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19

검색결과 7,259건 처리시간 0.032초

5G를 탑재한 AI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의 설계 및 실험 (The Design and Experiment of AI Device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with 5G)

  • 한성일;이대식;한지환;문현진;임창민;이상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9-78
    • /
    • 2023
  • In this paper, IO+5G dedicated hardware is developed and an AI device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5G is designed and tested. The AI device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5G receives the collected real-time images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oT sensor in real time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risk detection events in the AI processing board. The event generated in the AI processing board creates a 5G channel in the dedicated hardware equipped with IO+5G. The created 5G channel delivers event video to the control video server. The 5G based dongle network enables faster data collection and more precise data measurement compared to wireless LAN and 5G route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is paper, the average test result of the 5G dongle network is about 51% faster than the Wi-Fi average test result in downlink and about 40% faster in uplink.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test result with terms of the 5G rounter to be set to 80% upload and 20% download, the average test result is that the 5G dongle network is about 11.27% faster when downloading and about 17.93% faster when uploading. when comparing the test result with terms of the the router to be set to 60% upload and 40% download, the 5G dongle network is about 11.19% faster when downlinking and about 13.61% faster when uplinking. Therefore, in this paper it describes that the developed 5G dongle network can improve the results by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it faster than wireless LAN and 5G routers.

Zn 및 La-Zn 치환에 따른 Sr 페라이트의 자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Magnetic Properties of Zn and La-Zn Substituted Strontium Ferrite)

  • 장세동;김종오;김종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56-261
    • /
    • 2001
  • Sr계 페라이트의 자기적 특성향상을 위하여 화학량론적 조성 SrFe$_{12}$O$_{19}$[SrM]에서 원소치환을 실시한 SrFe$_{11.7}$Zn$_{0.3}$O$_{19}$[Zn$_{0.3}$-SrM] 및 Sr$_{0.7}$La$_{0.3}$Fe$_{11.7}$Zn$_{0.3}$O$_{19}$[(La-Zn)$_{0.3}$-SrM] 화학조성으로 혼합한 후 공기 중 하소를 실시하여 하소분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소결조제로서 SiO$_2$, CaCO$_3$ 및 SrCO$_3$를 첨가하여 평균입도 0.80$\mu\textrm{m}$까지 습식 미분쇄를 행한 후, slurry 농도를 조절하여 외부자장 8 kOe을 인가하면서 disk 형태로 성형한 후 공기 중에서 소결하여 Sr 페라이트를 제조하여 소결 결정상태 및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r 페라이트 하소분의 자기특성은 화학량론적인 조성 SrFe$_{12}$)$_{19}$[SrM]에서 포화자화 (Ms/g)값이 61.06 emu/g에서 단독 Zn을 치환한 SrFe$_{11.7}$Zn$_{0.3}$O$_{19}$[Zn$_{0.3}$-SrM] 조성에서는 포화자화(Ms/g)값이 66.90 emu/g로 향상되었고, (La-Zn)$_{0.3}$-SrM 조성으로 원소치환을 실시한 하소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한 페라이트의 자기특성은 잔류자속밀도(B,) 4.21 kG, 최대에너지적(BH$_{max}$) 4.19 MGOe치 자기특성 값을 나타내었다.내었다.TEX> max/) 4.19 MGOe치 자기특성 값을 나타내었다.

  • PDF

Pseudomonas sp. KDi19를 이용한 액체배지내에서 경유의 생물학적 분해 (Biodegradation of Diesel with Pseudomonas sp, KDi19 in Liquid Medium)

  • 윤민우;정정화;장순웅;공성호;이종렬;강동효;이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85-129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주유소 저장 창고 밑부분의 토양에서 경유 분해 균주를 순수분리한 후, 스크린 테스트를 거쳐 고효율의 경유분해균주 KDi19를 선별하였다. KDi19균주는 16S rDNA 분석, 지방산 분석, 생리 생화학적 특징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을 확인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KDi19는 온도 $30^{\circ}C$, pH 7, 그리고 균농도 1.0 g/L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초기 1,000 mg/L의 경유 중 956.3 mg/L(95.6%)를 제거하였다. 또한 균농도 1.0 g/L, pH 7의 조건에서, 낮은 온도($20^{\circ}C$, $15^{\circ}C$, $10^{\circ}C$) 적용 시, 경유 1,000 mg/L을 48시간 동안 각각 63.9%, 18.5%, 17.0%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균 농도 1.0 g/L, pH 7, 온도 $30^{\circ}C$ 조건일 경우, KDi19는 저농도 경유 50 mg/L와 100 mg/L를 24시간 동안 각각 49.0 mg/L(97.9%)와 96.2 mg/L(96.2%)를 제거하였다.

ON THE ES CURVATURE TENSOR IN g - ESXn

  • Hwang, In Ho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2011
  • This paper is a direct continuation of [1].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ome properties of ES-curvature tensor of g - $ESX_n$, with main emphasis on the derivation of several useful generalized identities involving it. In this subsequent paper, we are concerned with contracted curvature tensors of g - $ESX_n$ and several generalized identities involving them. In particular, we prove the first variation of the generalized Bianchi's identity in g - $ESX_n$, which has a great deal of useful physical applications.

송충이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 and Fatty acid of Pine caterpillar(Dendrolimus spectabilis))

  • 차월석;신주연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86-190
    • /
    • 1992
  • 송충이의 유리 아미노산, 총 아미노산 조성과 총 지방산 조성을 규명하기 위해 Gas chromarography와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지방 함량은 21.00%이고, 조단백질 함량은 58.47%로 조성되어 있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65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유리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31g/100g으로 35.89%를 차지하고 있다. 총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41.20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총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4.75g/100g으로 35.80%를 차지하고 있다. 총 지방산 조성은 $C_{18}$=26.81%로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고, $C_{16}$=19.09%, $C_{18:1}$=18.74%, $C_{18:3}$=15.33%, $C_{16:1}$=7.29%, $C_{20}$=5.21%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이 45.88%이고, 필수 지방산은 19.73%를 차지하고 있다.

  • PDF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 (Quality Analysis of Diverse Rice Species for Rice Products)

  • 김혜련;권영희;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2-148
    • /
    • 2011
  •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을 위해 국내산 쌀 19품종과 수입쌀 1종의 일반성분과 형태검정,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1.11{\pm}0.20-13.28{\pm}0.03%$였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은 각각 $5.04{\pm}0.03-7.02{\pm}0.10$, $0.18{\pm}0.01-0.73{\pm}0.05%$였다. 무기질 함량은 칼슘이 $3.56{\pm}0.11-6.69{\pm}0.08mg/100g$, 나트륨이 $3.39{\pm}0.01-17.43{\pm}0.04mg/100g$, 인이 $64.12{\pm}0.88-102.0{\pm}0.36mg/100g$, 아연이 $0.95{\pm}0.01-1.75{\pm}0.0mg/100g$, 철이 $0.19{\pm}0.0-0.69{\pm}0.02g/100g$, 마그네슘이 $9.89{\pm}0.47-23.31{\pm}0.21mg/100g$, 칼륨이 $47.11{\pm}3.49-82.19{\pm}1.08mg/100g$ 그리고 망간이 $0.47{\pm}0.0-1.14{\pm}0.01mg/100g$의 함량을 보였다. 20품종 중 18품종의 크기가 소립이었으며 아밀로즈 함량은 $10.3{\pm}1.27-19.4{\pm}0.15%$였고 전분가는 $70.8{\pm}2.67-80.1{\pm}5.09%$를 나타내었다. 알칼리 붕괴도는 5-6등급의 상태였고 호응집성의 측정 결과 gel은 $63.0{\pm}7.0-100{\pm}0.0mm$ 사이로 흘러 '연함'을 나타내 양질의 상태를 보였다.

평면의 채색수 알고리즘 (The Chromatic Number Algorithm in a Planar Graph)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25
    • /
    • 2014
  • 본 논문은 평면상의 거리가 1인 인접 정점들에 대해 서로 다른 색을 칠할 경우 최대로 필요한 색인 채색수를 찾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지금까지 채색수 상한 값은 $4{\leq}{\chi}(G){\leq}7$로 알려져 있으며, Hadwiger-Nelson은 ${\chi}(G){\leq}7$, Soifer는 ${\chi}(G){\leq}9$를 제안하였다. 먼저, 최소로 필요로 하는 채색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Hadwiger-Nelson의 정육각형 그래프를 대상으로 채색수를 구한 결과 ${\chi}(G)=3$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Hadwiger-Nelson의 정육각형 그래프를 12개 인접 정점으로 가정할 경우 ${\chi}(G)=4$를 구하였다. 또한, Soifer의 8개 인접 정점 정사각형 그래프에 대해 채색수를 구한 결과 ${\chi}(G)=4$임을 보였다. 결국, 제안된 알고리즘은 최소 차수 정점부터 색을 배정하는 단순한 다항시간 규칙을 적용하여 평면의 최대 채색수는 ${\chi}(G)=4$임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