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 120.1 + 1.4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25초

보온절충(保溫折衷) 못자리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한 연구(硏究) (Weed Control with Herbicides in Protected Semi - irrigated Rice Seedbed)

  • 양환승;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9-178
    • /
    • 1984
  •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유망시(有望視)되는 제초제(除草劑) 8종(種)에 대(對)하여 수축(收縮)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1. Benzophenap(240g) 및 pyrazoxyfene(200g)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인정(認定)되지 아니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도 만족(滿足)스러웠다. 2. Dimepiperate(210g) 단제(單劑), dimepiperate + probenazol(210+120g) 합제(合劑) 및 dimepiperate + molinate + probenazol(120+120+120g) 합제(合劑)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에 있어서 피에 대(對)하여는 우수하였으나, 그 이외(以外)의 공시초종(供試草種)은 저조(低調)한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냈다. 3.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120g) 등(等)의 합제(合劑)는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초기유묘(初期幼苗)와 근신장(根伸長)을 약간 저해(沮害)하는 현상(現象)을 보였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는 회복(回復)되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우수하였으나 butachlor + chlormethoxynil 합제(合劑)는 공시다년생잡초(供試多年生雜草)에 대(對)하여는 만족(滿足)스럽지 못하였다. 4. Chlormethoxynil(180g)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공시(供試)한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에 대(對)하여 우수한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냈다. 5.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있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기(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6. 근활력(根活力)은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 + 120g)등(等)의 합제구(合劑區)에서 약종후(藥種後) 12일(日)에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 회복(回復)되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간(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2000~2001년 경상남도에서 유행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 (Rotavirus P and G Genotypes Circulating in Kyungsangnamdo, Korea, during 2000~2001)

  • 소경진;이미현;마상혁;김병철;양재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59-72
    • /
    • 2004
  • 목 적 :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서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국내에서도 해마라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규명하고 이를 기초 역학자료 및 백신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함과 동시에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들의 연령, 계절적인 분포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최근의 국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역학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01년 4월까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에 내원하거나 입원하는 환자들 중 대변 검체에서 Latex agglutination검사(Slidex Rota-Kit2, Bio Merieux, France)로 로타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검체를 이용하였다. 환자의 검체에서 RNA를 추출한 후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하여 cDNA를 합성한 뒤 VP4, VP7에 대한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 총 대상 환자들은 120명이었고 남자가 79명(65.8%), 여자가 41명(34.2%)이었다. 연령별로는 생후 2일에서부터 12세까지 분포하였고 2세이하 환자가 97%인 l1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양상은 9월, 10월 사이에는 산발적인 발생을 보이다가 12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익년 4월까지 환자의 발생을 보이는 분포를 보였다. 2) 전체 대변 검체 120개중에서 C형은 97개(80.8%)에서 결정이 되었고 P형은 102개(85%)에서 결정되어 120개 검체 중 l16개(97%)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전자형이 결정되었다. 3) p형은 P[4]가 77례(64.2%)로 가장 많았으며 P[6]가 22례(18.3%), P[8]가 1례(0.8%)이었다. 혼합감염은 P[4]/P[6]가 12례(10%), P[4]/P[8](0.8%)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7례(5.9%)이었다. 4) G형은 G2가 74례(61.7%)로 가장 많았고 G1이 17례(14.2%), G4, G1이 각각 1례였다. 혼합감염은 G1/G2, G1/G4, G1/G9, G8/G9이 각각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23례(19.2%)이었다. 5) 조합형에 대한 분석을 하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결 론 : 2000년에서 2001년 사이 경상남도 지방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있었고 조합형에 대한분석을 해보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G1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G1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서 국내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확인되었고, 역학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전자형의 결과는 향후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개발과 도입에 있어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로타바이러스는 특성상 변이가 잘 일어나 새로운 유전자형이 쉽게 나타날 수 있고 백신은 유전자형에 특이하게 작용하므로 추후 지속적인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구마 조기재배시 품종별 생육과 괴근비대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ultivars according to Growth Period in Early Cultivation)

  • 황엄지;남상식;이준설;이형운;양정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51-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선호 품종의 변화 및 고구마 조기생산을 위한 삽식 및 수확시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주요 품종의 삽식 시기에 따른 생육기간별 고구마 생육 특성을 구명하였다. 분질고구마(율미, 진홍미)의 괴근 형성은 삽식 후 50일에 괴근 무게는 각각 4.1, 8.6 g이었으며, 두 품종에서 80일 이후 급격하게 무게가 증가하였고 120일에 괴근 평균 무게는 율미 120.7 g, 진홍미 79.4 g 으로 나타났다. 중간질고구마(풍원미, 호감미)는 삽식 50일 후 괴근 무게가 각각 13.0, 3.3 g이었으며 삽식 후 120일에 괴근 무게는 풍원미 104.2 g, 호감미 68.1 g이었다. 자색고구마(신자미, 단자미)의 괴근형성은 삽식 후 50일에 시작되었으며, 120일에 괴근 무게는 신자미 132.7 g, 단자미 68.0 g이었다. 조기재배 시 율미와 풍원미, 신자미는 삽식 후 120일 전후로 수확이 가능한 조기비대성 품종, 진홍미는 삽식 후 130일, 호감미 단자미는 삽식 후 130일 이상 되어야 수확가능한 만기비대성 품종으로 판단된다.

시안을 이용한 PCB 금 박리용액으로부터 사이클론 전해조에서의 금 회수거동에 미치는 차아염소산나트륨과 금 도금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NaOCl and Gold Plating Additive on the Gold Recovery in Cyclone Electrolytic Cell from Solution for Stripping Gold of PCB by Cyanide)

  • 조현지;유경근;배무기;손정수;양동효;김수경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4호
    • /
    • pp.88-94
    • /
    • 2017
  • 시안을 이용한 PCB 금 박리용액으로부터 사이클론 형태의 전해조를 적용하여 금 회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첨가제로서 전해생성 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과 금 도금 첨가제(KG-120)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금의 전해회수 거동을 조사하였다. 전해생성 NaOCl은 침출액 내의 시안과 알칼리 염소화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NaOCl(g)/CN^-(g)$ 비율 1.0 이상에서 약 99% 이상 시안을 제거할 수 있었다. 금 전해회수 시 전해생성 NaOCl을 첨가할 경우 $NaOCl(g)/CN^-(g)$ 비율이 0.5~2.5일 때 480분 내에 금은 98% 회수되었으며 비율이 3.0이상에서는 오히려 금의 회수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G-120 용액의 경우, 1.5~4.5%(v/v)까지의 농도범위에서 480분 내에 금이 99% 회수되었으며, 특히 KG-120의 농도가 3.5 및 4.5%(v/v) 일 경우 240분 내에 금이 96% 이상 회수되어 반응 초기 회수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빨랐다. 이로부터 경제성과 효율성을 감안한 최적의 KG-120의 농도는 3.5%(v/v)로 판단된다.

표고 '산조701호', '농진고'의 최적 배양 및 자실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optimal cul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Lentinula edodes fruit body 'Sanjo701ho', 'Nongjingo')

  • 박혜성;문지원;이은지;이찬중;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6-238
    • /
    • 2018
  • 표고 톱밥배지 배양일수별 배지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조701호'의 색도는 명도인 L값이 배양 30일에 83.8(${\pm}2.5$)에서 배양 120일에 45.7(${\pm}2.3$)로 감소하였고, a와 b의 값은 배양일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경도는 배양 30일에 9.4(${\pm}0.9$)g/mm에서 배양 120일에 2.6(${\pm}0.2$)g/mm으로 감소하였다. '농진고'는 명도인 L값이 배양 30일에 86.2(${\pm}2.1$)에서 배양 120일에 53.4(${\pm}1.3$)로 감소하였고, a와 b의 값은 배양일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경도는 배양 30일에 4.8(${\pm}0.7$)g/mm 배양 120일에 3.8(${\pm}1.0$)g/mm로 감소하였다. 배양일수별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조701호'의 배양일수별 첫 수확일은 30일 배양배지는 46일, 60일배양 배지는 89일, 90일배양 배지는 8일로 가장 짧았고, 120일 배양배지가 9일이었다. 자실체 평균무게는 90일 배양배지가 48.3 g으로 가장 높았고 갓 직경, 갓 두께도 가장 높았지만 색도측정결과에서는 120일 배양배지에서 발생된 자실체가 가장 우수한 상품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진고'는 30일 배양배지가 22일, 60일 배양배지가 18일, 90일 배양배지가 8일로 가장 짧았고, 120일 배양배지는 9일이었다. 따라서 표고의 배지, 자실체 특성 등을 고려할 때 배지의 배양일수가 120일이 안정적인 수량 및 높은 상품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xistence of subpolynomial algebras in $H^*(BG,Z/p)$

  • Lee, Hyang-Sook;Shin, Dong-Sun
    • 대한수학회보
    • /
    • 제34권1호
    • /
    • pp.1-8
    • /
    • 1997
  • Let G be a finiteg oroup. We denote BG a classifying space of G, which a contractible universal principal G bundle EG. The stable type of BG does not determine G up to isomorphism. A simple example [due to N. Minami]is given by $Q_{4p} \times Z/2$ and $D_{2p} \times Z/4$ where ps is an odd prime, $Q_{4p} is the generalized quarternion group of order 4p and $D_{2p}$ is the dihedral group of order 2p. However the paper [6] gives u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BG_1$ and $BG_2$ to be stably equivalent localized et pp. The local stable type of BG depends on the conjegacy classes of homomorphisms from the p-groups Q into G. This classification theorem simplifies if G has a normal sylow p-subgroup. Then the stable homotopy type depends on the Weyl group of the sylow p-subgroup.

  • PDF

나프탈렌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존 및 생식지표 변화 (Change of Survival and Reproductive Indicator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ollowing Chronic Exposure to Naphthalene)

  • 진영국;김태익;명정인;황형규;박민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5-312
    • /
    • 2012
  • 나프탈렌이 바지락 (각장 $32.74{\pm}2.18mm$, 전중 $8.29{\pm}1.41g$) 의 생존, 성비 및 생식소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노출농도는 대조구, solvent 대조구 (에탄올), 30, 60, 90, $120{\mu}g$ Nap $L^{-1}$ 였으며, 노출기간은 20주였다. 노출 종료 후 바지락의 생존율은 $6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성비는 대조구와 비교해 solvent 대조구 (에탄올)와 $30{\mu}g$ Nap $L^{-1}$ 실험구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0{\mu}g$ Nap $L^{-1}$ 실험구의 경우 수컷의 비율이 높았다. 그 후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컷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암컷의 경우 $6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수컷의 경우 $3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발달이 지연되는 결과를 보였다. 생식소에서 관찰된 intersex는 암컷에서 16.28%, 수컷에서 1.68%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나프탈렌은 바지락의 생존 뿐 만 아니라 성비와 생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퇴비시용이 무의 품질과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on Radish Quality and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Organic Farming)

  • 이주삼;장기운;조성현;오진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5-149
    • /
    • 1996
  • 배수가 양호한 사양토에서 백자무를 공시하여 무비구, 관행구(N-P-K+퇴비), 퇴비 20, 40, 80, 120Mg/ha 수준의 6개 처리구를 두어 포장재배 시험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작물수확시 토양(土壤)의 변화(變化)를 보면 토양(土壤)의 pH는 시험 전 6.3이었으나 수확기에는 무비구가 6.3, 관행구와 퇴비시용구는 5.1~5.8로 낮아졌다. 특히 퇴비 시용구에서는 40Mg/ha 시용구의 pH가 5.1을 나타내어 가장 낮은 값이었다. 퇴비 무비구에 비하여 시용구에서 유기물함량이 퇴비 시용의 증가에 따라 25g/mg, 전질소가 14g/mg, 인산이 756mg/kg 까지 증가하였으며 치환성양이온도 증가량은 적으나 같은 경향을 보였다. 토성은 시험전이나 수확기 모두 사양토였다. 2. 무의 생중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120Mg/ha 처리구(處理區)에서 무뿌리 1개 평균중량이 530g으로 가장 작았으며 관행 및 퇴비 20~80Mg/ha 시용구의 중량은 900~1,080g으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근장(根長)은 처리간 13~21cm로써 퇴비 120Mg/ha 시용구에서는 근장(根長)이 가장 작았으며 근중(根重)도 근장(根長)과 같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수분함량은 92~93%로 균일 하였으며 결주율을 보면 퇴비 80Mg/ha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퇴비 120Mg/ha에서 79.3%의 최대결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원인은 과다시용에 의한 염류집적에 의한 생리장해로 생각된다. 3. 엽록소(葉綠素)는 무청(무잎)을 시료로 하여 측정한 결과(結果)로서 관행구에서 4.32 퇴비 120Mg/ha에서 $4.01mg/100cm^2$로 가장 낮았다. 당함량(糖含量)도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과 같은 경향이었다. 4. 무뿌리의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Ca이 7334~7895, Na이 1328~1477, P가 1458~1749, Fe가 0.9~1.1 mg/kg으로 처리구에 따른 함량의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뿌리의 질산태질소량을 분석한 결과 그 함량이 10-120mg/kg으로 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NO_3-N$함량이 많아졌으나 퇴비 120Mg/ha보다 퇴비 80Mg/ha에서 120mg/kg으로 가장 많았다.

  • PDF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퇴비시용이 배추의 수량과 무기성분 및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on Yield and Chemical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Brassica pekinensis Rupr.) and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Organic Farming)

  • 이주삼;장기운;조성현;김종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5-370
    • /
    • 1996
  • 고냉지 기후조건과 유사한 포장의 사양토에서 배추(흥농교배 대관령 여름배추)를 무비구, 관행구(N-P-K+퇴비), 퇴비를 40t/ha, 80t/ha, 120t/ha 수준으로 5개 처리구를 설정하여 포장재배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수확시 토양의 변화를 보면, 토양의 pH는 시험전 6.7이었으나, 수확기에는 처리구별 6.2~6.7수준 이었으며, 특히 Com-120처리구에서 6.2로 가장 낮은 값이었다. 전질소함량은 Com-120처리구에서 2.2g/kg, 유기물 함량은 39g/kg, 유효인산함량은 1.927mg/kg, CEC는 11.4, 치환성 K는 2.1, Ca는 4.9, Mg 는 2.2, Na가 0.7 cmol/kg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토성은 시험전후 모두 사양토였다. 2. 배추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 잎의 길이가 Com-80에서 가장 높았으며, 총엽수는 51~53으로 비교적 균일하였다. 중량에 있어 퇴비 수준별 결과를 보면, 무비구에서 평균 개체중이 2.286g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Stand, Com-80, 120 이 각각 3,296, 3552, 3300g으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Com-40에서는 3.783g으로 가장 높았다. 3. 배추 수확후 지상부의 화학성분 분석결과를 보면, 엽록소 함량은 전 처리구에서 4.21~4.32mg/$100cm^2$ 수준에 있었으며, 당함량은 1.71~1.89g/100g, 섬유는 0.61~0.64g/100g이었다. 또한 Ca이 7.7~8.5, Na가 0.5, P가 0.9~1.0, Fe는 0.004~0.006g/kg 수준으로 대체로 균일하였다. 4. 배추 가식부위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무비구가 280mg/kg이었고, 관행구에서 퇴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310mg/kg으로 증가하였으나, Com-120 처리구에서는 270mg/kg으로 가장 낮았다. 5. 퇴비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배추성분이나 토양의 화학성분들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배추의 개체중 및 엽수를 보면 Com-40에서 가장 높았다. 토양중 화학성분들의 변화를 보면, 일반 밭토양의 적정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배수재배에 있어 Com-80 및 120 처리구는 과다시비로 장기 연용시 토양에 염류 집적을 초래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om-40처리를 연용할 경우 배추재배에 적절한 시비량인지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은 중독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ercury Compounds Poisoning)

  • 황인담;기노석;정인호;이정상;이재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13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sequential accumulation of mercury in selected tissues of gold fish (Carassius auratus) exposed to 2, 6, 30, 120 and 300 $\mu$g Hg/1 as HgCl$_2$. In order to prepare treatment groups suitable for the present study, one control and fiv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I (2 $\mu$g/l), II (6$\mu$g/l), III (30$\mu$g/l), IV (120$\mu$g/l), V (300 $\mu$g/l), were used in 180 liter glass aquaria. The experiment was started by transfering 20 fish of average total length 140 $\pm$ 20 mm to each of the six tanks and allowing the uptake to take place for 12 weeks period. Fish were killed after time periods of 1, 2, 4, 8, and 12 weeks, and samples were disected by five parts gill, kidney liver, muscle and egg.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ntrol group, low concentrations of mercury(range 0.01-0.11 $\mu$g/g)were determined in the all selected tissues. 2. In experimental group, the average levels of mercury residues in the gill, kidney, liver muscle and egg were 3.61-189.54 $\mu$g/g, 13.91-182.58 $\mu$g/g, 8.56-66.49 $\mu$g/g, 0.30-20.33 $\mu$g/g, and 1.63-23.76$\mu$g/g, respectively. 3. The mercury residues in selected tiss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enerally 230-9100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4. The amounts of methylmercury per total mercury in the muscle after 12 weeks were 0.10/0.30 $\mu$g/g(33.33%) in the I group, 0.14/1.18$\mu$g/g(11.86%) in the II group, 0.25/5.76 $\mu$g/g(4.34%) in the III group, 0.39/11.48$\mu$g/g(3.40%) in the IV group and 0.40/20.33 $\mu$g/g(1.97%) in the V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