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zzy extracto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효율적인 LWE 기반 재사용 가능한 퍼지 추출기 (An Efficient LWE-Based Reusable Fuzzy Extractor)

  • 김주언;이광수;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779-790
    • /
    • 2022
  • 퍼지 추출기는 노이즈가 섞여 입력값이 항상 같지 않은 생체 데이터로 키를 생성하여 생체 정보 노출 없이 안전하게 인증을 수행하는 바이오-암호화 기술이다. 그러나 한 사용자가 생체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등록할 경우 퍼지 추출기의 인증 과정에서 키를 올바르게 추출하기 위해 공개되는 정보인 보조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공격으로 키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서버에 같은 사람의 생체 데이터를 등록해도 안전한 재사용 가능한 퍼지 추출기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들은 키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키를 복구하는 과정의 횟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효율적이지 않고 보안성 높은 시스템에 적용하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키 길이가 늘어나도 인증 과정의 수행 횟수가 같거나 비슷한 LWE 기반의 효율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퍼지 추출기를 설계하였고, 제안 기법이 Apon et al.[5]이 정의한 재사용의 안전성을 만족함을 보였다.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대칭키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 (An Enhanced Symmetric Key-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Forward Secrecy)

  • 문종호;원동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00-510
    • /
    • 2017
  • Recently Lee et al. proposed an improved symmetric key-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to eliminate the security weaknesses of Kumari et al.'s scheme. They hence claimed that their scheme is secure to various well-known attacks. However, we found that Lee et al.'s scheme is still insecure against outsider attack, smart card stolen and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To overcome these security vulnerabilities, we propose an enhanced authentication scheme with key-agreement which is based on the fuzzy-extractor. Furthermore, we prove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secure, and that it serves to gratify all of the required security properties. Finally, we compare the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of the proposed scheme with those of previous schemes.

Fuzzy Extractor를 이용한 무아레 생체인증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Moire Biometrics using Fuzzy Extractor)

  • 백승진;안예찬;강혁;전유부;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9-341
    • /
    • 2017
  • 최근 생체인식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보안의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인식 보안에 대해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퍼지 추출기를 이용해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기존에 있던 무아레 생체 인증 보안성과 퍼지 추출기를 이용한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을 비교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HV-KEM을 이용한 생체 정보 기반 인증 프로토콜 (Biometric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Hidden Vector Key Encapsulation Mechanism)

  • 서민혜;황정연;김수형;박종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9-79
    • /
    • 2016
  •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도 소유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생체 정보는 한번 노출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인증 수행 시 생체 정보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수적이다. 또한 생체 정보는 본질적으로 노이즈가 있기 때문에 인증 수행 시 적절한 오차 범위 이내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퍼지 추출기(fuzzy extractor)를 이용한 생체 정보 기반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헬퍼 데이터(helper data)를 추가적으로 기억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함수 암호 중 하나인 HV-KEM(Hidden Vector Key Encapsulation Mechanism)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도 소유하거나 기억할 필요 없는 생체 정보 기반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인증 프로토콜 설계를 위한 HV-KEM의 보안 요구사항을 정립하고 제안하는 인증 프로토콜을 정확성/안전성/효율성 측면에서 분석한다.

Improved Algorithm for Fully-automated Neural Spike Sorting based on Projection Pursuit and Gaussian Mixture Model

  • Kim, Kyu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4권6호
    • /
    • pp.705-713
    • /
    • 2006
  • For the analysis of multiunit extracellular neural signals as multiple spike trains, neural spike sorting is essential. Existing algorithms for the spike sorting have been unsatisfactory when the signal-to-noise ratio(SNR) is low, especially for implementation of fully-automated systems. We present a novel method that shows satisfactory performance even under low SNR,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a recent method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fuzzy c-means(FCM) clustering algorithm. Our system consists of a spike detector that shows high performance under low SNR, a feature extractor that utilizes projection pursuit based on negentropy maximization, and an unsupervised classifier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eature extractor gives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CA, and the proposed combination of spike detector, feature extraction,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yields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CA-FCM, in that the realization of fully-automated unsupervised spike sorting becomes more feasible.

An Efficient Biometric Identity Based Signature Scheme

  • Yang, Yang;Hu, Yupu;Zhang, Le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8호
    • /
    • pp.2010-2026
    • /
    • 2013
  • The combination of biometrics and cryptography gains a lot of attention from both academic and industry community. The noisy biometric measurement makes traditional identity based cryptosystems unusable. Also the extraction of key from biometric information is difficul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biometric identity based signature scheme (Bio-IBS) that makes use of fuzzy extractor to generate the key from a biometric data of user. The component fuzzy extraction is based on error correction code. We also prove that the security of suggested scheme is reduced to computational Diffie-Hellman (CDH) assumption instead of other strong assumptions. Meanwhile, the comparison with existing schemes shows that efficiency of the system is enhanced.

축구 로봇의 공격 의도 추출기 설계 (Development of Attack Intention Extractor for Soccer Robot system)

  • 박해리;정진우;변증남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4호
    • /
    • pp.193-205
    • /
    • 2003
  • 지능 제어, 통신, 컴퓨터 및 센서 기술, 영상 처리, 메카트로닉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축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전략 연구는 대부분 공격 전략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점차 지능적인 공격 전략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단순한 수비 전략으로는 완전한 수비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능적인 공격을 효율적으로 수비할 수 있는 수비 전략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수비를 위하여 공격자 로봇의 의도 추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최대 최소 신경망을 이용한 축구 로봇의 공격 의도 추출기를 설계하였다. 첫째로 축구 로봇 시스템에서의 의도를 정의하고 의도 추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설계한 퍼지 최대 최소 신경망을 이용하여 설계한 축구 로봇의 의도 추출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퍼지 최대 최소 신경망은 패턴분류 방법 중의 하나로 온라인 적용, 짧은 학습 시간, 소프트 결정(soft decision) 등의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이나믹한 환경을 가진 축구 로봇 시스템의 의도 추출에 적합하다. 이 의도 추출기는 상대 팀 로봇이 공격시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할 것인가를 미리 알아내어 수비 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을 통하여 의도 추출을 함으로써 상대 팀 경기를 보고 팀의 전략을 파악하는 전략 분석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자체 제작한 3대3 로봇 축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며, 학습을 함에 따라서 의도 추출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obust Biometric-based Anonymous User Authenticated Key Agreement Scheme for Telecare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 Jung, Jaewook;Moon, Jongho;Won, Dong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7호
    • /
    • pp.3720-3746
    • /
    • 2017
  • At present, numerous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es have implemented Telecare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TMIS) with authentication protocols to enable secure, efficient electronic transactions for e-medicine.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use of authentication protocols to construct efficient, robust health care services, and recently, Liu et al. presented an authenticated key agreement mechanism for TMIS. They argued that their mechanism can prevent various types of attacks and preserve a secure environment. However, we discovered that Liu et al.'s mechanism presents some vulnerabilities. First, their mechanism uses an improper identification process for user biometrics; second, the mechanism is not guaranteed to protect against server spoofing attacks; third, there is no session key verification process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As such, we describe how the above-mentioned attacks operate and suggest an upgraded security mechanism for TMIS. We analyze the security and performance of our method to show that it improves security relative to comparable schemes and also operates in an efficient manner.

Biometrics-based Key Generation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 Ha, Lam Tran;Choi, Deokjai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2호
    • /
    • pp.15-25
    • /
    • 2017
  • The security and privacy issues derived from unsecurely storing biometrics templates in biometric authentication/ recognition systems have opened a new research area about how to secure the stored biometric templates. Biometrics-based key generation is the newest approach that provides not only a mechanism to protect stored biometric templates in authentication/ recognition systems, but also a method to integrate biometric systems with cryptosystems. Therefore, this approach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worldwide.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state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and remaining works is necessary for further works. In this study, we first outlined the requirements and the primary challenges when implementing these systems. We then summarize the proposed techniques and achievements in representative studies on biometrics-based key generation. From that, we give a discussion about the accomplishments and remaining works with the corresponding challenges in order to provide a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es in this area.

A Biometric-based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s

  • Chen, Ying;Ge, Yangming;Wang, Wenyuan;Yang, Fengy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4호
    • /
    • pp.1779-1798
    • /
    • 2018
  •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s (HEWSN) is a kind of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each sensor may has different attributes, HEWSN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aspects. Due to sensors are deployed in unattended environments and its resource constrained feature, the design of security and efficiency balanced authentication scheme for HEWSN becomes a vital challe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and lightweight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scheme based on biometric for HEWSN. Firstly, fuzzy extractor is adopted to handl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econdly, we achieve mutual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among three entities, which are user, gateway and cluster head in the four phases. Finally, formal security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defends against various security pitfalls. Additionally, comparison results with other surviving relevant schemes show that our scheme is more efficient in term of computational cost, communication cost and estimated time.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is well suitable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HEWS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