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 120.1 + 1.4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32초

열과 초고압으로 처리한 고추장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 Treated with Heat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 임상빈;김봉오;김수현;목철균;박영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1-616
    • /
    • 2001
  • 고추장을 열(8$0^{\circ}C$/30분)과 초고압(73$^{\circ}C$/680 MPa/30분)으로 처리한 후 37$^{\circ}C$에서 120일간 저장하면서 생균수와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직후 생균수는 열처리군이 1.43$\times$$10^{6}$ CFU/g과 비교하여 볼 때 열처리에 의한 미생물 살균효과는 미약하였으나, 초고압 처리로 생균수를 약 3 log cycle 감소시킬 수 있었다. 고추장의 생균수는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무처리군은 저장 초기에 3.78$\times$$10^{6}$ CFU/g에서 저장 120일에는 5.43$\times$$10^4$ CFU/g으로 약 2 log cycle 감소하였고, 열처리군은 저장 초기에 1.43$\times$$10^{6}$ CFU/g에서 저장 120에는 3.10$\times$$10^2$ CFU/g으로 약 4 log cycle 감소한 반면, 초고압 처리군은 처리 직후 1.56$\times$$10^3$ CFU/g에서 저장 90일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고추장의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적정산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고압 처리군은 무처리군보다는 낮은 값을, 열처리군보다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초고압 처리군은 열처리군보다는 높은 값을, 무처리군보다는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고추장의 저장 중 환원당과 에탄올 함량은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고추장의 Hunter L, a, b값은 저장기간에 다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흑변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무처리 고추장은 열처리군과 초고압 처리군에 비하여 변색의 정도가 심하였으나, 초고압 처리군은 열처리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Nutrient Utilization and Compensatory Growth in Crossbred (Bos indicus×Bos taurus) Calves

  • Santra, A.;Pathak, 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85-1291
    • /
    • 1999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over 238 day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pensatory growth in crossbred calves having 166 kg body weight. Fifteen crossbred calv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calves (G1 group) and ten calves (G2 group) as per randomized block design. Growth study was conducted on the feeding of wheat straw based diet containing 60 and 30 percent concentrate supplying equal amount of protein in group G1 and G2 respectively for 119 days (phase - I). At the end of phase-I, calves of G2 group were subdivided in to two groups (G3 and G4). One sub group (G4) received 60% concentrate in their diet (during 120 to 238 days of experiment) while other subgroup G3 received 30% concentrate in their diet (phase-II). The calves of G1 group continued to receive the same diet as during phase-I experiment. Mean DM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lves fed high level of concentrate (in G1 and G4 group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digestibility of all nutrients except NDF. Nitrogen balance was positive in all the group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ase-II (higher nitrogen retention in G4 group than G1 group). ME intak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vel of dietary concentrate, being higher in high concentrate fed group (G1 and G4 than G2 and G3 group). Higher daily body weight gain in the calves of G4 group during phase-II than in G1 and G3 groups was due to compensatory growth on shifting animals from low concentrate to high concentrate based ration.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phase-I than in the phase-II. Protein and energy intake per unit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lves fed high concentrate diet.

닭와포자충 재감염닭의 혈청1gG 항체가 추이 (Chronologic chrnge of serum IgG antibody response in chickens re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baileyi)

  • 이재구;김현철;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55-258
    • /
    • 1996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의 재감염에 대한 방어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혈청IgG항체가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2일령의 SPF 병아리(Dekalb-Warren, Sex-Sal-Link)에 $5{\;}{\times}{\;}10^5$개 그리고 IgG가가 정상으로 복귀한 다음 10일인 340일령에 $1{\;}{\times}{\;}10^7$개의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를 경구투여하고 나서 채혈하여 간점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혈청IgG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IgG 가는 감염후 3일부터 38일까지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45일부터 1:21.33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여 120일에 1:512로 최고치에 이른다음 점점 떨어져 330일에 1:4로 정상치에 이르렀다. 도전 감염후 7, 14, 28일에 각각 1:16, 1:512, 1:1.024로서 점점 높아져 정점에 이른다음 급격히 떨어져 63일에 정상으로 복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항체가는 모두 1:2~1:4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 원충의 도전감염전 및 후에 있어서 분변으로부터 집충시켜 제작한 Kinyoun 항산염색표본에서도 오오시스트를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분변내의 오오시스트의 소실 시기와 최초 감염에 있어서 IgG가의 피이크는 일치하지 않았다.

  • PDF

LncRNA MALAT1 Depressed Chemo-Sensitivity of NSCLC Cells through Directly Functioning on miR-197-3p/p120 Catenin Axis

  • Yang, Tian;Li, Hong;Chen, Tianjun;Ren, Hui;Shi, Puyu;Chen, Mingwei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3호
    • /
    • pp.270-283
    • /
    • 2019
  •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if lncRNA MALAT1 would modify chemo-resistanc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ells by regulating miR-197-3p and p120 catenin (p120-ctn). Within this investigation, we totally recruited 326 lung cancer patients, and purchased 4 NSCLC cell lines of A549, H1299, SPC-A-1 and H460. Moreover, cisplatin, adriamycin, gefitinib and paclitaxel were arranged as chemotherapies, and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chemo-resistance of the cells. Furthermore, mice models of NSCLC were also established to assess the impacts of MALAT1, miR-197-3p and p120-ctn on tumor growth. Our results indicated that MALAT1 and miR-197-3p were both over-expressed within NSCLC tissues and cells, when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and cells (P < 0.05). The A549, H460, SPC-A-1 and SPC-A-1 displayed maximum resistances to cisplatin ($IC50=15.70{\mu}g/ml$), adriamycin ($IC50=5.58{\mu}g/ml$), gefitinib ($96.82{\mu}mol/L$) and paclitaxel (141.97 nmol/L). Over-expression of MALAT1 and miR-197-3p, or under-expression of p120-ctn were associated with promoted viability and growth of the cancer cells (P < 0.05), and they could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chemo-resistance of cancer cells (P < 0.05). MALAT1 Wt or p120-ctn Wt co-transfected with miR-197-3p mimic was observed with significantly reduced luciferase activity within NSCLC cells (P < 0.05). Finally, the NSCLC mice models were observed with larger tumor size and weight under circumstances of over-expressed MALAT1 and miR-197-3p, or under-expressed p120-ctn (P < 0.05). In conclusion, MALAT1 could alter chemo-resistance of NSCLC cells by targeting miR-197-3p and regulating p120-ctn expression, which might assist in improvement of chemo-therapies for NSCLC.

열처리한 감초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 우관식;장금일;김광엽;이희봉;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5-360
    • /
    • 2006
  • 감초를 처리온도, 처리시간 및 첨가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열처리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 활성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140^{\circ}C$, 2시간, 가수량 20%일 때 9.48%로 무처리구의 3.74% 보다 높았고,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로 처리한 시료가 32.90%로 무처리구의 14.60% 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150^{\circ}C$, 3시간, 가수량 30% 처리구가 1,391.51 mg/100 g로 무처리구의 6 692.23 mg/100 g 보다 높았다. 항산화활성$(IC_{50})$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4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에서 0.324 g/L로 무처리구의 0.573 g/L 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항산화력(AEAC)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처리구에서 2,112.61 mg AA eq로 무처리구의 1,920.27 mg AA eq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감초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130 및 $140^{\circ}C$, 3시간, 가수량 30%로 나타났다.

레이저 광산란법에 의한 폴리에스터/실세스키옥세인 나노복합재료 응집체의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Microphase-separated Aggregates of Polyester/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Nanocomposite by Laser Light Scattering)

  • 유영철;김장경;윤관한;박일현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461-468
    • /
    • 2007
  • 폴리에스터와 trisilanolisobutyl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TBPOSS)으로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에 존재하는 응집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SEM-EDS 분석과 1,1,1,3,3,3-hexafluoro-2-propanol(HFIP) 용매에 녹인 뒤 레이저 광산란법이 실시되었다. SEM에서 평균 직경 120 nm로 나타난 구형 응집체는 가교화된 마이크로겔이 아니라, 320개의 TBPOSS 분자들과 폴리에스터 분절들이 교대로 연결된 선형 중합체 사슬(무게평균 분자량=$2.3{\times}10^6\;g/mol$)이며, 이들은 매트릭스의 폴리에스터와의 화학조성 차이 때문에 상분리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무게평균 분자량이 $4.0{\times}10^4\;g/mol$인 매트릭스의 폴리에스터는 분자당 2.5개의 TBPOSS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넣어준 TBPOSS의 약 93%가 매트릭스에 존재하며 나머지 7%는 구형 응집체에 분포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뽕잎 함유 대두발효물이 신생 당뇨유도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황교열;김영훈;조용석;박영식;이재연;강경돈;김근;주동관;안덕균;성수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2-458
    • /
    • 2008
  • 당뇨 환자를 위한 기존의 뽕잎 건강식품의 기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뽕잎분말과 DNJ 생산균주인 Bacillus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4주간 경구투여 하여 먹이섭취량, 체중변화, 혈당량, 내당능, 혈중 지질함량, 장기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당뇨유도 시험군은 정상시험군(NC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 증체량이 적어 낮은 사료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뽕잎(M군) 및 뽕잎함유대두발효물(MM군)의 투여에 의해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MM-60군에서 가장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1주일 간격으로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혈당량 측정 결과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공복혈당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MM-60군과 MM-120군은 당뇨대조군(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주간의 시료투여 후 경구당부하시험에 의한 내당능 조사 결과 뽕잎투여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혈당량을 꾸준히 감소시켰으며 특히 포도당 투여 후 120분에서의 MM-60군과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량을 보여 뽕잎 단독보다는 대두발효배양물 첨가에 의해 내당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역시 DC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 투여에 의해 지질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량 정도는 총콜레스테롤에서는 MM-60군과 MM-120군에서 그리고 중성지질의 경우에는 M군, MM-60군, MM-120군에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뇨 유발에 의해 쥐의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체내 주요장기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뽕잎 또는 뽕잎함유대두 발효물 투여에 의해 이들 장기의 무게는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MM-60군,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분말과 DNJ 생산 균주인 B.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물의 혼합물은 신생 당뇨유도쥐의 제반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은 앞으로 당뇨환자들에 대한 건강식품 소재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하겠다.

Thalictrum rugosum 식물세포배양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세포성장 및 Berberine 생산의 변화 (Batch Time Course Behaviors of Growth and Berberine Production in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s of Thalictrum rugosum.)

  • 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4권3호
    • /
    • pp.271-275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Thalictrum rugosum 식물세포의 회분식 배양에 있어서 동역학적 특성들을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alkaloid의 생성은 일반적인 2차대사 산물의 생성 특성과 달리 세포성장에 비례함이 확인되었다. 세포 성장기의 비증식속도는 $0.20~0.25\;day\;^{-1}이었으며 FW / DCW 비가 배양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수 있었다. Cell yield는 0.36g cells/g sugar이었으며 berberine은 139mg/L까지 생성되었고 그중 120mg/L는 세포내에 존재하였다. 이를 specific content로 계산하면 dry cell weight의 1.10%가 된다. 세포 성장기에서 비증식속도와 당농도간의 관계는 Monod kinetics로 잘 기술될 수 있었다.

  • PDF

Efficient Recovery of Lignocellulolytic Enzymes of Spent Mushroom Compost from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p., and Potential Use in Dye Decolorization

  • Lim, Seon-Hwa;Lee, Yun-Hae;Kang, Hee-Wan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14-22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 extraction of lignocellulolytic enzymes amylase (EC 3.2.1.1), cellulase (EC 3.2.1.4), laccase (EC 1.10.3.2), and xylanase (EC 3.2.1.8) from spent mushroom compost (SMC) of Pleurotus ostreatus, P. eryngii, and P. cornucopiae. Optimal enzyme recovery was achieved when SMCs were extracted with 50 mM sodium citrate (pH 4.5) buffer at $4^{\circ}C$ for 2 hr. Amylase, cellulase, and xylanase activities showed high values in extracts from P. ostreatus SMC, with 2.97 U/g, 1.67 U/g, and 91.56 U/g, respectively, whereas laccase activity and filter paper degradation ability were highest in extracts from P. eryngii SMC, with values of 9.01 U/g and 0.21 U/g, respectively. Enzymatic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the SMCs released from different mushroom farms. The synthetic dyes remazol brilliant blue R and Congo red were decolorized completely by the SMC extract of P. eryngii within 120 min, and the decolorization ability of the extract was comparable to that of 0.3 U of commercial laccase. In addition, laccase activity of the SMC extract from P. eryngii was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 enzymes or its industrial application in decolorization.

벼 종자에서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의 분리를 위한 선택배지 (A Semiselective Medium for the Isolation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from Rice Seed)

  • 김형무;송완엽;소인영;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17
    • /
    • 1994
  • A semiselective agar medium (XCO) was developed for the isolation of bacterial blight pathogen,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from rice seed. The medium contained yeast extract 1.0 g, peptone 2.0 g, sucrose 5.0 g, sodium glutamate 1.0 g, FeSO4.7H2O 0.05 g, Fe.EDTA 1 mg, cephalexin 20 mg, Evan blue (0.1%) 1.5 ml, bromcresol purple (0.1%) 2.5ml, cycloheximide 100 mg and agar 15.0 g per liter. Colonies of X. c. pv. oryzae were 4~5 mm in diameter, smooth, round, blue (darker center) and convex after 6 days incubation at 28$^{\circ}C$. The recovery of 6 isolates of X. c. pv. oryzae on the XOC medium ranged from 81% to 120% (mean 98.2%) in comparison to Wakimoto's medium. The number of saprophytic bacteria from 10 rice seed lots on XCO medium was reduced to 70.4% of that on Wakimoto's medium. The recovery of X. c. pv. oryzae added to rice seed on XOC medium ranged from 67% to 87% (mean 75.6%) of that on Wakimoto's medi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