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 vesiculifer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제주도 감귤원 토양에서 분리한 공생균근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ycorrhizal Fungi Identified on Citrus Orchard Soils in The Island of Cheju)

  • 이용세;정종배;문두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97-102
    • /
    • 1998
  • 제주도 일원 14개소의 감귤원에서 감귤 뿌리를 포함한 토양 시료를 95년 10월에 수집하여 VA균의 포자를 분리하여 관찰 동정하였다. 분리된 공생균근균은 3속 5종으로서 Acaulospora bireticulata, Glomus deserticola, G. geosporum, G. vesiculiferum, Sclerocystis pachycaulis였으며, Acaulospora sp.로 사료되는 두 가지는 아직 종동정이 되지 않았다. 이중에서 G. deserticola와 미동정된 Acaulospora sp.는 모든 시료토양에서 빈도가 매우 높게 관찰되어 우점종으로 사료되었으나, 다른 종에 속하는 포자들은 이들 종에 비하여 관찰 빈도가 매우 낮았다.

  • PDF

사구식물(砂丘植物)과 Arbuscular 내생균근(內生菌根) 균(菌)의 공생(共生) 특성(特性)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Sand Dune Plants)

  • 김준태;리기현;정병철;김종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5-245
    • /
    • 1993
  • The symbiotic proper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such as the absence and/or presence of symbiosis, spore density, and six factors of phy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rhizosphere of seven sand dune plants and three control plants around Kum river. The infection of AMF was confirmed in all plants. Three genera, nine species of the AMF spores were identified in the sand dune; Ac. scrobiculata, G. aggregatum, G. convolutum, G. diaphanum, G. dimophicum, G. geosporum, G. vesiculiferum, G. tortuosum, S. pachycaulis. All of them were also found in the control, but S. pachycaulis were only separated in the sand dune. In the control, three genera,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G. flavisporum, Gi. margarita, Sc. gregaria. Sc. persica. The species specificity was not found between the sand dune plant and AMF. However, the AMF was thought to be correlated with the soil factors. The spore density was stimulated with increase of the organic matter and the nitrogen content, but inhibited with the water content and the phosphorus content. In respect of the seasonal factor, the spore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late growth period of plants.

  • PDF

감귤뿌리에서의 Arbuscular-Mycorrhizae 형성과 감귤원 토양중 포자밀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Colonization and Spore Density of Arbuscular-Mycorrhizae in Citrus Groves)

  • 김상엽;오현우;문두길;한해룡;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4-181
    • /
    • 1998
  • 유기농법으로 관리하는 감귤원과 일반관리를 하는 감귤원 각 2곳씩 총 4곳에서 감귤원 토양내 arbuscular mycorrhizae(AM)균 포자를 동정하고 포자밀도와 은주밀감(탱자대목)과 잡초 뿌리의 AM균 감염율 변화를 96년 10월부터 97년 10월까지 2개월에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AM균 포자는 Glomus속 3종(G. deserticola, G. vesiculiferum, G. rubiforme )과 Acaulospora속 1종 (Acaulospora sp.)이 동정되었다. AM균 포자밀도는 토양 100g당 10,000${\sim}$40,000개의 범위로 조사되었는데, 유기농 감귤원에서 훨씬 높았다. 모든 감귤원에서 12월에 포자밀도가 가장 낮았으나 가장 높은 시기는 유기농 감귤원에서는 4월이었지만 일반관리 감귤원에서는 2월 또는 4월이었다. 감귤뿌리의 AM균 감염율은 유기농 감귤원에서 연평균 27% 이상이었으며 4월과 10월에 가장 높고 8월에 가장 낮은 반면 일반관리 감귤원에서는 연평균 15% 미만이었으며 2월에 최고치를 보였고 최저치를 보이는 시기는 감귤원과 해에 따라 달랐다. 전체적으로 포자밀도와 AM감염율은 유기농법으로 관리하는 감귤원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다. AM 감염율의 연중 변화는 sigmoid 곡선으로 나타나는데 겨울철에는 낮은 감염을 보이고 이른 봄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4-5월경 최대 감염율을 보였으며 숙주식물의 영양생장이 끝나면서 감염율도 감소하였다. 토양중의 포자밀도 변화도 AM 감염율의 변화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토양중 유효인산과 유기물의 함량은 AM 감염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토양 요인보다 식물 기후학적 요인의 영향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감귤원에서 발생하는 잡초 중에서 콩과의 자운영과 쇠비름과의 쇠비름이 높은 AM 감염을 보였는데 이들은 AM균의 접종재료나 중식용 숙주식물로써의 이용 가치가 높을 것이다.

  • PDF

Arbuscular Mycorrhizae가 탱자 유묘의 생육과 무기양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e on Growth and Mineral Nutrient Contents in Trifoliate Orange Seedling)

  • 오현우;김상엽;한해룡;문두길;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2-188
    • /
    • 1998
  • 화삼회토양에서 감귤대목으로 사용되는 탱자 유모의 생육에 미치는 arbuscular mycorrhizae(AM)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N, P, K 시비수준을 달리한 화산회토에서 감귤뿌리를 접종 재료로 하여 AM균을 접종시킨 탱자 유묘를 재배하였다. 유모의 생육과 식물체내 무기 함량을 분석하고 감염된 화분토양에서 채취한 포자의 종류를 동정하였다. 토양 5L당 21-17-17 복비 40g과 용성인비 50g을 준 다비인산구에서만 감염된 화분의 비율이 70%였고 나머지 인산을 첨가하지 않거나 시비량이 적은 처리들에서는 감염 비율이 20% 이하였다. AM 형성율의 증가에 따라 지상부의 생채중과 건물중은 유의하게 증가 되었으며, 초장과 지하부 생채중 및 건물도 5% 수준에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식물체 내의 P와 Cu, Mg의 함량은 AM 형성율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N과 Zn의 함량도 증가하지만 Ca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접종 재료를 채취한 토양에서 발견되는 Glomus desertcola, G. rubiforme, G. vesiculiferm 과 Acaulospora sp. 등 4종의 AM균 포자 모두가 접종된 화분토양에서도 확인되어 이들 균이 모두 탱자 뿌리에서 AM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중의 인산 수준이 감귤 뿌리의 AM균 감염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으며 감귤원에서 AM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AM의 형성율을 높일 수 있는 적정 토양 인산 수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