Lee, Hee Du;Choi, Ye Seul;Hong, Seong Taek;Hong, Eui Yon;Lee, Yun Sang;Kim, In Jae;Woo, Sun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8-368
    • /
    • 2017
  • Rice is the world's three major crops that is the staple food of Asian. Japonica type rice is consumed in Korea. Rice cultivation area decreases steadily. That is affected by decrease of the farm income with the inventory of 1.7 million tons, which is 2 to 3 times more than the optimal amount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rice per person and cultivate high yield varieties. In recent years, as income level has improved, interest in health has been high and consumption for health foo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For health food, rice is added by adding grains such as millet, sorghum, oats, beans and colored rice rather than white rice. In 1997,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veloped black rice 'Heuknambyeo', and then 20 varieties were bred until 2017. In CBARES(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we have developed new rice varieties 'Cheongpungheukchal' in 2010, 'Cheongpungheukhyangchal' in 2014, 'Cheongpungheukchal' is high in farming preference because of high yield. Black rice has high content of GABA and water-soluble phen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sumers are interested in the function in the body. Therefore, functional and antioxidant activities(anthocyanin, total polyphenol,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ABTs, DPPH) were analyzed by comparing white and black rice. Testing varieties are 'Chucheongbyeo', best quality cultivars 'Daebo' and 'Samgwang' as white rice which are cultivated much in Chungbuk area, and black rice are 10 varieties including 'Cheongpungheukchal', 'Cheongpungheukhyangchal', 'Josaengheukchal' and so on. It has transplanted on 25th May, at CBARES research paddy by 100% fertilizer recommendation rate. Harvesting time was 50 days after heading by varieties, and has researched growth properties, yield and yield components, function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thocyanin content was not measured because there was no pigmented in white rice, the highest value of anthocyanin content was 'Shintoheukmi' and in the range of 125.6~249.6mg/100g by black rice varieties.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 'Cheongpungheukchal' and 'Shintoheukmi' and in the range of 96.68~244.34 mg/100g in black rice, white rice lower than blackish rice at 19.84~22.51mg/100g. ${\alpha}-glucosidase$ inhibition was high 'Cheongpungheukchal', 'Cheongpungheukhyangchal' and 'Shintoheukmi' in the rage of 75.87~98.85% by black rice varieties, especially 'Samgwang' was 80.75% and the other white rice was higher than 58~68%.

  • PDF

젖산 발효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Fermented-Potato Juice)

  • 김남조;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42-549
    • /
    • 2013
  • 본 연구는 일반감자와 내부에 적색 또는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는 유색감자에 probiotic 기능을 가진 젖산균을 이용하여 칼로리가 낮고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난 젖산발효 감자주스를 제조하여 이들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자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발효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glucose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주스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tataric acid, citr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하령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수미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능성 아미노산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가 모든 감자주스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고 특히 자영에서 발효 전후 각각 232.9와 214.7 mg/100 mL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색감자 중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았고 하령과 자영에서는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미와 홍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자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에 의해 소거능이 크게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령을 제외하고 발효 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45%로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감소율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 발효 후 감자주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probiotic 효과와 항산화 활성을 갖춘 기능성 음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소시지의 조리방법 및 재가열이 조직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Methods and Reheating on Texture of Sausage)

  • 김성희;이숙미;조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1997
  • 본 실험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소시지를 전자렌지(micro-waving), 가스오븐(gas-broiling), 튀김 (frying)으로 조리한 다음, 냉장.저장하였다가 3일째, 6일째에 각 각 재가열하여 관능검사와 조직감 측정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리 방법, 냉장.저장 후 재가열에 따른 조직 특성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보고하는 바이다. 관능검사결과를 조리 방법 별로 살펴보면 조리 하지 않은 상태의 소시지가 촉촉한 정도, 경도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짠맛의 정도는 재가열함에 따라 수치가 높아졌다. 저작성은 전자렌지 조리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두 제조회사 제품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뒷맛은 가스오븐 조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리하지 않은 상태의 소시지가 뒷맛이 가장 약함을 보였다. 산패취는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튀김 조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조리하여 냉장 저장 한 후 3일째, 6일째 재가열했을 때, 저장 기간이 길어짐 에 따라 경도, 짠맛의 정도, 산패취, 뒷맛의 수치는 증가함을 보였으나 촉촉한 정도, 저작성은 감소함을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전자렌지와 가스오븐으로 조리하여 냉장.저장한 후 3일째 재가열했을 때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기계적인 분석을 하였을 때 튀김조리에서 경도, 뭉침성, 씹힘성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응집성과 탄력성에서는 조리방법 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조리하여 냉장.저장한 후 재가열할 때에는 3일째, 6일째 재가열할수록 경도, 응집성, 탄력성, 뭉침성, 씹힘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 응집성, 뭉침성, 씹힘성은 가스오븐으로 조리하여 냉장 저장한 후 3일째에 재가열한 소시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우(각각 20.0%), 땅콩 및 콩(각각 16.7%) 등의 순이었다. 연령 대별로는 10대 이하에서는 우유, 20대~30대에서는 복숭아, 40대 이상에서는 돼지고기가 많이 나타났다.ing of [sub 3/H]SR95531 to GABA receptor. Butanol fraction of G. elata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pentylenetetrazole-induced lethality of mic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ubstance or substances with neurochemical properties characteri- stic of a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may be important components, and contribute to the anticonvulsant property of G. elata.clooxygenase activity and the concentration show-ing the two fold increase of activity was 124$\mu$M. DA-5018 slightly inhibited 5-lipoxygenase activity and these results together indicate that analgesic action of 3A-5018 is not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cyclooxy genase or lipoxygen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algesic effect of DA-5018 is

  • PDF

결구배추 잎의 이화학적 성분 조성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Head-Type Kimchi Cabbage Leaves)

  • 성기운;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23-928
    • /
    • 2016
  • 김치용 결구배추를 겉잎(L1), 중잎(L2), 속잎(L3)으로 세 등분하여 부위별로 일반성분을 포함한 이화학적인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겉잎(L1)이 높았고,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속잎(L3)이 높았다(P<0.05). 열량은 24.5~26.5 kcal/100 g이었고 부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총식이섬유는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속잎(L3)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았다(P<0.05).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속잎(L3)이 높았고 succinic acid는 겉잎(L1)이 높았다(P<0.05). 총유리 아미노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glutamic acid 함량은 속잎(L3)에서 높았으며, ${\gamma}-aminobutyric$ acid의 함량은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결구배추 잎의 주요 미네랄 성분은 K, Na, Ca, Mg이며, 이 중 K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미네랄 함량은 겉잎(L1)이 가장 높았다(P<0.05). 결구배추 잎은 부위에 따라 이화학적 성분 조성이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신선편의 식재료로서 활용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보리수나무 열매, 잎 및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함유성분 분석과 간암 세포 증식억제 효과 (Component Analysi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Fruits, Leaves, and Stems from Elaeagnus umbellata in HepG2 Cells)

  • 김민주;임종순;양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28-834
    • /
    • 2016
  • 경남 합천 일대에서 재배된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열매, 잎, 줄기)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줄기(829.6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EC_{50}=54.04{\mu}g/mL$)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리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잎(6,179.12 mg/100 g) 에탄올 추출물이 열매(378.88 mg/100 g)와 줄기(1,211.69 mg/100 g)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으며, 열매의 proline, 잎의 asparagine 및 줄기의 GABA가 대표적인 유리 아미노산인 것을 확인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주요 페놀 성분 분석에서는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gallic acid, 줄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catechin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cell과 Chang cell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 에탄올 추출물이 HepG2에 특이적으로 높은 억제 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보리수나무를 국내 우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활성 차이, 부위별 활성 물질의 구명 및 작용 기전 등에 대한 계속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Metabolic Chang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by Follow-up 1H MR Spectroscopy

  • Choe, Bo-Young;Baik, Hyun-Man;Chun, Shin-Soo;Son, Byung-Chul;Kim, Moon-Chan;Kim, Bum-Soo;Lee, Hyoung-Koo;Suh, Tae-Su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9-109
    • /
    • 2001
  • Authors investigated neuronal changes of local cellular metabolism in the cerebral lesions of Parkinsonian symptomatic side between before and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by follow-up 1H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n = 15) and age-matched normal controls (n = 15) underwen MRS examinations using a stimulated echo acquisition mode (STEAM) pulse sequence that provided 2${\times}$2${\times}$2 ㎤ (8ml) volume of interest in the regions of substantia nigra, thalamus, and lentiform nucleus. Spectral parameters were 20 ms TE, 2000 ms TR, 128 averages,2500 Hz spectral width, and 2048 data points. Raw data were processed by the SAGE data analysis package (GE Medical Systems). Peak areas of N-acetylaspartate (NAA), creatine (Cr), choline-containing compounds (Cho), inositols (Ins), and the sum (Glx) of glutamate and GABA were calculated by means of fitting the spectrum to a summation of Lorentzian curves using Marquardt algorithm. After blindly processed, we evaluated neuronal alterations of observable metabolite ratios between before and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using Pearson product-moment analysis (SPSS, Ver. 6.0). A significant reduction of NAA/Cho ratio was observed in the cerebral lesion in substantia nigra of PD patient related to the symptomatic side after neurosurgery (P : 0.03). In thalamus, NAA/Cho ratio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erebral lesion including the electrode-surgical region (P : 0.03). A significant reduction of NAA/Cho ratio in lentiform nucleus was not oberved, but tended toward significant reduction after neurosurgery (P = 0.08). In particular, remarkable lactate signal was noted from the surgical thalamic lesions of 6 among 8 patients and internal segments of globus pallidus of 6 among 7 patients, respectively. Significant metabolic alterations of NAA/Cho ratio might reflect functional changes of neuropathological processes in the lesion of substantia nigra, thalamus, and lentiform nucleus, and could be a valuable finding fur evaluation of Parkinson's disease after neurosurgery. Increase of lactate signals, being remarkable in surgical lesions, could be consistent with a common consequence of neurosurgical necrosis. Thus, IH MRS could be a useful modality to evaluat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implications fur Parkinsons disease after functional neurosurgery.

  • PDF

비수리(Lespedeza cuneata G.Don) 추출물과 담금주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Extracts and Soaked Liquor of Lespedeza cuneata G.Don)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05-711
    • /
    • 2017
  •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는 야생 초본의 하나인 비수리(Lespedeza cuneata G.Don)의 천연물 자원으로서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비수리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비수리 담금주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유리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을 비롯한 22종이 검출되었으며, 백분율 함량은 phosphoethanolamine 20.36>L-proline 18.02>ammonia 14.48>L-aspartic acid 12.96>${\gamma}$-amino-n-butyric acid(GABA) 10.67 % 등의 순서로 측정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담금주>증류수 추출물>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 비교되었다. 항산화 활성으로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에 기준한 전자 공여능은 담금주가 ascorbic acid의 81.4%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증류수 추출물의 순서로 측정되었다. 철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과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은 담금주>증류수 추출물>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서 추출물 중의 플라보노이드와 페놀성 화합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 공여능의 순서와 같이 담금주>에탄올 추출물>물 추출물의 순서로 비교되었으며, 담금주의 경우 pH 1.2에서 96.6%로서 물 추출물의 2.6배에 해당되는 높은 소거활성으로 측정되었다.

뽕나무 계통별 오디함유 rutin 분석 및 품종변이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Rutin in Mulberry Fruits)

  • 김현복;김선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
    • /
    • 2004
  • Rutin은 GABA(γ-aminobutyric acid)와 더불어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상승 억제, 고혈압 치료, 동맥경화 및 중풍 예방 등 다양한 뽕잎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인식되고 있다.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고 있는 오디를 뽕나무 계통별로 수확하여 rutin 분석을 실시하고 계통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품종육종 효율을 높임은 물론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의 평균함량은 0.14±0.050% DW이었으며, '사방소'는 0.29% D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심설'은 가장 낮은 함량인 0.05% DW를 나타냈다. 2. 오디 중의 생육시기에 따른 rutin 함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뽕잎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뢰상', '청노상', '강선', '만생백피노상' 및 '사방소' 5계통 모두 수확시기가 이른 것의 오디에서 함량이 높았다. 3. Rutin 고함유 계통에 대한 오디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사방소', '휘카스', '강선', '중호상', '만생백피노상' 및 '팔청시평 ' 6계통의 과실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휘카스', '강선' 및 '팔청시평 ' 3계통은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도 양호한 성적을 나타냈으므로 금후 오디생산과 기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품종선택시 활용할 가치가 있는 우수계통으로 선발하였다. 4. 건조방법 및 저장방법이 식물체의 rutin 함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오디 건조 및 저장시 지나친 고온과 저온을 피해야 하며, 식품으로 가공시에도 이 점에 주의하여 생리활성물질인 rutin의 섭취량을 늘리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