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dex

검색결과 2,900건 처리시간 0.026초

스피루리나 첨가 샐러드 드레싱 보충 식이가 마우스 혈장 항산화 지표 및 DNA보호에 미치는 영양 (Effects of Spirulina Added Salad Dressing on the Antioxidant Index and DNA Protection in Mice)

  • 양윤형;조흔;패넬로프 펠리프;이정희;이선영;조용식;전혜경;송경빈;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6-396
    • /
    • 2005
  • The effect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biomarkers such as total glutathionine, TBARS value, carbonyl value, GPx, GR, SOD and paraoxonase activity in plasma or liver of mice were evaluated Sixteen male ICR mice weighing 20$\pm$2 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ed low fat ($5\%$ fat) diet (low fat control: LFC) and low fat control plus dressing diet (LFD) for eight weeks. Body weight, tissue weights of liver, heart and kidney, and the distribution of body fat de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lso, the profile of TG, TC, LDL and HDL cholesterol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the comet assay (single cell gel assay) with alkaline electrophoresis and quantified by measuring tail length (TL). Spirulina salad dressing consumption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lymphocyte DNA damage expressed by TL (LFC: $28.8{\mu}m$, LFD: $20.3{\mu}m$). Additionally, salad dressing consumption for 8 wks de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assayed by TBARS to $12.6\%$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such as $\beta$-carote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lasma of LFD group than those in LFC group based on HPLC method This study shows that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exerts degenerative disease-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and lipid peroxidation possibly via a free radical levels.

  • PDF

세걸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 김윤영;나누리;송혜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127
    • /
    • 2016
  • 지리산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세걸산(1,261 m) 및 공안리, 산덕리 일대의 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9월까지 총 12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8과 376속 584종 5아종 73변종 16품종으로 총 67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 노각나무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은 지리산 일대가 남방한계선인 것으로 추정되며, 지리대사초는 지리산 일대가 분포의 주요지역으로 파악됨에 따라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자원식물은 총 633분류군, 민속식물은 359 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확인되어 귀화율(9.0%) 및 도시화지수(17.4%)가 높게 산출되었다.

마황 복용이 정산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임상연구 (Effect of Mahuang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s :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 손동혁;형례창;김락형;정승일;서의석;장인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1호통권69호
    • /
    • pp.105-116
    • /
    • 2007
  • Objectives : Mahuang (Ephedra sinica), well known as an herbal medicine in the East and West, contains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ephedrine known as sympathomimetic alkaloi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huang on sympathetic nervous system with heart rate variety (HRV).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RV is a noninvasive techniqu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utonomic modulation of the sinus node. Methods : We investigated 57 healthy volunteers consisting of 37 subjects in the Mahuang group and 20 subjects in the placebo group. Study form wa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The 37 subjects in the Mahuang group took 3 Mahuang capsules (1 capsule equivalent to 2g herb Mahuang) twice a day at 10 a.m. and 2 p.,., while the 20 subjects in the placebo group took 3 placebo-capsules filled with glutinous rice powder at the same times. Mahuang medicine and placebo medicine were made into opaque capsules. We measured HRV at 3 p.m. 1 or 2 days before medication and at 3 p.m. after medication. Results : Mean-RR and SDNN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lacebo group, but the heart rate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lacebo. HRV-Index, RMSSD and SDSD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lacebo group, but PNN50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placebo. Ln(TP), Ln(VLF), Ln(LF) and Ln(HF)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placeb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malized LF, normalized HF and LF/HF ratio between the Mahuang and placeb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Mahuang in healthy adults tends to reduc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ithin the normal range.

  • PDF

한국산 재래종 잇꽃 종실의 지질 성분 (Lipid composition of Korean safflower seeds)

  • 노완섭;박종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1992
  • 잇꽃 종실의 일반 성분 조성은 수분 7.2%, 탄수화물 34.5%, 조단백 18.2%, 조지방 34.8%, 회분 5.3%로서 다른 식물성 식용유지의 원료작물과 비교해 볼 때 지질함량이 높으며, 지질의 물리적 특성은 비중 $0.922{\sim}0.927$, 굴절을 $1.468{\sim}l.469$, 발연점 $210^{\circ}C$, 융점 $-15{\sim}18^{\circ}C$, 지방산의 titer가 $15{\sim}18^{\circ}C$로서 식용유의 물성보다 우수하며, 화학적인 특성은 요드가 $140{\sim}152$, 검화가 $186{\sim}192$, 산가 $2.6{\sim}3.5$, ester가 $179{\sim}186$, 불검화물 함량 $0.8{\sim}l.3%$ 포화지방산 함량 $6.6{\sim}7.2%$로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지방산의 조성은 myristic 0.1%, palmitic $5{\sim}8%$, stearic $2.5{\sim}3.0%$, oleic $10{\sim}20%$, linoleic $70{\sim}78%$, linolenic $2{\sim}3%$, arachidic 0.4%로서 식용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불포화지방산중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72.0{\sim}8l.4%$에 이르고 있어 국내 유지 자원 작물중에서 가장 양질의 식용유로 사료된다.

  • PDF

ENSO 패턴에 대한 MM5 강수 모의 결과의 유역단위 성능 평가: 플로리다 템파 지역을 중심으로 (Combining Bias-correction on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and ENSO Signal for Water Management: Case Study for Tampa Bay, Florida, U.S.)

  • 황세운;호세 헤르난데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43-154
    • /
    • 2012
  • 수자원의 수요 증가와 ENSO (El Ni$\tilde{n}$o/La Ni$\tilde{n}$a Southern Oscillation) 등의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한 수자원 공급의 불안정 요소가 제기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 시 장/단기강우 모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플로리다 템파 지역의 두 개 유역을 대상으로 1986년부터 2008년까지의 MM5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강우모의 결과를 시험지역의 33개 관측자료와 CDF-mapping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보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ENSO 패턴에 따른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보정된 MM5일 강우 모의결과는 대체적으로 각 관측소의 월 평균 강우량 (ME: 1.0mm)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락-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역 평균 일/월 강우량 또한 관측치를 잘 재현하였다(일 강우 ME: 0.8mm, 월 강우 ME: 7.1mm). 한편, ONI (Oceanic Ni$\tilde{n}$o index)를 이용하여 구분한 ENSO 패턴에 따른 강우 모의치를 분석한 결과, 월별 엘리뇨/라니냐 해에 대한 유역 단위의 강우량 모의 성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원인으로 한정된 모수화 적용 및 모델 경계자료 오차 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보정 방법개선 등의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ENSO 패턴을 고려한 월별 기후모델 결과를 활용함에 있어 유의점을 제시하였기에, 우기와 건기에 대한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적용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2. 저염정어리젓의 정미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2. The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 차용준;조순영;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0-146
    • /
    • 1983
  • 젖산, 솔비톨 및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식염농도를 낮춘 정어리젓 숙성중의 정미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betaine, TMAO, TMA, 총 creatinine 정량 및 omission test를 행하였으며, 지방산패 정도를 알기위하여 TBA값을 측정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젖산 $0.5\%$, 솔비톨 $6\%$, 에틸알코올 $6\%$를 첨가하여 담금한 저염정어리젓은 숙성 60일경에 맛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VBN은 숙성 100일 이후에도 70mg/100g미만이었고, 아미노질소는 숙성 60일경에 가장 높았다. 2. BHA를 $0.02\%$ 첨가한 결과, TBA 값은 숙성5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식염농도가 높을수록 TBA값은 낮았다. 3. 원료육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histidine, taurine이 전유리아미노산의 $93.3\%$를 차지하였고 arginine, valine, tyrosine, phenylanine은 흔적에 불과 하였으나, 숙성 60일째의 정어리젓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lysine, leucine,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의 6종이 식염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의 약 $58\%$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valine, isoleucine 등의 순이었으며, taurine은 흔적에 불과하였다. 4. 숙성 60일째의 정어리젓 핵산관련물질함량은 엑스분질소화합물의 $0.1\%$였고, betaine은 숙성중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 creatinine은 감소하였다. 또한 TMAO는 감소한 반면 TMA는 증가하였다. 5. 정어리젓의 정미성분으로서는 유리아미노산이 주된 구실을 하며 핵산관련물질도 중요한 구설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betaine 총creatinine, TMAO등도 보조체인 구실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강릉지역 중학생의 영양소 섭취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 김복란;조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9-746
    • /
    • 2001
  •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3일간 식사기록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를 조사한 후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영양소 섭취를 기준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평균 에너지 섭취는 2114$\pm$502 kcal로 남학생은 2256$\pm$608 kcal 여학생은 1961$\pm$548 kcal로 조사되었으며 열량에 기여하는 탄수화물 : 단백질: 지질의 비율은 남학생이 61.3:16.8:21.9 여학생은 61.8:16.2:22.0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은 71.7 g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동물성 식품으로 45.8%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질적으로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 영양권잘양 대비 영양소별 섭취량은 단백질 인, 비타민 B$_1$나이아신, 비타민 C는 권장량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칼슘, 철분, 비타민A, 비타민 B$_2$는 권장량에 미달되었으며 칼슘 철분은 권장량의 75% 이하였다. 특히 칼슘은 47.3%로 칼슘 결핍 현상이 우려되는 수준이었으며 모든 영양소에 남년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섭취량을 권장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NAR은 모든 영양소에서 1보다 적게 나타났다. 특히 칼슘은 0.45로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냈으며 비타민A는 0.59 철분은 0.54로 낮은 값을 나타냈고 비타민 A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에너지 섭취 차이를 고려한 영양의 질적지수인 INQ 값은 단백질, 인, 비타민B$_2$는 1보다 낮아 에너지 섭취가 충분하더라도 영양부족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상자들의 영양결핍 현상이 우려되며 그 개선안이 시급할것으로 생각된다. 영양권장량의 75% 이상 섭취한 집단에서 INQ값은 칼슘과 비타민 B$_2$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1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장량의 50% 미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모든 영양소에서 1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칼슘, 철분과 비타민 A는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일부 청소년 중학생들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그리고 비타민 B$_2$의 섭취가 권장량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은 심히 낮아 청소년들의 성장과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에 대한 식생활의 영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양파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ylacetate Fraction of Onion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 김성오;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3-678
    • /
    • 2001
  •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와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농도 수준을 달리하여 6주간 흰쥐에 급여하여 고콜레스텐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율을 나타냈으나 양파 에틸아세티이트 분획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의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10% 급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증가율이 유의성있게 둔화되었으나 식이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신장과 심장의 중량에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분획 급여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간장의 중량에서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 전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중량이 감소되었다. 혈청 중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양파음료급여군이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용략의존적으로 감소 T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었는데, 특히 10% 급여군은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약 71%, 정상군에 비하여 약 30%이상 큰 폭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의 비율도 많이 증가되었고 동맥경화지수도 감소되었는데 특히 10% 급여의 경우 정상군의 지수보다도 낮은 결과를 나타내므로서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함량에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가 대조군에 비하여 6주간의 급여기간내에서는 감소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되었고 인지질의 경우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서 지방간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시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간장의 중량,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농도 및 중성지질농도 등은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 인지질농도 등은 증가되므로써 양파 음료가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로 사료된다.

  • PDF

황해 폐기물 투기해역(서해병) 표층 퇴적물의 금속원소 분포 (Concentration of metallic elements in surface sediments at a waste disposal site in the Yellow Sea)

  • 고혁준;최영찬;박성은;차형기;장대수;이충일;윤한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87-79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umulation of metallic elements and the control effect of marine pollution caused by ocean dumping in the sediments at a waste disposal area in the Yellow Sea. In July 2009,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s (Al, Fe, As, Cd, Cr, Co, Hg, Ni, Mn, Pb, and Zn) were measured in surface sediments at the site. The ignition loss (IL) in the surface sediments showed a mean value of 15.4%, about 1.5 times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the sediment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at some disposal sites exceeded 20 mg $O_2/g{\cdot}dry$, which signifies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marine sediment pollutants in Japan. The disposal sites contain higher concentrations of Cr, Cu and Zn than the sediments of bays and estuaries that might be contaminated. The magnitude of both metal enrichment factors (EF) and adverse biological effects suggest that pollution with Cr and Ni occurred due to the dumping of waste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the geoaccumulation index (Igeo) showed that the surface sediments were moderately contaminated. By the mid-2000s, when the amount of waste dumped at this site was the highest, the concentration of metallic elements was higher than ever recorded. On the other hand, in 2008-09, the need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was relatively low compare with the peak. As a result, the quality of marine sediment has been enhanced, considering the effect of waste reduction and natural dilution in the disposal area.

참치 톱밥의 첨가가 압출성형 인조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Meat Analog by Addition of Tuna Sawdust)

  • 조선영;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5-47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인조육의 개발을 위하여 압출성형 인조육에 가공 부산물의 활용 측면에서도 장점을 지닌 참치 톱밥을 첨가하여 압출성형 공정을 거친 후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압출성형 원료는 탈지대두분 65%에 분리대두단백 25%, 옥수수 전분 10%를 혼합한 것을 기본 배합시료로 설정하였고, 기본 배합 100%, 기본 배합에 참치 톱밥 15%를 첨가한 것과 참치 톱밥 30%를 첨가한 것, 세가지 시료를 제작하였다. 원료 사입량은 100 g/min, 스크루회전 속도 250 rpm, 사출구 온도 $140^{\circ}C$, 수분함량은 50%로 고정하여 압출성형한 후 비길이, 밀도, 파괴력, 조직잔사지수, 보수력, 조직감 분석, 수용성 질소 지수, 단백질 소화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실시하였다. 참치 톱밥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파괴력과 밀도는 감소하였고 단면 팽화율과 비길이는 증가하였다. 또한, 참치 톱밥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조직잔사지수와 보수력은 감소하였으며 수용성 질소 지수와 단백질 소화율도 다소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참치 톱밥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증가하였으나 저장 기간이 30일과 60일로 길어짐에 따라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패도의 측정값은 참치 톱밥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60일 이후부터는 참치 톱밥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여 150일 이후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기본 배합 시료에 참치 톱밥을 첨가하면 유연한 조직감과 영양적 가치를 보존하면서 항산화 기능이 증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