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3초

부모와 교사의 평정에 기반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 대한 인식 조사 (Awareness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based on Parental and Teacher Ratings)

  • 김인태;방은주;김가경;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260-267
    • /
    • 2017
  • Objectives: Since 2013, the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SEBT) has been conducted annually for 1st grade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SEBT has been considered to have effectiveness and strength for screening high risk students who have a strong possibility of harboring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of the SEBT based on the rating score of the parents and teachers to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 total of 731 parents and 149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their awareness of the SEBT. Results: 428 (58.5%) parents and 99 (66.4%) teachers rat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at more than 4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The test reliability was rated at more than 4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by 52.1% of the parents (n=381) and 47.7% of the teachers (n=71). Conclusion: Both parents and teachers consider the SEBT to be highly satisfactory and reliable.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 및 학교·학원 교사와의 관계의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The Effects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chool/institute Teachers as Protection Factors for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송인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8-31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들이 맺고 있는 주요 성인들과의 관계요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학교 및 학원교사와의 관계가 초·중·고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2019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N=7,454)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관계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게임이 용행태 요인 그리고 친구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게임중독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유일하게 모(母)와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부(父)와의 관계가 오히려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과 학교교사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보호효과는 중학생 집단에서만 확인되었으며, 기대와 달리 학원교사와의 관계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와 향후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유아·초등·중등 학생의 성교육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Korean Journals on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 백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8-1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중등 학생의 성교육 연구 동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성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 사이에 유·초·중등 학생 대상 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 30편을 추출하여 성교육의 일반적 동향(연구시기별, 학술분야별), 연구주제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는 2000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증가하였고, 24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성교육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개념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방법 전략'을 주제도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유아 대상 논문은 9개, 초등 학생 대상 논문은 6개, 중학생 대상 논문은 14개, 고등학생은 2개, 교사 및 부모와 관련된 논문은 9개였다. 넷째,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인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은 '문헌연구', '면담' 순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논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컴퓨터 교과과정 개편을 위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A Study of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Computer Education Courses)

  • 박근우;한규정;이영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95-40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의 교과과정을 효과적으로 개편하기 위하여 현직 교사들의 교과목별 요구를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 초등학교의 컴퓨터교과 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교 초등컴퓨터 교육과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과목의 중요도와 미래 지향성에 관한 현장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장 교사들은 현재 교과목별 중요도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이나 멀티미디어 제작과 같은 교과목들을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컴퓨터 교과교육 과목들은 상대적으로 그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미래에는 멀티미디어 제작이나 컴퓨터를 활용한 창의성 교과목들도 중요한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충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교)사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Perception and Educational Demand on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Chungbuk)

  • 황미숙;주지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1-93
    • /
    • 2011
  • We investigated perception and educational demand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s. The subjects were 229 nutrition teachers (57.2%) and dietitians (42.7%) working in Chungbuk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pproximately 67%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Most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experience with the side effects after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Subjects who were unaware of the legal specifications, classification, and labeling standard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78-91.2%) were much more common than those who were aware of those issues. Most of the subjects perceived health functional foods as a food (45.0%) or as a product between a food and a medicine (44.5%). The subjects recommended themselves (43.1%) or medical doctors/pharmacists (40.8%) as consultation/education specialist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pproximately 66%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conducting nutritional consultation/education in their schools, but only 3.2% had experience with health functional foods. Only 17.8%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receiving educ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Most subjects (88.2%) demanded educ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mselve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effective education is needed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s for them to play an active role in educat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near future.

원전 사고 관련 SSI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도와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Awareness and Eductional Needs Concerning SSI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위수민;임성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294-30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SSI와 관련된 구체적인 이슈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이용하였다. 연구에는 교원양성대학에 재학중인 대학교 2학년생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모두는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등 과학교육론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모두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원전 사고에 대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이어서인지 다른 매체에 비해 인터넷을 통해 원전 사고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접하고 있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등 예비교사는 원전 사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았으며, 원전 사고와 같은 SSI에 대해 평소 관심을 갖고 있거나 교육을 받은 경험을 미비했다. 원전 사고와 같은 SSI에 대해 관심은 없으나 원전 사고와 같은 과학적인 문제들이 사회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행 교육과정에 SSI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모두 공감하고 있었으며,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문제인식을 같이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과학교육의 목표 중에 하나인 과학의 본성을 이해시키는 측면과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 제고를 위해서라도 SSI 교육에 더욱 활발한 연구뿐만 아니라 정규 교육과정에의 적용은 매우 중요하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디지털인재 양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보편적 정보교육 도입의 필요성 연구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Univers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Nurture Digital Talents)

  • 최문석;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09-218
    • /
    • 2022
  • 현재 정부에서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 확대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현장 초등학교 교사 역시 정보교육의 확대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77.3%가 될 정도로 정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정보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한 D초등학교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주당 1시간 이상의 정보교육을 꾸준히 실시했다. 학생들에게 정보교육의 사교육 절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교육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16.2%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에 실시된 타 설문조사의 사교육 참여 비율로 응답된 66.5%보다 50.3% 적은 수치를 보여주며 사교육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사례연구 분석 결과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한 강사에 따른 학습 내용이 달라짐을, 학부모는 중요성은 인지하나 학습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지적을 하며 정보교과 및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정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독립교과로서 보편적인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용 사회성 기술 훈련 '사또(사이좋은 또래)'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Robot-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Friendly Friends'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임보령;백예은;박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4-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훈련 콘텐츠 내에 로봇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여 7가지 기능(활동 안내, 강화 제공, 행동지도, 팀 설정, 팀 순서 안내, 타이머 설정, 점수 확인)을 선정한 후, 초등학교 학령기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사회성 기술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콘텐츠 현장적용을 위한 수업은 사회성 기술 훈련을 위한 증거기반 전략을 활용하여 긍정적 예시 및 부정적 예시 제공, 모델링, 역할극, 수행 피드백, 일반화 단계로 구성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활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 즉 '사또(사이좋은 또래)' 콘텐츠를 개발한 후,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콘텐츠 현장적용 및 참여학생과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학생과 현장교사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또' 콘텐츠 개발의 의미와 기대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로봇활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 개발 탐색 (Exploration of AI Curriculum Develop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배영권;유인환;장준혁;김대유;유원진;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33-441
    • /
    • 2020
  •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계의 주목을 받으며 교원의 인공지능대학원 과정 또한 개설, 운영 중이며 올해 신설된 AI교육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편성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AI교육과정이 향후 개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대학원 AI교육과정은 Backward 설계를 토대로 Bloom의 디지털 텍사노미,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포함하여 '내용영역', '수준', '교수학습방법' 등 3가지의 요소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AI교육과정개발 방향을 토대로 국내 교육대학원의 AI교육과정이 좀 더 내실화되길 바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여 초·중등학교의 AI교육과정 구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초등학급경영을 위한 교사의 음악 활용 현황 및 인식 (Primary School Teachers' Use of Music for Classroom Teaching and Management)

  • 성수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6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생활 및 학습 지도 시 음악사용 현황과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현직 초등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비담임 음악전담교사 4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1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급경영 시 생활 지도 시에 비해 학습 지도 시의 음악 활용도가 높았다. 교사들은 생활 지도 시에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동요를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학습 지도 시에는 동기 유발 자료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음원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저학년 담임교사일수록 생활 및 학습 지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음악을 활용하였고, 고학년 담임교사의 경우 학습 지도 중심으로 음악을 사용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은 음악 효과에 있어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였고 음악선곡에 있어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이 외에도 음악 활용 방안에 대한 연수나 자료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수업 이외에 학생 관리와 교육의 수월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들의 음악 활용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